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질병관리청]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 사전예약 27일부터 진행 중 (9.29.목)

btn_textview.gif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 사전예약 27일부터 진행 중




- 주요 내용 -


□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 사전예약 27일부터 실시 중

 ○ 코로나19로 인한 건강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감염취약시설, 면역저하자, 60세 이상 연령층 등 건강 취약계층부터 우선 접종 

 ○ 사전예약 9월 27일(화)부터 진행 중, 당일접종 및 예약접종 10월 11일(화) 시작 

 ○ 온라인 및 1339 콜센터 등 전화를 통한 사전예약 및 당일접종, 감염취약시설의 경우 시설별 특성에 따라 방문접종 및 자체접종 시행

 ○ 신규 면역저하자는 보건소에서 대상자 등록 후 접종 참여 가능


□ 모더나 BA.1 기반 2가 백신 총 500만 회분 도입

 ○ 9월 2주 초도물량 161.1만 회분 도입 이후 9.29일 총 500만 회분 확보

   * 도입 현황(만 회분) : (9.15) 80.5, (9.17) 80.6, (9.19) 80.3, (9.22) 77.1, (9.23) 80.7, (9.25) 100.8




 1. 코로나19 동절기 추가접종 사전예약 27일부터 실시 중



□ 코로나19예방접종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 이하 ‘추진단’)은 모더나 BA.1 기반 2가백신 접종 사전예약이 9월 27일부터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 29일 0시 기준 2가백신을 활용한 동절기 추가접종 사전예약에 10.2만 명이 참여하였으며, 대상자 대비 예약률은 0.3%이다.


구분

인구1)(A)

대상자2)

(B)

예약자

예약률

신규

누적(C)

인구 대비

(C/A)

대상자 대비

(C/B)

총계

44,314,154

39,582,298

51,369

101,949

0.2

0.3

60세 이상 계

13,743,932

11,411,957

51,092

101,180

0.7

0.9

80대 이상

2,455,738

1,978,158

8,345

16,407

0.7

0.8

70-79

3,883,747

3,213,296

18,194

34,544

0.9

1.1

60-69

7,404,447

6,220,503

24,553

50,229

0.7

0.8

18-59세 계

30,570,222

28,170,341

277

769

0.0

0.0

50-59

8,574,374

7,155,374

180

475

0.0

0.0

40-49

8,035,809

7,595,418

67

209

0.0

0.0

30-39

6,591,585

6,254,350

24

68

0.0

0.0

20-29

6,404,726

6,262,443

6

17

0.0

0.0

18-19

963,728

902,756

-

-

-

-



□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은 유행변이에 대응하여 개발된 mRNA 2가백신(화이자, 모더나)을 활용하여 시행할 예정이다. 


 ○ 모더나 BA.1 기반 2가 백신은 9.8일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허가 이후 9.15일부터 국내에 순차 도입되었으며, 9.29일 현재 총 500만 회분*이 국내에 도입되었다. 


    * 도입 현황(단위 : 만 회분) : (9.15) 80.5 (9.17) 80.6 (9.19) 80.3 (9.22) 77.1 (9.23) 80.7 (9.25) 100.8


 ○ 먼저 도입된 모더나의 BA.1 기반 2가백신을 먼저 활용하고, 화이자의 BA.1 기반 2가백신도 신속하게 도입할 예정이다.




□ 또한, 추진단은 면역저하자, 감염취약시설 등 접종대상별 접종방법을 상세하게 안내하였다.


 ○ (60세 이상) 온라인 및 1339 콜센터 등 전화, 주민센터 방문을 통한 사전예약이 가능하며, SNS와 예비명단을 활용한 당일접종이 가능하다.


<사전예약 및 당일접종 방법>

(사전예약) 온라인(본인 및 대리예약, 사전예약누리집(ncvr.kdca.go.kr))

   ②전화예약(1339, 지자체콜센터), 주민센터 방문예약

(당일접종) SNS(카카오톡·네이버) 잔여백신 예약, 의료기관 유선 연락하여 예비명단 작성



 ○ (면역저하자) 18~59세 연령층 중 기존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면역저하자’ 대상군으로 접종받지 않으신 분들은 보건소에서 ‘면역저하자’ 대상자 등록(서류 지참 불필요) 후 접종에 참여할 수 있다.


     * 기존에 면역저하자로 접종받은 분은 대상자 등록없이 예약 및 접종 가능


 ○ (감염취약시설) 시설별 특성에 따라, 방문접종*과 자체접종(요양병원, 정신의료기관)이 가능하고, 종사자 및 거동가능한 시설 입소·이용자는 위탁의료기관에서 접종할 수 있다.


     * 시설계약의사 또는 보건소 방문접종팀 방문접종(보건소 상황에 따른 내소접종 가능)


□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 기타 시행계획은 다음과 같다.


