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참고자료) 산업통상자원부 23년 예산 11조 737억원 확정

btn_textview.gif


산업통상자원부 23년 예산 11737억원 확정

- 22년 본예산(111,571억원) 대비 0.7% (834억원) 감소

- 첨단·주력산업 육성 및 고도화, 에너지 안보·복지·안전 강화,
수출투자 확대를 통한 경제활력 제고 및 경기회복 뒷받침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2023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1224일 국회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되었다.

 

ㅇ 내년도 산업부 예산 및 기금 규모는 총 11737억원으로, 국회 심의 과정에서 ‘23년 정부안 107,437억원 대비 3,354억원이 증액, 55억원이 감액되어 3,300억원 순증되었다.

 

* 예산: (‘22) 8632억원 (’23) 84,472억원 (+3,841억원, +4.8%)
기금: (‘22) 3939억원 (’23) 26,264억원 (4,675억원, 15.1%)

 

ㅇ 내년 예산은 정부의 건전재정 기조 올해 본예산 대비 0.7% 감소하였으나, 내년도 경제활력 회복을 뒷받침하고 산업경쟁력을 강화 있도록 국정과제와 미래 핵심전략기술에 대한 R&D 투자 등은 확대하였다.

 

* R&D: (‘22) 58,323억원 (’23) 56,413억원 (1,910억원, 3.3%)
R&D: (’22) 53,248억원 (‘23) 54,324억원 (+1,076억원, +2.0%)

 

< 산업통상자원부 예산 추이(본예산 기준, 억원)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68008d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0pixel, 세로 274pixel

 

내년도 산업통상자원부 예산의 중점 투자분야 및 주요사업은 다음과 같다.


첨단·주력산업 육성 및 고도화를 통한 산업의 대전환 가속화
(22) 55,286억원 (23) 56,311억원 (+1,025억원, +1.9%)


 

(첨단산업) 글로벌 시장에서 속도 경쟁에 대응하고 선도적 위치로 도약할 수 있도록 도전적 기술개발, 인프라 등 기반구축 투자 확대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을 위해 용인·평택 반도체 특화단지의 필수 인프라 설비투자,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산업 육성 및 현장맞춤형 인력양성 등을 지원

 

* 평택반도체특화단지기반시설특별지원(신규): (‘23) 500억원

* 용인반도체특화단지기반시설특별지원(신규): (‘23) 500억원

* 시스템반도체기업성장환경조성: (‘22) 56억원 (’23) 64억원

* 전략제품창출글로벌K-팹리스육성기술개발(R&D): (‘22) 73억원 (’23) 215억원

* 민관공동투자반도체고급인력양성(R&D)(신규): (‘23) 100억원

 

이차전지 산업 혁신을 위한 상용화 및 첨단기술 개발 지원, 바이오·나노, 로봇·항공 등 미래먹거리 창출을 위한 지원 추진

 

* 차세대이차전지상용화지원센터: (‘22) 30억원 (’23) 97억원

* 이차전지육성거점센터구축지원(신규): (‘23) 15억원

* mRNA백신실증지원기반구축: (‘22) 14억원 (’23) 56억원

* 서비스로봇용전자융합부품Agile제조실증기반구축(신규): (‘23) 25억원

 

(주력산업) 미래차로의 신속하고 유연한 전환과 신산업 창출을 위해 친환경·자율차 기술개발과 함께 부품기업의 사업재편과 인력전환 등 지원

 

* 자동차산업기술개발(R&D): (‘22) 2,007억원 (’23) 2,345억원

*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R&D): (‘22) 362억원 (’23) 469억원

* 자동차산업고용위기극복지원: (‘22) 43억원 (’23) 65억원

 

조선 산업의 초격차 확보를 위한 인력양성, 스마트·친환경 선박 기술개발, 실증·건조 플랫폼 기반구축 지원 등 제조 생산성 혁신 추진

 

* 친환경선박전주기핵심기술개발(R&D): (‘22) 34억원 (’23) 181억원

* 조선해양철의장제조산업디지털전환(IDX)지원사업(신규): (‘23) 12억원

 

철강, 화학, 시멘트,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주요 업종의 탄소배출 공정을 탄소중립 공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실증 사업 신규 추진

 

* 탄소중립산업핵심기술개발(R&D)(신규): (’23) 410억원

 

