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질병관리청]오미크론 변이의 특성 분석과 확산 대비(1.24., 정례브리핑)

btn_textview.gif

오미크론 변이의 특성 분석과 확산 대비(1.24., 정례브리핑)


- 델타 변이, 인플루엔자와 오미크론 변이의 특성 비교, 오미크론 우세화 이후 중증예방 중심의 지속가능한 방역체계로 전환 -


오미크론 변이 발생 현황 및 특성

국내발생 분석결과 오미크론 변이 13주 검출률 50.3%로 우세종화

오미크론 변이는 델타 변이보다 전파력 높으나 중증도 낮음, 인플루엔자보다 전파력 높고 중증도 다소 높음

예방접종 및 먹는 치료제는 오미크론 변이에도 여전히 효과적인 수단


오미크론 우세화 이후 영향과 대응

개인 중증도는 낮더라도, ‘사회 피해 규모는 클 수 있음

고위험군 중증예방을 위한 조기진단·조기투약, 일반 국민은 동네 ·의원에서 적시에 진료·검사

설 연휴에 앞서, 신속한 예방접종 완료와 개인방역수칙 준수 및 올바른 마스크 착용 당부


1. 오미크론 변이 발생 현황 및 특성 분석


1

국내 오미크론 변이 우세종화 시작


□ 해외 각 국에서 오미크론이 빠르게 우세화됨에 따라, 확진자 발생도 급증하면서 역대 최다 코로나19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 우리나라는 그간 해외 유입 차단과 국내 확산 억제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을 지연시켜 왔으나, 1월 3주 국내 확진자의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이 50.3%로 증가하여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화되었다.


     *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 : 국내 확진자 50.3%, 해외유입 97.5% 「붙임1」


 ○ 권역별 검출률은 호남권이 82.3%로 가장 높고, 경북권 69.6%, 강원권 59.1% 순으로 높았다. 



<그림 1. 주차별 변이 분석율 및 오미크론 변이 확정사례 감염경로(국내, 해외) 붙임 참고>



2

오미크론 변이의 전파력, 중증도, 백신 효과


□ 현재까지 국내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오미크론 변이의 전파력은 델타변이에 비해 2배 이상 높고, 중증도는 델타 변이에 비해 낮으나 인플루엔자보다는 다소 높게 보고되고 있다. 



< 그림 2. 주요 감염병 전파력 및 중증도 비교 붙임 참고>



※ 코로나19 오미크론변이 전파력 관련 세부 근거 「붙임 6」 참고 


○ 국내에서 오미크론 변이 중증도를 평가하기 위해 델타, 오미크론 변이 확정 사례를 대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오미크론 변이 치명률은 0.16%*로 델타 바이러스 0.8%*에 비해 약 1/5배 낮게 분석되었다. 


     * 연령표준화율: 결과값의 신뢰도(비교성)를 높이기 위하여, 결과(위중증, 사망)에 영향을 주는 연령을 비교하고자 하는 두 집단에서 연령 구성비를 동일하게 하여 계산한 비율 


    ※ 코로나19 델타, 오미크론 변이 위중증률, 치명률 현황 「붙임 7」 참고


   - 오미크론 변이 유행 확산으로 고위험군 확진자가 증가할 경우 위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위중증·사망자 규모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감염예방 효과는 2차 접종 후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나 중증 예방효과는 지속되며, 3차 접종을 한 경우 중화항체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 조사 결과, 3차 접종 후 오미크론과 델타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중화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 성인에서 화이자 백신으로 3차 접종을 한 경우, 접종 2~4주 경과 시 오미크론주에 대한 중화항체가는 접종 전 대비 10.5~113.2배 증가하였다.