 ○ (접종목표) 겨울철 코로나19 재유행 위험에 대비, 유행변이에 대응하여 개발된 2가백신을 활용한 접종으로, 건강취약계층 등에 대한 두터운 보호를 도모하고, 이를 통한 건강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한다. 


 ○ (접종대상) 면역저하자, 감염취약시설(요양병원·시설, 정신건강증진시설, 장애인·노숙인 시설 등) 입원·입소·종사자 및 60세 이상 연령층 등 건강취약계층부터 우선 시행할 예정이다.


   - 다만, 잔여백신을 활용한 당일접종은 2·3순위의 기초접종 이상 완료자도 10월부터 가능하다.


 ○ (접종간격) 마지막 접종 또는 확진일 기준 4개월 이후 접종을 권고한다.


 ○ (접종일정) 사전예약은 9월 27일(화)부터 진행되고 있으며, 사전예약에 따른 예약접종과 당일접종은 10월 11일(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 또한, 감염취약시설 접종은 10월 초부터 지자체별 여건에 따라 시행할 예정이다.


 ○ (이상사례 감시) 새로운 백신이 활용되는 만큼, 접종 시행 초기에는 이상사례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다. 


   - 10월 11일(화)부터 접종자 중 문자 수신에 동의한 경우(최대 1만명), 접종 이후 일주일간 능동감시를 통해 건강상태 및 일상생활 문제 여부 등을 확인할 계획이며,


   - 접종자 전원에게 접종 시 등록한 연락처로 접종 이후 3일차에 주의사항과 조치사항을 재안내할 예정이다. 




□ 백경란 단장은, “겨울철 코로나19 재유행, 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등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감염취약시설과 고령층 등 건강취약계층의 동절기 추가접종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는 한편, 


 ○ “아직까지 한 번도 코로나19 백신접종을 하지 않으신 분들의 기초접종 완료, 고령층 및 소아청소년 등 고위험군의 인플루엔자 접종에도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했다. 





 2. 이상사례 신고현황 주간 분석 결과(82주차) 



□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사례에 대한 주간(82주차, 9.25. 0시 기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 이상사례 통계는 ‘만 나이’ 기준 예방접종 건수를 기반으로 산출 (인구집단을 기반으로 산출하는 예방접종현황의 예방접종 건수와 다름)


 ○ 전체 예방접종 128,710,064건 중 이상사례는 478,218건(0.37%)이 신고되었으며, 일반 이상사례는 459,058건(96.0%), 중대한 이상사례는 19,160건(4.0%)이었다. 


    * 일반 이상사례는 주사부위의 통증, 발적 등 국소이상반응과 발열, 근육통 등 전신이상반응, 중대한 이상사례는 중증, 사망, 아나필락시스 및 주요 이상사례

     ※ 81주~82주 동안 신고된 이상사례는 687건


   - 백신별 이상사례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10,226건(0.54%), 화이자 백신 245,147건(0.30%), 모더나 백신 112,824건(0.45%), 얀센 백신 8,875건(0.59%), 노바백스 백신 1,146건(0.14%)이었다.


   - 접종 차수별 이상사례는 기초접종(1·2차 접종) 417,124건(0.48%), 3차 접종 56,179건(0.17%), 4차 접종 4,915건(0.07%)이었다.


   - 5~18세 소아·청소년 예방접종 6,747,209건 중 이상사례는 21,307건(0.32%)이 신고되었고, 신고사례 중 일반 이상사례는 20,658건(97.1%), 중대한 이상사례는 627건(2.9%)이었다.

     ※ 자세한 내용은 https://ncv.kdca.go.kr 〉 이상반응 〉 이상반응 발생동향 〉국내 이상반응 발생동향 〉 코로나19 예방접종 안전성 보고서(82주차)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사례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접종받는 사람은 예방접종 이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사례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접종 이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 특히, 중증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 이후 다음과 같은 심근염/심낭염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


심근염 및 심낭염 의심증상

예방접종 이후 아래와 같은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어 지속되는 경우

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호흡곤란 또는 숨가쁨, 호흡시 통증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실신



 ○ 특히, 예방접종 이후 이상사례 의심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심근염, 심낭염 등 신속한 진단·치료 및 예방접종 이후 이상사례 신고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아울러, 이상사례 신고만으로 피해보상 절차가 진행되지는 않으므로, 피해보상을 신청하고자 하는 경우는 의사 등이 이상사례를 신고한 이후 접종받은 자(또는 보호자)가 필요서류를 구비하여 관할 보건소로 신청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 현재,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신청 절차* 및 필요서류** 목록은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에 게재하였으며, 질병관리청 콜센터(국번없이 1339)를 통해서도 관련 내용을 안내받을 수 있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ncv.kdca.go.kr)의 [이상반응]-[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보상신청]

