광고 / Ad

[중소벤처기업부]하반기 온라인 화상 수출상담회 확대 지원

btn_textview.gif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수출 유관기관들과 협업해 상반기에 운영했던 온라인 화상 수출상담회를 확대 개편해 8월부터 하반기 지원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 수출에 새로운 활로를 개척하기 위해 중진공·중앙회·무협 등 3개 수출 유관기관과 중기부 13개 지방청(수출지원센터)이 협업하는 온라인 화상 수출상담회를 지난 4월부터 7월까지 추진해왔다.
 
상반기 화상 수출상담회에는 K뷰티·K방역, 브랜드K, 유망소비재 등을 중심으로 총 10회 열렸다. 국내 중소기업 607개사가 참여해 96개국 395개사 바이어와 883건의 상담건수, 1억3,887만 달러의 상담 실적을 거뒀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하반기에는 화상 상담회 참가기업의 요청사항을 반영하고 수출 유관기관(중앙회, 중진공, 무협)들과의 추가적인 협업을 통해 시장·테마별 화상 상담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업종별 화상 상담회와 온라인 해외 전시회 참가를 신규로 지원하며 온·오프라인(O2O) 전략 컨소시엄을 새로이 추가할 예정이다.
 
시장·테마별 화상 상담회
 
시장·테마별 화상 상담회는 8월 12일 무역협회에서 주최하는 K-푸드 화상상담회를 시작으로 지역특화산업, 조달 유망기업(K방역 등), 소부장 기업 등을 대상으로 신남방·신북방 지역의 수출 확대를 목표로 운영한다.
 
유망소비재 위주로 진행됐던 상반기와 달리 하반기에는 전기·전자·기계·화학 등의 산업재를 중심으로 온라인 라이브 스트리밍 홍보 방송(9월 무협, 바이오), 엘지상사 해외지사와 협업한 화상 상담회(11월 무협) 등의 새로운 방식의 비대면 수출상담회를 준비하고 있다.
 
② 업종별 비대면 해외 마케팅
 
업종별 협·단체가 동일·유사업종의 중소기업들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전준비→ 화상상담→ 사후지원의 3단계로 추진되는 업종별 화상 상담회를 개최해 상담 후 실제 계약체결까지 진행될 수 있도록 관리해준다.
 
또한, 기존의 오프라인 전시회에서 온라인 전시회로 전환한 해외 전시회에 참가를 희망하는 기업에게도 참가비용 외에 온라인 홍보관 구축(전시관, 홍보영상 등)과 홍보비용 등도 지원 가능하도록 지원 범위를 확대한다.
 
③ 온·오프라인(O2O) 전략 컨소시엄
 
수출 유관기관의 해외거점(중진공 비즈니스 인큐베이션 등), 대기업 현지 유통망 등과 연계해 오프라인 전시·상담회와 온라인 화상 상담회를 결합한 온·오프라인(O2O) 전략 컨소시엄도 새로이 선보인다.
현지에 나가기 어려운 중소기업들을 대신해 현지에서 채용한 판매사원(MD)이 전시회(또는 상담회)에 참가하고 제품 홍보와 수출 상담을 진행하며 한국에 있는 기업들과 실시간 화상 상담을 통해 해외 바이어와 직접 상담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기존의 단순 화상 상담회의 단점으로 꼽혔던 다수 바이어 상담, 실제 제품 체험과 현장 계약 등의 어려움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 O2O 전략 컨소시엄 예시 >  
   
◇ 중소기업중앙회는 12월 베트남에서 개최되는 소비재 전시회에 한국관을 구성하여 참가할 예정으로, 한국관은 대형 영상장비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참가기업의 홍보 동영상과 실제 제품, 현지에서 채용된 판매사원을 파견하여 현지 바이어 수출상담 및 실시간 화상 상담을 복합적으로 지원
 
◇ 현지 판매사원(MD)은 사전에 국내에 들어와 판매 기본 교육(협상기술 등), 제품 교육 및 가격 협상 권한 등을 이수하고 전시회에 파견(해당 중소기업 해외영업 대행)
 
중기부 심재윤 글로벌성장정책과장은 “기업들의 수요에 부응해 확대 개편된 화상 수출상담회를 연말까지 지속적으로 개최해 어려운 수출 여건 속에서도 중소기업의 비대면 수출이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중기부는 하반기에 소비·판매 트렌드 변화 등 포스트 코로나 시대 패러다임 전환에 대비한 비대면·온라인 방식 수출지원과 수출시장 다변화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하반기 온라인 화상 수출상담회에 참여를 원하는 기업은 기관별 누리집과 지방청 수출 지원센터를 통해 신청하면 지원받을 수 있다.
 