바이러스별 중화항체가(GMT ND50) 비교

접종군

바이러스주

3차 접종 전

(기본접종 후 6개월)

3차접종 후

(접종 후 1개월)

고령층*

(75~)

Pf+Pf+Pf

초기주

67.0

2897

(43.2)

델타주

18.4

2248

(122.2)

오미크론주

4.2

475.6

(113.2)

건강한 성인**

(20~59)

Pf+Pf+Pf

초기주

424

3310

(7.8)

델타주

81

1701

(21)

오미크론주

39

660

(17)

Az+Pf+Pf

초기주

244

2408

(9.9)

델타주

75

1072

(14.3)

오미크론주

26

272

(10.5)

Az+Az+Pf

초기주

221

4632

(21)

오미크론주

9

260

(28.9)


 * 국립중앙의료원 수행, ** 국립보건연구원 수행 


□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치료제 효과는 기존 항체치료제는 효과가 떨어지지만, 항바이러스제(팍스로비드, 렘데시비어 등)는 입원 및 사망위험을 80% 이상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오미크론 변이가 중증화율이 낮지만, 높은 전파력으로 단기간 내 대규모 발생 시 방역·의료대응에 심각한 부담이 될 수 있어, ‘개인 중증도’는 낮지만 ‘사회적 피해 규모’는 증가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국외 오미크론 변이 위험도 평가 결과 참고]

WHO(1.7)는 오미크론이 델타에 비해서 중증도는 낮지만 발생이 급증하여 의료체계에 부담을 줄 수 있기에 위험도는 매우높다고 평가

ECDC(1.14) 오미크론 확산과 의료체계 부담의 우려에 따라 위험도를 매우높음으로 평가하며 백신접종이 대응에 핵심이라고 강조


 ○ 고령층 및 감염취약시설에 전파될 경우 중환자 발생 규모도 동반 상승하기 때문에 감염 확산 억제와 고위험군 우선 보호는 지속적으로 필요하여,


 ○ 청장년층에서 발생이 가속화되고 확산될 경우 업무 공백으로 사회기능 유지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어, 의료·돌봄·교육 등 사회필수기능 유지를 위해 3차접종률을 높이고, 분야별 업무 지속계획을 수립·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오미크론 변이 우세화로 인한 영향 및 전망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오미크론 변이 우세화에 따라 1월 14일에 발표한 오미크론 대응전략에 따라 방역 대응체계를 전환을 추진한다.


 ○ 오미크론 대응 방역 의료체계 전환의 핵심은 한정된 방역·의료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전체 확진자 규모의 통제·관리보다 고위험군의 신속한 진단과 치료에 집중하고, 확진자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가능하고 효율적인 진단검사·역학조사·관리 대응체계로 전환하는 것이다.


□ 진단검사 체계 전환


 ○ 코로나 19 진단검사 개편은 PCR검사 역량을 60대 이상 등 고위험군 조기진단에 집중하여 조기치료를 통해 위중증을 예방하고자 한다.


 ○ 보건소 선별진료소 PCR검사는 60대이상 고위험군(우선검사필요군)에 집중하며, 이외 대상자는 보건소 선별진료소 자가 신속항원검사를 활용하고, 유증상자는 호흡기전담클리닉 등 지정 의료기관에서 진료와 검사(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시행한다.


 ○ 진단검사체계 개편은 오미크론 우세지역인 광주, 전남, 평택, 안성에서 1월 26일 우선 시범적용하고, 전국 확대를 추진한다.



< 선별진료소 검사대상 및 검사방법 관련 그림 붙임 참고>



< PCR 우선순위 대상자(안) >


구분

내 용

확인방법

60세 이상

감염 시 위중증 우려가 높은 고령층

신분증

역학적 연관자

보건소에서 밀접접촉 등의 이유로 PCR검사를
요청받은 자

PCR검사 요청 안내 문자

의사소견자

진료 과정에서 의사가 코로나19 검사가 필요하다고 소견서를 작성해 준 환자

의사소견서

감염취약시설

선제검사대상

감염취약시설 종사자

재직 관련 증명서류

신속항원검사 양성자

·의원(호흡기클리닉 등) 및 선별진료소 신속항원검사, 자가 검사에서 양성이 확인된 자

양성결과가 나온 검사키트


□ 확진자·밀접접촉자 관리기준 변경


 ○ 오미크론 변이의 특성을 반영하여, 예방접종력 여부, 증상 유무를 고려하여 확진자·접촉자의 격리기간을 변경하여 1월 26일부터 전국에 적용한다. 


