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보건복지부]연구중심병원, 기술사업화 기반(플랫폼) 구축 가속화

btn_textview.gif

연구중심병원, 기술사업화 기반(플랫폼) 구축 가속화
- 10월29일(목) 연구중심병원협의회 개최, 그간 성과 분석 및 향후 추진 방향 논의 -
연구중심병원 주요 성과

(연구기반) 총 연구비 (’13)5,288억 원 (’19)8,837억 원, 핵심연구인력 (’13)1,998(’19)2,855으로 확대, 연구시설 확충

(기술실용화) 특허* (’13)547(’16)1,252, 기술이전 수입 (’13)24억 원 (’19)143억 원, 신규 창업 (’13)1(’19)15

* 국내 특허 등록건수 + 해외PCT(Patent Cooperation Treaty; 특허협력조약) 특허 출원건수

(기반(인프라) 개방) 외부 연구자개척기업(벤처) 등을 위한 개방형 실험실 운영 및 외부 중개임상연구 지원 (’13)1,125(’19)5,788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10월 29일(목) 연구중심병원협의회 토론회(세미나)를 통해 연구중심병원의 그간의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연구중심병원 관계자들과 논의했다.
    ※ 연구중심병원 개요: <붙임> 참고
 ○ 연구중심병원은 2013년 지정된 이래 연구 기반(인프라) 구축, 연구개발 인력 확보 등 병원을 진료-연구 균형시스템으로 변화해 나가고 있으며, 전체 병원의 연구 역량도 전반적으로 크게 증대된 것으로 드러났다.
 ○ 앞으로 병원과 연구소·대학·기업 간 연결망(네트워크)를 더욱 강화하고, 이를 토대로 환자 치료를 위한 기술 개발과 실용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 연구중심병원의 노력과 이로 인한 구체적인 성과는 아래와 같다.
 ○ 연구중심병원의 가장 큰 변화는 병원의 연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연구전담 조직 설립과 자체 연구비 투자 증대이다.
   - 연구중심병원 총의사수(5,464명) 대비 연구에 참여하는 임상의사*수(연구참여임상의사, 연구전담의사** 포함)는 1,923명으로 35%에 달한다.(‘19년 기준)
    * 연구참여임상의사 및 연구전담의사 중 연구를 직접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박사급 비율 80%
   ** 연구전담의사는 주당 진료시간 4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며, 연구 업무 이외에 다른 업무를 겸하지 않는 의사
 ○ 연구중심병원의 자체 연구비 투자는 연평균 5.0%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보건의료분야 정부 연구개발(R&D) 예산, 연구중심병원의 총연구비와 비교하면 다소 정체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그림 붙임 참조 >
<보건의료 분야 정부 R&D 예산과 연구중심병원 연구비 증가율 비교> (단위: 억 원)
구 분
‘13
‘14
‘15
‘16
‘17
‘18
‘19
CAGR
보건의료분야 정부 R&D 예산
11,970
13,109
15,261
15,505
16,372


8.1%
연구중심병원 총연구비
(정부지원, 자체, 민간 등 포함)
5,288
5,897
6,325
6,962
7,487
7,903
8,837
8.9%
연구중심병원
자체연구비 투자
563
763
739
602
652
786
754
5.0%
 
 
   ※ 출처: 보건의료 R&D 통계(한국보건산업진흥원, ’18.12.)
□ 연구중심병원은 기술사업화 환경 구축을 위해 ’기술이전 전담조직‘(’16~), ‘기술사업화 지원시스템*’(‘19~)을 갖추어 왔으며, 지속적인 기술이전 수입 창출 통해 연구개발에 재투자하는 연구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창업전담 인력 구비, 교원 창업 규정 개선 등 법인 유형에 따른 기술사업화 지원 시스템
 ○ 조직과 지원시스템을 갖춘 연구중심병원은 우수 기술(특허 등)을 조기 발굴하여 국내․외 기업․연구소 등에 기술이전 한 결과, 누적 기술이전 건수 948건, 수입액 약 447억 원을 달성하였다.
< 그림 붙임 참조 >
 ○ 연구중심병원의 기술이전 수입액은 연평균(’13~‘19년) 34.6% 증가했으며, 공공연구소, 대학 등 타 기관의 연평균(’13~‘18년) 상승률과 대비해서도 약 14.4배, 2.1배 상승해왔다.
<공공연구소, 대학, 보건의료R&D 대비 연구중심병원 기술이전 수입 비교> (단위: 억 원)
구 분
‘13
‘14
‘15
‘16
‘17
‘18
‘19
CAGR
공공연구소
985
898
1,424
1,088
1,127
1,109