* 중진공 고비즈코리아(kr.gobizkorea.com), 무협 (kita.net), 중앙회 (sme-expo.go.kr), 지방청 수출 지원센터(exportcenter.go.kr)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글로벌성장정책과 김회중 사무관(☎ 042-481-3965), 양동학 주무관(☎ 042-481-4484) 에게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1   ‘20년 하반기 화상 수출상담회 확대 추진 계획안
 
□ 추진배경
 
ㅇ 코로나19 글로벌 확산 및 장기화로 하반기에도 주요 해외전시회 취소·연기, 입국 제한 등 중소기업 수출 애로 장기화 우려
 
* ’20년 지원대상 전시회(114건) 중 개최된 전시회는 3건 뿐이며, 대부분의 전시회가 취소·연기(75건) 또는 미정(20건)으로 하반기에도 수출컨소시엄 사업의 정상 추진이 어려운 상황
 
ㅇ 온라인 화상수출상담회 등 상반기에 추진한 비대면 방식의 해외마케팅 지원을 확대하여 중소기업 해외판로 개척 및 수출 활력 제고 도모
 
* 상반기(4~7월) 수출기관 협업 화상상담회 결과 : 총 8회 개최하여 국내 중소기업 487개사 및 76개국 273개사 바이어 참여, 684건 상담(상담액 113,740천불) 추진
 
□ 추진방안
 
ㅇ (방향) 업종·품목별 화상상담회 및 온라인 해외전시회 참가, 전략시장 타겟 O2O 컨소시엄 시범 추진, 지역특화산업 및 해외거점(BI)연계 화상상담회 등 권역·테마별 수출마케팅 지원 확대
 
ㅇ (사업기간) 8월~12월(5개월간, 테마별 상담회 등 총 30회 예정)
 
ㅇ (지원규모) 약 1,200개사(회당 바이어 25~50개사, 국내기업 30~50개사)
 
ㅇ (사업예산) 약 80억원
 
* ‘20년에 한해 기업부담금 없이 기업별 600만원 범위내에서 지원(단, 동일기업 중복지원 불가)
 
ㅇ (지원내용) 기업 맞춤형 콘텐츠 제작 및 온라인 쇼핑몰 입점, 해외바이어 대상 O2O전시회 및 화상상담, 사후계약 지원 등
 
ㅇ (홍보방안) 3개기관 합동 공동 보도자료 배포 및 기업DB 활용 홍보 뉴스레터 발송, 기관별 홈페이지(메인화면)에 배너광고 및 신청 사이트 상설 운영
 
* 지방청, 기관별 지역본부, 해외거점 등 활용 수시 참여기업 모집 및 홍보를 통해 지역기업 참여 확대뉴스레터 발송하고 기관별 홈페이지(메인화면)에 배너광고 및 신청 사이트 운영
□ 세부추진내용
 
수출지원기관(중진공, 중앙회, 무협) 협업 화상상담회 확대
 
ㅇ (지원분야) 지역특화산업 및 조달시장 유망기업, 신남방·신북방, 자상한 기업 등 시장·테마별 화상상담회 개최(약 570개사 지원)
 
* 국내기업의 수요와 해외바이어간 효율적인 매칭-화상상담-사후관리를 위해 수출기관별로 지원대상 및 진출시장을 분담하여 지원
 
< 기관별 화상상담회 추진일정(안) >
일정 테마 지원
기업수
대상 기업(품목) 전담기관 비고
(협업)
8월 K-Food 30 K-Food 화상상담회 무협  
소비재 50 뷰티·식품·생활용품 중앙회 상반기연계
산업재 30 지역연계(대구·경북) 중진공 대구경북청
9월 K 바이오(인도) 30 K-방역/바이오 헬스(인도)
(라이브 스트리밍 + 화상상담회)
무협  
5대 유망소비재 40 유럽/미주 바이어 초청 무협  
산업재 25 자동차 부품 중앙회 부품조합
산업재 30 지역연계(부산·경남) 중진공 부산경남청
10월 5대 유망소비재 50 라자다(이베이) MD 화상상담회 무협  
산업재 50 전기·전자·기계 중앙회  
조달유망 30 조달유망 소비재 중진공 조달청
5대 유망소비재 30 스타트업 중진공  
11월 일본 30 소비재 기업 무협  
신남방·신북방 30 지역연계(충남·충북) 중진공 충남충북청
5대 유망소비재 30 LG상사 해외네트워크(신남방) 무협 자상한기업
산업재 25 화학/(비)금속 중앙회  
12월 산업재 30 지역연계(광주·전남) 중진공 광주전남청
산업재 30 IT부품 중앙회  
합계 570      
* 기관별 테마 및 시기는 상황에 따라 부분 조정될 수 있음
 