(소부장)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여 소·부품의 수입선 다변화 및 해외의존도 완화,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핵심소재 기술자립, 수요연계형 기술개발 등 경쟁력 강화 지원

 

ㅇ 아울러, 공급망 심층분석을 통한 조기경보 시스템 운영 및 고도화, 컨설팅 지원 등 체계적인 공급망 위기대응을 위해 신규 예산 편성·지원

 

* 소재부품기술개발(R&D): (‘22) 8,410억원 (’23) 9,376억원

* 전략핵심소재자립화기술개발(R&D): (‘22) 1,842억원 (’23) 1,864억원

* 소부장공급망안정종합지원(신규): (‘23) 16억원

 

(지역발전) 산업단지의 디지털화, 저탄소화, 근로·정주 여건 개선 및 안전강화 등을 통해 혁신적이고 역동적인 새로운 산업공간으로 전환 지원

 

ㅇ 지역특성을 고려한 산업역량 강화 지원과 함께, 지역혁신 클러스터 육성, 기업의 지방 신규투자 지원을 통해 지역 균형발전 도모

 

* 산업단지환경조성: (‘22) 3,261억원 (’23) 3,087억원

*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R&D): (‘22) 1,534억원 (’23) 1,527억원

* 지역투자촉진: (‘22) 1,881억원 (’23) 1,998억원

*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 관련 지원: (‘22) 875억원 (’23) 929억원

 


에너지안보 강화, 산업 창출 등을 통한 튼튼한 에너지시스템 구현(22) 45,248억원 (23) 43,490억원 (1,758억원, 3.9%)


 

(원전) 원자력 산업의 생태계 복원과 수출 경쟁력 강화, 미래 유망기술 확보와 기반 구축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새로운 일감 적극창출 추진

 

ㅇ 한국원전의 해외홍보 및 수주지원, ·재직자 역량강화 등 인력양성 지원, 원전 안전성 향상지원 방폐물 처분시설 건설 지원

 

미래 유망산업인 소모듈원자로(SMR), 원전해체 등 차세대 연구개발 통해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경쟁력 확보 지원

 

* 전력해외진출지원사업: (‘22) 41억원 (’23) 77억원

* 원자력생태계지원사업: (‘22) 65억원 (’23) 89억원

* 혁신형소형모듈원자로(i-SMR)기술개발사업(R&D)(신규): (‘23) 39억원

* 원전해체경쟁력강화기술개발사업(R&D)(신규): (‘23) 337억원

 

(에너지안보) 안정적인 에너지 수급을 위해 비축·도입·국산화 등 자원 공급망을 강화하고 수급위기 대응역량 제고

 

ㅇ 석유·광물 등 수급차질 대비 비축확대, 국내외 자원개발 등을 통한 도입선 다변화, 청정수소 생산·도입, 유통구조 시스템 고도화 등 지원

 

* 석유비축사업출자: (‘22) 382억원 (’23) 673억원

* 한국광해광업공단출자: (‘22) 112억원 (’23) 372억원

* 해외청정수소암모니아생산및도입기반구축(신규) : (‘23) 40억원

 

 

(에너지 복지·안전) 에너지 취약계층의 에너지비용 부담 경감을 위해 에너지바우처 지원 규모 및 단가 대폭 확대, 노후변압기 교체 지원 등 추진

바우처 지원단가(가구당): (‘22 본예산 기준) 12.7만원 (’22 추경) 18.5만원 (‘23) 19.5만원

 

* 에너지바우처: (‘22) 1,389억원 (’23) 1,910억원

* 노후변압기교체지원: (‘22) 15억원 (’23) 33억원

 

광산재해 예방을 위한 광산안전 시설·장비 확충, 가스·석유·수소·전기설비 등 에너지시설 안전관리 및 기술개발 지원

 

* 일반광업육성지원: (‘22) 150억원 (’23) 234억원

* 전기설비안전기반구축: (‘22) 7억원 (’23) 15억원

 

(효율향상 및 저탄소전환) 에너지 저소비·고효율 구조 전환을 위해 에너지효율시장 조성 및 저소득층의 고효율가전 구매를 지원하고, 국민들의 자발적인 에너지 절약 실천을 지원하기 위한 에너지캐쉬백 사업 도입

 

* 전력효율향상: (‘22) 415억원 (’23) 518억원

* 에너지진단보조: (‘22) 94억원 (’23) 149억원

 