2.4%
대학
369
505
618
683
700
788

16.4%
연구중심병원
24
36
32
59
66
87
143
34.6%
 

   ※ 출처: 2019년 기술이전사업화 실태조사 보고서(산업통상자원부, ’20.3.)
□ 연구중심병원은 바이오헬스산업의 연구개발 및 창업 기반(플랫폼)으로서 병원이 보유한 우수한 인력 및 장비 등 인프라를 외부에 적극 개방하고, 다기관과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2019년 기준 외부기관과 수행한 공동연구는 1,213건이며, 중소․중견, 벤처기업과의 협력 사례가 47.5%에 달하며, 기구축된 자원을 외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는 사례* 역시 크게 증가했다.
    * 컨설팅, 임상·전임상 자문, 세포·병리·판독, 동물실험, 유효성평가, 장비대여, 보고서·연구 설계, 개방형실험실 제공, 온라인 지원시스템 개방
< 그림 붙임 참조 >
 ○ 특히, 고대구로병원과 아주대병원은 ’개방형실험실 구축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병원과의 연계가 필요한 보건의료분야 50여 개 초기 창업기업을 병원에 입주시켜 적극 지원하고 있다.
    * 병원 내 임상의사-창업기업 간 공동연구 등 협업을 위한 공용실험실, 실험장비를 구축하여 보건의료분야 신기술·신제품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19년∼)
□ 연구중심병원發 창업기업 수는 2013년 1건 이후 2019년 15건으로 연평균 57% 증가해왔으며, 2013년부터 2019년까지 81개社(누적)가 창업을 했다.
< 그림 붙임 참조 >
 ○ 창업기업이 늘어나는 만큼 2019년 기준 매출액은 약 86억 원으로 지난 2014년 대비 약 9배 증가하는 등 매출액 및 창업기업 종업원 수 역시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 또한, 2019년 기준 연구중심병원 74개(폐업 등 7건 제외) 창업기업의 종업원 수는 총 509명으로, 경력이 오래된 창업기업일수록 평균 종업원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붙임 참조 >
□ 최근에는 연구중심병원 육성R&D과제에서 창출된 연구진의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물이 창업으로 이어지고 있어, 국내 기술로 개발된 우수한 제품들이 출시되어 국민건강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육성 R&D 과제를 통한 창업·제품화 등 실용화 사례>








병원명
기업명
창업자
(대표자)
창업년도
내용
고대안암병원
엑소퍼트
최현호
’18
·엑소좀 분리기술 및 암 진단기기
분당차병원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유종만
‘18
·성체 줄기세포 3차원 배양
오가노이드 기반 세포치료제

삼성서울병원
메디크리니아
하철원
‘18
·관절염 줄기세포치료제
이엔셀()
장종욱
‘18
·줄기세포 위탁생산
세렌라이프
이명우
‘18
·이식편대숙주병 줄기세포치료제
에스엔이바이오
방오영
’19
·줄기세포치료제
서울대병원
디시젠
한원식
‘17
·유전성 암패널 임상 실용화
네오진팜
김효수
’19
·간섬유화 억제 유전자 발굴
아이엠비디엑스
김태유
‘18
·NGS 기반 체외진단 키트
서울아산병원
애니메디솔루션
김남국
‘16
·3D 프린팅을 이용한 환자-의사 맞춤형 의료기술
뉴냅스
강동화
‘17
·뇌손상 시야장애 디지털 치료제
아주대병원
나노펜텍
곽종영
‘18
·3D 배양기술 기반의 나노섬유개발
세브란스병원
마이크로바이오틱스
용동은
‘16
·슈퍼박테리아 치료제 개발 및 자기 장내미생물 뱅킹서비스
프로라젠
박중원
‘17
·알러젠 항원 제조/판매 및 알레르기 질환 진단/치료제 개발
라이조테크
이명식
‘19
·자가포식작용 증진에 의한 당뇨 치료제 개발
 
 
□ 병원은 의료현장의 수요 발굴부터 연구개발, 현장 적용까지 할 수 있는 보건산업 생태계의 거점으로서, 개방형 융합연구를 위해 연구중심병원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 R&D의 성과를 제고하여 최종 수요자인 국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우수한 병원 연구기술의 기술사업화 및 연구개발 재투자 촉진을 통해 생태계 혁신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 또한, 중기부와 부처 간 협업을 통해 올해 11월부터 연구중심병원의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3년 미만 초기 창업기업 대상으로 사업안정 및 성장을 위해 자금, 특화 프로그램 등의 지원*한다.
    * 연구중심병원 초기창업패키지 지원사업(최대 2억 원, ’20년 13건 지원)
□ 임인택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연구중심병원의 성과가 실용화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 “연구중심병원이 개방형 융합연구 통합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협력 방안과 그간 성과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지정평가 기준, 성과목표 재점검 등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도개선 방안 등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붙임> 연구중심병원 개요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