   **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ncv.kdca.go.kr)의 [알림·서식]-[서식]의 신청양식 참조


[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국가 피해보상 절차 ]

이상사례 신고

보상신청

신청접수 및

기초조사

피해보상 심의

의료기관·보호(또는 접종받은 자)의 신고

보호(또는 접종받은 자) 보건소에 직접 신청

···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심의

(본인부담금 30만원 이상)

·도 자체 심의

(본인부담금 30만원 미만)





 3. '22년 제18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결과



□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위원장: 서은숙, 이하 ‘보상위원회’)는 9월 27일 제18차 보상위원회를 열고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신청사례 2,208건을 심의하였다.


     * 임상의사, 법의학자, 감염병·면역학·미생물학 전문가, 변호사 및 시민단체(소비자 단체)가 추천한 전문가 등 15명으로 구성


 ○ 의무기록 및 역학조사 등을 바탕으로 기저질환 및 과거력, 접종 이후 임상경과 등을 종합적으로 심의하여 240건(10.9%)에 대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인정하고 보상을 결정하였다.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기각 사례】

(사례1) 백신으로 인한 일반이상반응의 발생시기(통상 접종 후 3일이내) 및 지속기간(통상 접종 후 7일이내 완쾌(호전))의 시간적 개연성이 떨어지는 경우*

* 접종 10일 후 발생한 복통 및 설사, 접종 3일 후 발생하여 30일 이상 지속된 오심, 구토, 전신쇠약감

(사례2) 기저질환 및 백신과 관련 없는 합병증으로 발생한 경우(말기 신장병, 갑상선기능항진증 )

(사례3) 폐렴, 세균성 장염 또는 바이러스 뇌염 등 백신이 아닌 감염 요인에 의해 발생한 경우



□ 누적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신청 건수는 88,300건*, 심의 완료 건수는 67,282건(76.2%)으로, 이 중 사망 8건 포함 총 21,071건(31.3%)이 보상 결정되었다.


     * 이의신청건(3,808건) 포함


 ○ 한편 본인부담금 기준 30만 원 미만의 소액 진료비 보상신청건 중 13,675건은 신속한 심의를 위해 시·도에서 자체 심의를 거쳐 5,168건이 보상 결정되었다.


【2022년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심의 현황】

구분

심의건수1)

보상2)

기각

진료비

사망일시보상

장애일시보상

총계

67,282

21,071

21,069

8

-

46,211

보상

위원회

심의

소계

53,607

15,903

15,901

8

-

37,704

신규심의

2,208

240

240

-

-

1,968

기존누계

51,399

15,663

15,661

8

-

35,736

·도 자체 심의

13,675

5,168

5,168

-

-

8,507




□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지원센터(센터장 조경숙)는 오늘까지 집계된 관련성 의심 질환 의료비 및 사망위로금 지원사업과 부검 이후 사인불명 위로금 지원 내역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 관련성 의심질환에 대한 의료비 지원 대상자는 총 319명(중증 55명, 경증 264명)이며, 사망위로금의 지원 대상자는 6명이다.


 ○ 부검 후 사인불명 위로금 지원 대상자 45명에게는 해당 지자체를 통해 개별 안내하여 신청 접수 중이며, 29명에게 지급 완료하였다.


관련성 의심 질환 의료비 및 사망위로금 지원사업

(지원대상)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관련성 의심질환*이 발생하고, 예방접종피해조사반 또는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심의 결과 심의기준 -1**에 해당하는 경우

* 관련성 의심 질환: 국내·외 공신력 있는 기관(WHO, EMA, 식약처, 코로나19백신 안전성위원회 등)에 의해 백신과의 관련성 또는 통계적 연관성이 제시되는 질환

** 심의기준 -1: 백신과 이상반응에 대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인과성이 인정되기 어려운 경우(probably not related, unlikely)

(지원범위) 사망위로금 1억원, 의료비(진료비 및 간병비) 5천만원 한도*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질환 관련 필수적인 비급여 포함하여 지원

* 실제 간병비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1일당 5만원 범위에서 간병비 지원

부검 후 사인불명 위로금

(지원대상)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42일 내 사망하고, 부검 결과 사인 불명 사례

(지원범위) 1천만원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사망일시보상금(장제비 포함) 및 사망위로금 집행 현황

구분

질환

인과성 인정

8

혈소판감소성혈전증(1), 심근염(7)

관련성 의심질환

6

심근염(3), 모세혈관누출증후군(2), 길랭-바레증후군(1)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동절기 추가접종 안내문

       2. 면역저하자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동절기 추가접종)

       3.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심의 기준

       4. 감염병 보도준칙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