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문화재청](국영문 동시배포) 국립고궁박물관, 이달(10월)의 추천 유물로 ‘강서 시권’ 소개

btn_textview.gif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인규)은 ‘강서 시권’을 10월의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로 정해 4일부터 국립고궁박물관 2층 상설전시장 ‘조선의 국왕’ 전시실에서 공개하고, 문화재청과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 영상으로도 선보인다.
* 문화재청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luvu
*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 https://www.youtube.com/gogungmuseum

  <강서 시권>은 과거시험 과정 중 구술시험으로 치른 문제와 결과를 표기한 시험지다. 구술 시험은 문과, 무과, 잡과 시험 등 과거시험에서 꼭 거쳐야 하는 과정이었지만 그 사실이 널리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 시험지는 구술시험 중에서도 주요 유교 경전 7개에서 각각 구절을 뽑아 외우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칠서강(七書講)을 담고 있다.
* 칠서강: 삼경(주역, 서전, 시전)과 사서(논어, 맹자, 중용, 대학)를 대상으로 치르는 구술시험

  시험지에는 각 경전의 제목이 도장으로 찍혀 있고 그 아래에 문제와 시험 성적, 시험관의 서명이 차례로 되어 있으며, 오른쪽에는 접힌 자국과 근봉(謹封) 도장이 남아 있다. 접힌 공간에 응시자의 신상정보를 적은 뒤 끈으로 묶어 봉하고, 시험을 볼 때는 실명 대신 천자문으로 부여한 자호(字號)를 불러 부정행위를 방지하였다. 이처럼 시험지에 남아있는 흔적을 바탕으로 공평하게 인재를 등용하고자 했던 조선 왕실의 노력을 읽을 수 있다.
* 근봉: 삼가 봉한다는 뜻으로, 봉투를 봉하고 나서 표지에 쓰는 말
* 자호: 천자문의 차례에 따라 매긴 번호

  <강서 시권>과 더불어 국립고궁박물관 상설전시실에서는 조선후기 문신인 신현이 작성하고 임금(순조)이 직접 검토한 답안지인 <신현 시권>도 같이 관람할 수 있다. 또한 적극행정의 일환으로 박물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국민 누구나 볼 수 있도록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gogung.go.kr)과 문화재청․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에서 국·영문 자막과 함께 해설영상으로 공개한다.


10월 큐레이터 추천 유물 강서 시권.jpg

< 10월 큐레이터 추천 유물 강서 시권 >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
영진 10000 비닐노트 10호 대16절 / 1권 낱권/200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