아울러, 재생·수소·전력 등 에너지 유망 신산업 기술개발, 청정수소 시험평가 등 지원

 

* 해상풍력산업지원: (‘22) 74억원 (’23) 165억원

* 수소산업진흥기반구축사업: (‘22) 51억원 (’23) 82억원

 


수출·투자 확대 및 국익과 실용 중심의 통상전략 추진
(22) 9,423억원 (23) 9,310억원 (114억원, 1.2%)


 

(수출·투자확대) -우 전쟁 장기화, 공급망 재편, 주요국 금리인상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역대 최고 수출실적을 달성한 22년의 수출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무역리스크 대응, 수출저변 확대 및 해외마케팅 등 총력 지원

 

우리 기업의 수출판로 개척을 위한 해외전시회 참가, 수출상담회 개최 지원, 해외공동물류센터를 활용한 물류 애로 해소 등 추진

 

글로벌 첨단기업의 외국인투자와 유턴을 지원하여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고 고용확대와 지역발전을 추진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22) 2,991억원 (’23) 3,029억원

* 투자유치기반조성: (‘22) 1,475억원 (’23) 1,569억원

 

(통상·협력) ·, ·EU 등 양자 통상채널을 통한 첨단산업 공급망 재편 적극 대응 및 국가별 맞춤형 협력 추진

 

WTO 통상분쟁·수입규제 등에 적극 대응하는 한편, IPEF(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 디지털통상, 탄소중립, 환경 등 통상 규범 논의를 주도

 

* 통상기반조성및역량강화: (‘22) 22억원 (’23) 25억원

* 통상분쟁대응: (‘22) 232억원 (’23) 229억원

 

(부산엑스포) 2030 부산세계박람회의 성공적 유치를 위해 BIE(국제박람회기구) 대상 전방위적인 교섭·홍보활동 지원

 

* 부산엑스포유치지원: (‘22) 170억원 (’23) 254억원

 

산업부는 내년도 글로벌 경기둔화에 따른 수출 감소 등 우리 경제·산업에 어려움이 예상됨에 따라, 연초부터 예산을 신속히 집행하여 대내외 리스크에 총력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 기획재정부가 관리·운용하는 기후기금의 23년 산업부 소관사업 225,914억원 대비 918억원(+15.5%) 증가한 6,832억원으로, 탄소중립형 산업단지 환경조성 등 온실가스 감축, 친환경 수소버스 보급 확대, 사업재편 탄소중립 기술개발 등 탄소중립 기반구축, 저소득층 에너지효율개선 등 공정한 전환 등의 사업을 중점 지원한다(기후기금은 산업부 총지출에서 제외).

 


담당 부서

정책기획관

책임자

과 장

배준형

(044-203-5520)

<총괄>

기획재정담당관

담당자

서기관

김혜원

(044-203-5525)

 

 

주무관

조정웅

(044-203-5522)

주무관

이진구

(044-203-5514)

 

 

주무관

강민구

(044-203-5517)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티모르 여성용 멜빵 청바지 200339
웨이브 꼬임 디테일 에나멜 굽 포인트 샌들 슬리퍼
여성 여름 바람막이 숏 점퍼 간절기 아우터 자켓
스판덱스자외선차단장갑 운전장갑 여름 햇빛차단
삼성 노트북9 메탈 13 노트북 외부보호필름세트
갤럭시Z플립5 4 3 썸데이 컬러 범퍼케이스 ZFilp5 제
HC-0092 쫀득쿵 자동차 대시보드 논슬립차량용 거치대
(IT) 한성컴퓨터 P56 노트북 키스킨 키커버
이케아 GUBBARP 구바르프 손잡이 21mm 화이트 2개입
이케아 GLASIG글라시그 미니양초홀더 유리5x5cm 5개입
접이식선반 5단 원터치 폴딩 철제수납장 다용도선반 베란다 서재 거실 욕실 주방수납
국내산 초극세사 도넛 마사지 얼굴베개
코카콜라 업소용 슬릭 245ml 60캔 (30캔x2박스)
삼덕퀸스타 접는과도
목이길어 더 깔끔한 목이긴위생장갑 20매x50개 BOX
휴대용 폴딩 자바라 높이조절 접이식 아코디언 코끼리 의자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