 ○ 확진자 격리기간은 예방접종완료자는 7일 격리하며, 미접종자 및 이외 접종자는 10일 격리한다.


     * 해외입국자는 2.3일까지는 10일 격리기간 유지, 2.3일 이후 조치사항은 추후 발표 예정


 ○ 밀접접촉자 중 예방접종완료자는 수동감시, 미접종자 등은 7일 자가격리를 하며 모두 6∼7일차에 PCR검사를 시행한다.


< 확진자, 접촉자 격리기준 >


구분

예방접종 접종완료자

(3차 접종후 14일 경과 또는

2차 접종 후 90일 이하자)

미접종 및 그 외 예방접종자

확진자

무증상

7일 격리

* 해당기간 동안 무증상 유지

10일 격리

유증상

7일 격리

* 발열없고, 임상증상 호전

10일 격리

밀접접촉자

수동감시

(6~7일차 PCR 검사)

7일 격리

(6~7일차 PCR 검사)


  ※ (공통) 7일 격리해제 시 3일간 주의 : KF94(또는 이와 동급) 마스크 상시 착용, 감염위험도 높은 시설(다중이용시설, 감염취약시설 등) 이용(방문) 제한 및 사적 모임 자제


□ 예방접종 지속 추진


 ○ 백신 접종은 오미크론 변이에도 여전히 가장 효과적인 대응 수단으로, ①감염 시 중증·사망 위험이 높으나 아직까지 접종에 참여하지 않으신 고령층 미접종자, ②2차접종 완료 후 3개월이 경과하여 3차접종 대상자께서는 적극적으로 접종에 참여하여 주실 것을 요청하였다.


 ○ 설 연휴가 시작되는 이번 주말부터 빠른 전파력을 가진 오미크론 변이의 유행과 사람 간 접촉증가로 확진자 폭증이 우려되므로, 고향 방문전에 3차접종을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1월 2주차 확진자에서 예방접종력에 따라 중증 진행을 평가한 결과 ‘3차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0.9%, ‘2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80.2% 낮게 나타났다.


 ○ 즉,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11배, ‘2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5배 높게 나타났다.



<1월 2주 기준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연령대별 누적 중증화율 위험도 비교 그림 붙임 참고>



□ 개인방역수칙 준수 강화, 마스크 권고 강화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 억제를 위해 국민 여러분들께서 생활 속 방역수칙을 지키고, 상황별 권고 마스크를 올바른 방법으로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방역수칙 및 올바른 마스크 착용) 일상생활에서 ▲KF94·KF80 마스크 착용하기,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1일 3회 이상·회당 10분 이상 환기하기, ▲사적모임·외출·집단행사는 최소화하기 등 생활 속 방역수칙 준수가 요구된다.


   - 오미크론 유행상황에서 마스크 착용은 개인이 지킬 수 있는 간편하고 효과적인 방역수칙인 만큼, 실내 또는 다중이 모이거나 2m 이상 거리두기가 어려운 실외에서는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하고,


   - 설 연휴 고향방문·여행으로 기차 또는 비행기 등 다중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에서 KF80 이상의 보건용 마스크 착용을 당부했다.


새로운 생활 속 방역수칙

1

미접종자는 기본접종하기, 2차 접종 유효기간 만료 전 3차 접종하기

2

올바른 마스크 착용으로 입과 코 가리기, 특히 감염위험시설(3밀 환경), 감염취약시설(요양시설)에서는 반드시 보건용마스크 착용하기

3

30초 비누로 손 씻기, 기침은 옷소매에

4

13회 이상·회당 10분 이상 환기하고,

손이 많이 닿는 곳(가정 내 문고리, 스위치, 전화기)11회 이상 소독하기

5

사적 모임의 규모와 시간은 최소화하기

6

아프면 검사 받고, 집에 머물며 고위험군(60세 이상, 기저질환자 등)을 만나지 말기


   - 시설운영자께서도 다중의 손이 닿는 손잡이·문고리 등을 주기적 소독하여 시설 방역수칙을 지켜주실 것을 요청했다.


