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질병관리청]코로나19 예방접종 및 국내 발생 현황(2.16.)

btn_textview.gif

코로나19 예방접종 및 국내 발생 현황(2.16.) 


주요국 코로나 중환자 발생 비교

오미크론에 의한 폭발적인 증가 이후, 주요국에서 높은 중환자 발생

한국은 발생률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중환자 발생은 낮은 수준으로 유지


방역패스용 완치확인서 전자증명·온라인 발급기능 개선

2 16()부터,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용 코로나19 완치 확인서의 전자증명·온라인 발급이 진단일 기준 7일 후부터 가능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2월 16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9,603명, 2차접종자 10,520명, 3차접종자  137,277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757,215명, 2차접종자수는 44,249,882명, 3차접종자수는 29,769,192명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단위 : , %)

구분

전일 누계(A)

신규 접종(B)1)

누적 접종(A+B)1)

인구2)대비 접종률

전체

12+

18+

60+

1

44,747,612

9,603

44,757,215

87.2

95.1

96.9

96.1

2

44,239,362

10,520

44,249,882

86.2

94.0

95.9

95.5

3

29,631,915

137,277

29,769,192

58.0


67.2

87.2

1)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초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1차 접종‘2차 접종통계에
모두 추가하고, 얀센 2차의 경우 3차 통계에 추가

2) ’21.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백신별 접종현황

(단위 : )

구분

1차접종

2차접종

3차 접종

신규

누적

신규

누적

신규

누적

9,603

44,757,215

10,520

44,249,882

137,277

29,769,192

PF

4,556

25,288,369

9,878

26,805,177

95,126

19,770,112

M

103

6,804,581

464

6,624,516

41,649

9,968,203

AZ

-

11,070,128

-

9,237,140

-

707

J1)

15

1,514,272



25

25,978

NVX

4,929

9,258

163

250

477

705

기타백신2)

-

70,607

-

68,527

-

3,487

1) 얀센백신은 1차 접종으로 기초 접종이 완료되어, 2차 접종으로 백신 사용되지 않음

2) 기타백신은 국외 허가백신(국내 미승인 백신(WHO 승인백신))의 접종력이 등록된 자(시노팜, 시노백 등)


□ 2월 16일 0시 기준 성별·연령별 접종 현황은 다음과 같다.


성별·연령별 접종 현황

(단위 : , %)

구분

인구*

(A)

접종자 현황

접종률

1(B)

2(C)

3(D)

1

(B/A)

2

(C/A)

3

(D/A)

51,317,389

44,757,215

44,249,882

29,769,192

87.2

86.2

58.0

성별

남성

25,575,878

22,410,915

22,162,060

14,784,620

87.6

86.7

57.8

여성

25,741,511

22,346,300

22,087,822

14,984,572

86.8

85.8

58.2

연령

80세 이상

2,455,738

2,230,225

2,207,736

2,035,287

90.8

89.9

82.9

70-79

3,883,747

3,742,087

3,723,238

3,504,566

96.4

95.9

90.2

60-69

7,404,447

7,236,241

7,197,959

6,450,811

97.7

97.2

87.1

50-59

8,574,374

8,417,997

8,364,174

6,400,456

98.2

97.5

74.6

40-49

8,035,809

7,697,499

7,622,398

4,614,868

95.8

94.9

57.4

30-39

6,591,585

6,344,971

6,241,249

3,236,412

96.3

94.7

49.1

20-29

6,404,726

6,337,404

6,260,364

3,095,600

98.9

97.7

48.3

12-19

3,732,656

2,750,791

2,632,764

431,192

73.7

70.5

11.6

(18-19)

(963,728)

(912,088)

(900,645)

(431,192)

(94.6)

(93.5)

(44.7)

(12-17)

(2,768,928)

(1,838,703)

(1,732,119)

(-)

(66.4)

(62.6)

(-)

11세 이하

4,234,307







* ’21.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초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2차 접종합계에도 추가, 얀센 2차의 경우 3차 합계에 추가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2. 국외 코로나 중환자 발생 동향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최근 우리나라와 주요 6개국에서의 오미크론 유행에 의한 중환자 수를 비교한 결과를 공개하였다.


 ○ 국가별 인구 대비 주간(21.2.8.∼21.2.14.) 중환자 수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최근 오미크론 확산의 영향으로 확진자가 급증하였거나 감소 추세에 들어선 국가들보다도 낮은 수준의 중환자 수가 보고되고 있다. 