 
 
 
업종별 주관단체를 통한 비대면 해외마케팅 지원
 
ㅇ (지원분야) ① 업종별 화상상담회 ② 온라인 해외전시회 참가 등 2개 분야

① 업종별 화상상담회 개최(약 200개사 지원)
 
- 주관단체별 컨소시엄 구성 후 사전준비 → 화상상담 → 사후지원 등 3단계 추진(현재, 참여 주관단체 모집 중(7.17~8.7))
 
< 화상상담회 세부 지원기준(안) >
구분 지원내용 지원금액
1단계
(사전준비)
o 외국어 카탈로그, 제품디자인, 영상콘텐츠 등 기업 맞춤형 콘텐츠 제작 지원 업체당 200만원
o 현지 바이어 발굴
- 바이어 신용조사비 등
업체당 20만원
2단계
(화상상담)
o 화상상담회 운영
- 상담장 조성, 통역, 상담SW 지원 등
업체당 200만원
1개사당 3개 바이어 이상 매칭
3단계
(사후관리)
o 샘플 발송비 업체당 최대 30만원
* 대형제품의 경우 추가지원 가능
o 홍보비(현지 인터넷 포털, 온라인플랫폼 입점 등) 업체당 최대 300만원
o 간담회비 업체당 5만원*1회
 
② 비대면 해외전시회 참가 지원(약 100개사 지원)
 
- (해외전시회 주최사 개최) 올해 예정된 해외전시회 중 주최사 측에서 온라인전시회로 전환 개최시 해당 온라인전시회 참가비용 지원
 
- (오프라인 전시회 홍보관) 올해 선정된 오프라인 개최 해외전시회에 영상콘텐츠 및 제품만으로 구성된 홍보관(한국관) 운영 지원
 
< 비대면 해외전시회 세부 운영(안) >
구분 전시 주최사 개최
온라인전시회 파견
오프라인 전시회
홍보관 운영
사전준비단계 o 외국어 카탈로그, 제품디자인, 영상콘텐츠 등 콘텐츠 제작 지원
전시회 파견단계 o 온라인 전시회(부스) 참가비 o 부스 임차료
o 디자인비 o 부스 장치비
o 주최사 마케팅비용 분담액 o MD 운영비
o 온라인 화상상담 운영비
사후지원단계
(공통)
o 기타 홍보비(현지 인터넷 포털, 온라인플랫폼 입점 등)
o 샘플 발송비(항공운송 기준)
o 간담회비(업체당 5만원*1회)
 
* 지원사업비는 기존 수출컨소시엄 전시회 참여 기준(기업당 6~7백만원) 적용
온·오프라인(020) 연계 전략 수출컨소시엄 개최
 
ㅇ (지원방식) 해외거점(BI), 대기업 현지 유통망 등과 연계하여 오프라인 전시·상담회와 온라인 화상상담회를 결합한 전략컨소시엄* 추진(약 420개사 지원)
 
* 온라인 전시회(영상콘텐츠 활용) + 샘플 쇼케이스 운영 + 현지 전문MD를 통한 해외바이어 수출 상담 + 국내·외 연결 온라인 화상상담 등 온-오프라인 연계 복합 지원
 
< O2O 전략 수출컨소시엄 개최(안) >
일정 개최지역 지원기업수 대상 기업(품목) 전담기관 비고
10월 미국(중남미) 100 브랜드K, K방역 등 전시회
및 대형유통망(ECRM) 상담회
중진공 뉴욕BI
시카고BI
산티아고BI
11월 중국 200 K뷰티, 유망소비재 등 전시회
및 바이어 초청 화상 상담회
중진공 베이징BI
상하이BI
등 5개 BI
신남방 60 브랜드K, K방역 등 전시회 및 바이어 초청 화상 상담회 중진공 하노이BI
방콕BI
러시아 40 K뷰티·푸드 샘플 전시회 및
바이어 초청 화상 상담회
무협  
12월 두바이 50 브랜드 K 두바이 샘플 전시회 및
바이어 초청 화상 상담회
무협  
유럽권
(러시아, 독일)
60 유망소비재 등 전시회
및 바이어 초청 화상 상담회
중진공 모스크바BI
알마티BI
프랑크
푸르트BI
베트남 30 K뷰티·푸드 샘플 전시회 및
바이어 초청 화상 상담회
중앙회  
* 기관별 테마 및 시기는 상황에 따라 부분 조정될 수 있음
 
□ 추진 일정
 
ㅇ 기관별 세부추진계획 마련(~8월 첫째주) → 수요조사 및 유망 바이어 발굴 → 기관별 화상상담회 운영(~12월) → 사후지원(온라인 쇼핑몰 입점 등, ~12월)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