 ○ 또한, 마스크로 입과 코를 완전히 가리고 얼굴과 밀착해서 착용해야 하며, 마스크 가드 등 액세서리를 함께 사용하는 것은 권고하지 않는다.


    * 한국소비자원, 마스크용 액세서리 실태조사 결과(’21.12.29.)


   - 일상생활에서는 KF 80 이상의 보건용 마스크 또는 수술용·비말 차단용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나,


   - ?기저질환자* 등 코로나19 고위험군 또는 ?3밀 시설(밀집·밀접·밀폐), ?감염취약시설**을 방문하는 경우에는, 비말 차단율이 높은 KF94 또는 KF80 마스크 착용을 우선 권장한다.


    * 심혈관질환, 당뇨, 만성 폐질환, 암, 뇌혈관질환, 면역저하, 비만, 천식 등

    ** 코로나19 고위험군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예. 요양병원·시설, 노인복지시설 등)


<상황별 권고 마스크>


상황

보건용 마스크

수술용 마스크

비말차단용 마스크

KF 94

KF 80

의료

관련

상황

· 코로나19 환자를 돌보는 경우

필수

-

-

-

·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 건강취약계층, 기저질환자*

(우선) 권장

사용 가능

생활

방역

상황

· 3밀시설(밀집·밀점·밀폐) 또는
감염취약시설(요양병원 등) 방문

(우선) 권장

사용 가능

· 타인 접촉이 잦은 직업군

· 실내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 실외에서 2m(최소1m) 거리 유지가
어려운 경우

권장

* 심혈관질환, 당뇨, 만성 폐질환, , 뇌혈관질환, 면역저하, 비만, 천식


   - 다만, 넥워머, 바라클라바 등 옷가지로 얼굴을 가리는 것은 마스크 착용으로 인정되지 않아 마스크 미착용에 따른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된다.



2.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


○ 주간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구분

지표명

125

(12.26.~1.1.)

11

(1.2.~1.8.)

12

(1.9.~1.15.)

13

(1.16.~1.22.)

대응역량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71.9

56.9

41.5

25.9


수도권

75.2

58.5

43.5

26.8


비수도권

66.1

53.8

37.5

24.9

-1 일평균 재원 위중증 환자 수()

1,095

932

732

517

의료대응역량 대비 발생 비율(%)

71.4

35.1

35.3

34.4


수도권

81.7

35.1

34.3

30.6


비수도권

55.1

34.9

37.7

44.8

감염병전담병원 병상가동률(%)

54.5

40.0

31.2

30.0


수도권

56.4

39.3

27.7

23.7


비수도권

52.8

40.8

34.9

36.8

생활치료센터 가동률(%)

50.9

44.1

41.8

47.6


수도권

53.7

46.1

44.0

51.1


비수도권

45.0

39.7

37.2

40.9

재택치료 의료기관 가동률(%)

-

-

33.0

34.5


수도권

-

-

34.2

35.1


비수도권

-

-

30.1

33.3

-1 재택치료자 비율(%)

65.9

59.7

52.8

57.5

방역망 내 관리 비율(%)

36.6

36.3

31.8

28.6

발생

주간 사망자 수()

449

361

295

248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565

440

309

225

-1 중증화율(%)

(9)1.53, (10)2.11, (11)2.95, (12)2.01

주간 입원환자 수()

3,670

2,970

3,022

4,070

주간 일평균 확진자 수(), 국내

4,644

3,506

3,529

5,160


수도권

3,267

2,460

2,399

3,370


비수도권

1,377

1,046

1,130

1,790

-1 주간 일평균 확진자 수(), 해외유입

101

174

325

311

-2 주간 일평균 발생률(인구10만 명당), 국내

9.0

6.8

6.8

10.0


수도권

12.5

9.4

9.2

12.9


비수도권

5.3

4.1

4.4

6.9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

21.0

16.6

12.6

9.5

-1 주간 60세 이상 확진자 수()

6,831

4,075

3,124

3,424

18세 이하 확진자 비율(%)

25.1

25.0

25.3

26.4

-1 주간 18세 이하 확진자 수()

8,166

6,125

6,240

9,536

확진자 중 미접종자(1차접종포함) 비율(%)