 ○ 우리나라 인구 100만 명당 중환자 수는 6.0명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며, 미국은 46.3명, 프랑스 49.0명, 독일 29.5명, 캐나다 23.7명, 영국 6.1명(2월 11일 기준), 일본 14.6명(2월 9일 기준)으로 우리나라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 7개국 주간 중환자 수(인구 백만 명당) 변화(’21.11.1.∼’22.2.14.) (Our world in data) 그림 붙임 참고>



3. 방역패스용 완치확인서 전자증명·온라인 발급기능 개선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월 16일(수)부터,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용 코로나19 완치 확인서의 전자증명·온라인 발급이 진단일 기준 7일 후부터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 이 완치 확인서는 PCR검사로 코로나19 확진 후 격리해제 되었을 때 발급되며, 이전에는 전자증명·온라인 발급이 진단일 기준 10일 후부터 가능했으나, 오미크론 방역체계 개편으로 변경(2.9)된 확진자 격리기준을 반영하여 7일 후부터 가능하도록 개선한 것이다.


 ○ 2차 접종(얀센 백신은 1차 접종) 미완료자는 완치 확인서를 격리해제일로부터 180일간 유효한 방역패스 증명서로 사용할 수 있다.


   - 전자 증명서는 COOV앱 또는 이와 연동된 전자출입명부 플랫폼(네이버·카카오 등)을 통해 본인인증 후, ‘완치 확인서’로 발급 가능하며,


   - 종이 증명서 또한 방역패스 통합 확인서 발급 누리집(http://pedpass.kdca.go.kr)을 통해 본인인증 후,‘접종증명·음성확인제 통합 확인서’로 직접 출력할 수 있다.



< 완치확인서(전자증명서), 접종증명·음성확인제 통합 확인서(온라인출력) 그림 붙임 참고 >



 ○ 한편, 2차 접종 완료자(얀센 백신은 1차 접종)가 PCR검사로 코로나19 확진 후 격리해제된 경우에는 기존 예방접종증명서의 유효기간 만료일이 삭제되는 방식*으로 전자 증명서가 발급되고 있으며,


    * 유효기간과 무관하게 QR스캔시 접종완료자로 안내


   - 2차 접종 완료 후 확진된 경우에는 격리해제된 날부터, 확진 후 2차 접종을 완료한 경우에는 접종 후 14일이 경과된 날부터 이를 적용하고 있다.


< 코로나19 확진자의 접종력에 따른 전자·온라인 방역패스 증명서 >


구분

전자·온라인 방역패스 증명서

발급 가능일

미접종자 또는

1차 접종 완료자

격리해제일로부터 180일간 유효한

완치확인서(전자증명서)

진단일 기준

7일 후부터 발급

접종증명·음성확인제 통합 확인서

(온라인 출력)

확진 후 2(얀센은 1) 접종 완료자

유효기간 만료일이 없는* 예방접종증명서(전자증명서)

* 별도 발급 없이 기존 증명서 유효기간 삭제

접종증명·음성확인제 통합 확인서
(온라인 출력)

2차 접종 후 14일이 경과한 날부터 발급

2(얀센은 1) 접종 완료 후 확진자

격리해제된 날부터 발급


   * 3차 접종자는 확진 여부와 관계 없이 유효기간 만료일이 없는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중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 19 예방접종 완료자, 완치자, PCR검사 음성, 의학적 사유 예외자와 같이 방역패스 대상임을 확인할 수 있는 ‘접종증명·음성확인제 통합 확인서’를 온라인으로 직접 출력할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 단, 신속항원검사 음성 확인은 보건소의 문자 또는 종이증명서나 호흡기전담클리닉의 의료기관 자체 소견서를 통해서만 가능하며, 접종 이상반응 입원치료 등 의학적 사유 예외자는 최조 인정시 보건소 방문 필요


 ○ 종이 증명서가 필요한 경우 보건소 방문 없이 가능한 방역패스 통합 확인서 발급 누리집(http://pedpass.kdca.go.kr)의 직접 출력 서비스를 이용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4. 국내외 코로나19 변이 세부계통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며, 오미크론의 세부계통 또한 변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 유행 과정에서 바이러스의 유전자서열은 지속적으로 조금씩 변화하는데 이는 바이러스 확산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 현재 세계보건기구(WHO)를 중심으로 오미크론을 대상으로도 미세하게 일어나는 유전자서열변화를 감시하고 있으며 유전자 서열 유사성이 높은 바이러스를 오미크론 내에서 세부계통으로 분류, 그 특성 변화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 있다. 


 ○ 이에 따라 ‘21.11월 B.1.1.529 계통의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가 전 세계로 퍼지며 국내에도 유입되었으나, 초기 B.1.1.529 계통은 현재 BA.1, BA.1.1, BA.2, BA.3 4개의 세부계통으로 분류되었다. 


