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바이오 강국’위해 수요-공급기업 힘 모은다.

btn_textview.gif

 
바이오 강국위해 수요-공급기업 힘 모은다.
 
산업부, 연대·협력 산업전략*의 대표케이스로 바이오 산업 육성
   
* 대표사례 발굴, 맞춤형 지원 제공 등 본격 추진 (보도참고 별도 배포)
 
바이오 소부장 연대협력 협의체 발족및 바이오 소부장 기술개발 지원(5년간 857억원) 통해 수요-공급기업간 협력 모멘텀 확보
 
‘21년부터 바이오플랜트 압력용기 개방검사 주기를 현행 2년에서 4년으로 연장하여 바이오 생산 역량 강화
 

 
개요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9.24, 바이오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바이오 소부장 연대협력 협의체가 발족되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수요기업 13개사와 아미코젠, 동신관 유리공업, 에코니티, 제이오텍 등 공급기업 42개사가 참여하고, 한국바이오협회와 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 협의체 운영을 지원한다.
 
협의체 참여 기관들은 바이오 핵심 소부장 기술개발협력부터 착수하여,
 
공급기업이 수요기업 요구에 맞는 수준으로 품목을 개발하면, 수요기업실증테스트 및 기술자문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 바이오 소부장 연대협력 협의체 발족식 개요 >
 

 

 

(일시/장소) ‘20.9.24.(), 오후 1:30~2:20 / 여의도 메리어트 호텔
 
(주요 참석자) 산업부 성윤모 장관, 강경성 실장, 이정동 대통령경제과학특보,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 삼성바이오로직스 김태한 사장, 정양호 KEIT 원장, 서정선 한국바이오협회장 등
 
(진행방식) 대면 참석자 규모는 최소화하고, 유튜브(산업통상자원부 채널) 송출, 화상 참여 등 병행
협의체 배경 및 기대효과
 
금번 발족식 계기 산업부는 코로나 위기 속 경제주체간 협력을 촉진하는연대·협력 산업전략 추진방안을 발표하였다.
 
위기 극복과 미래준비를 위해 연대·협력 모델을 개발·확산하고, 참여주체 확대, 유형별 맞춤형 정책지원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연대·협력 산업전략 추진방안주요내용은 보도참고자료 별도 배포
 
 
이러한 산업 연대·협력의 대표적인 사례로 추진되는 동 협의체는 우리나라 바이오의약품 생산의 양적 성장과 함께 질적 내실화도 도모하기 위해 민관 합동으로 발족된 것으로,
국내 바이오의약품 생산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나,
생산에 필요한 핵심 원부자재장비는 여전히 글로벌 기업 제품에 의존** 중인 한계를 극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 바이오의약품 생산 규모는 전년대비 16.6% 증가
(‘1822,309억원 ’1926,002억원)
  
** 바이오의약품 생산 장비 국산화율은 약 16.5% 수준(‘19.5,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
 
특히, 바이오 소부장 기술력 확보 시 소부장 수요기업탄력적이면서도 안정적인 원부자재·장비 확보가 가능해져 생산 경쟁력을 보다 강화할 수 있고,
 
공급기업핵심기술 개발 및 트랙레코드(Track Record) 확보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촉진하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