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이제는 순환경쟁력의 시대! 「2022 순환경제 산업대전」개최

btn_textview.gif

이제는 순환경쟁력의 시대!

2022 순환경제 산업대전개최

- 삼성전자, LG화학, 포스코, SK지오센트릭 등 선도기업 순환경제 전략 발표 -

- 64개 순환경제 기업·기관 참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11개 시상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는 코엑스에서2022 순환경제 산업대전(12.22.() 12.23(), 2일간)을 개최하였다.

 

순환경제는 원료-생산-사용-재자원화 등 제품 순환 전 과정에서 자원의 이용가치를 극대화하는 새로운 경제 체제, EU 등을 중심으로 글로벌 신경쟁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동 행사는 우리나라 순환경제를 선도하는 기업들의 우수기술제품널리 알리고, 미래 전략 방향을 제시하는 자리로서 개최되었다.

 

이 날 행사에는 SK이노베이션, 희성피엠텍 등 총 64개 기관·기업(107개 부스)참가한 순환경제 전시를 비롯하여,

 

ㅇ 순환경제 분야 유공자에 대한 산업부장관 포상, 전문가 기술 교류를 위한 컨퍼런스, 신사업 공모전 시상식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진행되었다.

 

< 2022 순환경제 산업대전 개요 >

 

 

 

(일시·장소) ‘22.12.22() ~ 12.23() 10:00~17:00 /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

 

(주최/주관)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주요 프로그램) 순환경제 전시관, 정부포상, 컨퍼런스, 공모전 시상

 

(전시관 구성) 재제조, 재자원화, 친환경소재, 생태산업개발

* 전시 규모 : 64개 기업(기관) · 107개 부스

 

(참석자) 순환경제 관련 산업계, 공공기관, 학계 및 일반국민


1

 

개막행사 및 정부포상 시상식


 

1222() 오후 14코엑스 1층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 개막식에는

 

진종욱 산업부 실장을 비롯하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낙규 원장, 한국산업지능화협회 김태환 부회장 등 유관기관 주요 인사를 포함 총 300여명이 참석했다.

 

개막행사에 이어서 순환경제 산업 발전에 기여산업기술인단체를 대상으로 정부포상*(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여하였다.

 

* 재제조, 재자원화, 청정생산, 생태산업개발 분야별 단체 5, 개인 6

 

재제조 건설기계 기술개발 및 보급을 통해 산업 활성화에 기여한 김포서비스*(최병식 대표) 재자원화 촉매 자원순환 생태계 구축에 기여한 토리컴**(이원춘 대표) 등 총 5개 단체가 수상하였다.

 

* 상용 자동차 디젤엔진, 발전기 등 재제조 기술개발 및 보급

 

** 폐촉매 소재화를 위한 금속 열처리 및 가공 기술 개발·상용화

 

또한, 재자원화 분야 대·중소 상생협력 정책 기획을 통해 산업 발전에 기여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경환 연구원 청정생산 공정 확산을 위한 설비 개선·기술 개발에 기여한 일흥 김석열 등 총 6명이 수상하였다.

 

2

 

순환경제 전시관


 

재제조, 재자원화, 친환경소재, 생태산업개발 등으로 구성된 전시관에는 순환경제를 선도하는 우수기술·제품을 소개하였다.

 

 

<순환경제 전시관 주요내용>

 

 

 

(재제조) 자동차, 건설기계, 전기전자 분야별 우수 재제조 제품 및 기술 전시(15개사)

 

(재자원화) 금속, 플라스틱, 배터리 등 재자원화 제품 및 공정 전시(27개사)

 

(친환경소재) 친환경소재로 만든 목재 플라스틱,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종이컵, 가방 등 제품 전시(5개사)

 

(생태산업개발) 산업단지별 폐자원 재자원화·에너지화 우수기술(3개사)


재제조 전시구역에는 다 쓴 제품을 회수해 완전 분해하고 세척·복원 등의 과정을 거쳐 새 제품과 같은 품질로 재탄생한 재제조엔진, 재제조토너카트리지 등을 전시하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404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4pixel, 세로 29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404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59pixel, 세로 303pixel

<건설기계 엔진 재제조 제품>

<토너카트리지 재제조 제품>


 

재자원화 전시구역에는 폐배터리, 폐휴대폰 등 폐자원을 파·분쇄한 후 유용한 자원을 회수·고순도화하여 다시 자원화한 백금, 알루미늄 등과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하여 생산한 에어캡 등 다양한 순환제품을 전시하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ff41ea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5pixel, 세로 34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404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30pixel, 세로 119pixel

<재자원화 백금>

<재자원화 비닐>


 

친환경소재 전시구역에는 식물성 원료를 이용하여 만든 화분, 음료컵 등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제품과 책, 가죽 등을 재활용하여 만든 다이어리, 지갑 등 일상 속에서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제품을 전시하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40400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1pixel, 세로 12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404000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3pixel, 세로 133pixel

<생분해 바이오플라스틱 제품>


생태산업개발 전시구역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공정부산물이나 공정 폐열 등을 기업 또는 지역사회 간 원료 또는 에너지로 재자원화하여 교환 사용하는 우수사례를 전시하였다.

 

이와 함께 순환경제 정책관이 마련되어 순환경제 신사업을 추진하는 기업 대상 정부 지원 내역*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생라운지관에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소통하며 신사업모델을 공유하기도 하였다.

 

* 신비즈니스 실증화 지원, 해외 진출 및 판로개척 지원, 기업 ?춤형 레벨업 지원 등

 

3

 

부대행사


 

순환경제 컨퍼런스, 신사업 공모전 시상식 등 부대행사도 개최되었다.

 

순환경제 컨퍼런스에서는 산··연 관계자들이 한데 모여 글로벌 선도기업* 순환경제 발전 전략비전을 공유하는 장을 마련하였다.

 

* 발표기업 : 삼성전자, LG화학, 포스코, 롯데케미칼, 아모레퍼시픽, SK지오센트릭 등

 

순환경제 신사업 공모전을 통해 선정된 신사업 모델* 11(기업)와 아이디어** 5(개인)에 대한 시상식도 함께 개최하였다.

 

* (사업모델 대상) 폐비닐을 활용한 매트리스 재생 필름 생산·공급 모델(한샘-제이엠이앤씨)

 

** (아이디어 대상) 순환경제 정의를 노래로 표현한 영상

 

진종욱 산업부 실장은 축사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순환경제 활성화가 매우 중요하다.”라고 강조하고

 

공유경제, IT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를 융합한 신사업 모델을 발굴·실증할 수 있는 예산을 확대하고, 제도를 개선하는 등 순환경제 산업 발전을 위한 정부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