   - 코로나19 유전자 정보공유 사이트(GISAID, 2. 5 기준)의 유전자 정보를 분석한 결과, 전 세계적으로 오미크론이 12월부터 급증하여 1월 우세종(95.1%)이 되었고, 


   - 1월 기준으로 전세계 오미크론 세부계통은 BA.1 54.3%, BA.1.1 34.1%, BA.2* 6.7% 순으로 점유율을 나타내었다. 


     * 스텔스오미크론으로 알려짐


 ○ 국내의 경우, 해외유입은 21.12월, 국내감염은 22.1월 이후 각각 우세종화 되었다.


    * (해외유입) ’21.12월 65.0%→ ’22.1월 98.6%, (국내감염) ’21.12월 4.7%→ ’22.1월 61.7%


   - 1월 기준 해외유입 오미크론의 세부계통은 BA.1.1 42.5%, BA.1 38.8%, BA.2 17.4% 순으로 점유율을 보였으며, BA.2의 유입이 증가(’21.12월 3.2%→‘22.1월 17.4%) 하였다.


   - 1월 기준 국내감염은 BA.1.1이 53.2%, BA.1 7.1%, BA.2 1.4% 순으로 확인되어, BA.1.1이 해외유입 사례와 동일하게 가장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BA.2는 여전히 낮은 점유율이나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국내 변이바이러스 계통별 점유율 현황(2.5.) 그림 붙임 참고 >



 ○ BA.1과 BA.2간의 백신효과는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어 오미크론의 세부계통간 특성차이는 크지 않을 것으로 사료되나, 일부 국가에서 BA.2 전파력이 BA.1보다 다소 높을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 다만, 상대적으로 낮은 BA.2의 점유율(6.7%)로 전파력, 백신․치료제 효과, 중증도 영향 등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해 추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 가족 내 밀접접촉으로 2차 감염될 가능성에 대해 영국(보건청)은 BA.1 10.3%, BA.2 13.4%, 덴마크(Statens Serum Institut)는 BA.1 29%, BA.2 39%로 분석함



5.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월 16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13명, 사망자는 3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7,202명(치명률 0.46%)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관리 현황*(‘20.1.3. 이후 누계)】


구분

재원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입원환자***

2.15() 0시 기준

314

7,163

1,199

2.16() 0시 기준

313

7,202

1,686

변동

(-)1

()39

(+)487

* 2.15. 0시부터 2.16.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일일 신규 입원 환자 수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0,281명, 해외유입 사례는 162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90,44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552,851명(해외유입 27,659명)이다.


구분

합계

국내

90,281

18,834

6,483

4,190

5,817

2,294

2,589

1,759

694

27,954

1,758

2,201

2,991

2,555

1,930

2,863

4,445

924

0

해외

162

45

0

0

5

4

1

0

2

9

26

2

12

7

0

6

5

0

57

합계

90,443

18,879

6,483

4,190

5,822

2,298

2,590

1,759

696

27,963

1,784

2,203

3,003

2,562

1,930

2,869

4,450

924

57


□ 2월 16일 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4쪽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2월 16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0,281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60,106.3명), 수도권에서 52,605명(58.3%) 비수도권에서는 37,676명(41.7%)이 발생하였다.


(주간: 2.10.~2.16., 단위: )

구분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권

제주권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

2.16.(0시 기준)

90,281

52,605

8,475

6,779

7,053

12,687

1,758

924

주간 일 평균

60,106.3

36,069.1

5,678.6

4,732.3

4,722.4

7,195.1

1,143.1

565.6

주간 총 확진자 수

420,744

252,484

39,750

33,126

33,057

50,366

8,002

3,959

주간 발생률*

116.4

138.6

102.5

93.5

94.2

92.4

74.3

83.6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선별진료소 및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세부 절차

        4. 확진자 및 접촉자 관리 기준 변경 주요사항 전후대비표

        5. 확진자 및 동거인 안내문 ①

        6. 확진자 및 동거인 안내문 ②

        7. 재택치료 안내문 (집중관리군)

        8. 재택치료 안내문 (일반관리군)

        9. 동거인 안내문 포스터(가족 간 전파 예방, 건강 관리)

       10. 방역패스 예외확인서 발급대상 및 발급방법 안내 카드뉴스 

       11. 코로나19 백신접종 후 감염에 대한 이해

       12. 유전자검사(PCR) 우선순위 대상 안내문

       13. 오미크론 대응 국민행동수칙 및 업무지속계획 주요내용

       14. 방역패스 적용시설 및 입장 가능자 안내 포스터 2종

       15. 식당·카페 방역패스 및 방역수칙 안내

       16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슬기로운 환기 가이드라인

       17. 국내체류 외국인 3차접종 안내문

       18. 면역저하자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19. 임신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임신부용)  

       20. 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청소년용) 

       21. 청소년 기저질환의 범위

       22. 청소년 심근염·심낭염 진료 안내문(의료인용)

       23.「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