30.5

30.7

29.1

-

감염재생산지수(Rt)

0.86

0.82

0.92

1.18

검사양성률(%)

2.45

1.88

2.19

2.88

예방

접종

2차 접종률(%)

83.0

83.7

84.7

85.3

-1 3차 접종률(%)

35.9

40.2

44.9

48.6

60세 이상 2차 접종률(%)

93.0

94.8

95.1

95.2

60세 이상 3차 접종률(%)

77.2

80.7

83.1

84.6

예방접종효과(2차 접종완료군)

*125주 기준

감염 예방효과

58.2%

위중증 예방효과

91.2%

사망 예방효과

87.7%

오미크론

오미크론 검출률(%), 국내

4.0

12.5

26.7

50.3

-1오미크론 검출률(%), 해외유입

69.5

88.1

94.7

97.5

오미크론 치명률(%), 전체

0.16 (연령표준화)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월 3주차(1.16.~1.22.) 주간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중환자실 병상가동률은 중환자 병상 확충 및 위중증 환자 감소 등으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단계적 일상회복 시작 직전(10월 4주차) 대비 전국 및 수도권은 매우 낮은 수준이나 비수도권은 높은 수준이다.


     * 수도권: (1.2주) 43.5% → (1.3주) 26.8%(-16.7%p)

     * 비수도권: (1.2주) 37.5% → (1.3주) 24.9%(-12.6%p)

     * 10.4주: (전국) 42.1%, (수도권) 55.4%, (비수도권) 21.1%


   - 의료대응역량 대비 발생의 경우, 병상 확충에 따라 감당가능 확진자 수가 증가하여 전국, 수도권은 감소하였으나 비수도권은 뚜렷한 증가세가 확인되었다.


     * 수도권: (1.2주) 34.3% → (1.3주) 30.6%(-3.7%p)

     * 비수도권: (1.2주) 37.7% → (1.3주) 44.8%(+7.1%p)


   -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해 발생이 증가하며 재택치료자 비율 및 재택치료 의료기관 가동률도 증가하였다. 


     * 재택치료 의료기관 가동률: (1.2주) 33.0% → (1.3주) 34.5%(+1.5%p)

     * 재택치료자 비율: (1.2주) 52.8% → (1.3주) 57.5%(+4.7%p)


 ○ 발생지표의 경우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해 전반적인 발생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비수도권은 11월 3주 주간 일평균 발생률(인구 10만 명당)이 2.2명이었으나 1월 3주 7.0명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 주간 일평균 확진자: (1.2주) 3,529명 → (1.3주) 5,160명(+1,631명)

     * 주간 일평균 발생률(인구 10만 명당): (1.2주) 6.8명 → (1.3주) 10.0명


   - 3차 접종 확대에 따라 60세 이상 비율은 지속 감소하고 있으나 18세 이상 확진자 비율은 전 주 25.3%에서 1월 3주차에 26.4%로 증가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 (1.2주) 12.6% → (1.3주) 9.5%(-3.1%p)


   - 입원환자는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위중증 및 사망자는 4주 연속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 주간 입원환자 수: (1.2주) 3,022명 → (1.3주) 4,070명(+1,048명)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1.2주) 309명 → (1.3주) 225명(-84명)

     * 주간 사망자 수: (1.2주) 295명 → (1.3주) 248명(-47명)


 ○ 국내 오미크론 검출률은 처음으로 50% 이상을 넘어서며 급속하게 우세화 되는 양상이다. 


     * 국내 오미크론 검출률: (1.2주) 26.7% → (1.3주) 50.3%(+23.6%p)


 ○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방역의료분과위원회에서는 1월 3주 코로나19 주간 위험도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의견이 제시되었다.


   -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화되면서 확진자 수 증가에도 대응역량의 여유가 유지되는 상황이나, 진단검사 및 역학조사 대응 역량 부족이 우려되며,


   -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도 재택치료가 가능해짐에 따라 재택치료 환자가 증가하고, 입원환자 수 및 생활치료센터 입소자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현재 오미크론 변이로 인한 유행 확산이 시작되어 적극적인 대응 및 방역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는 상황임을 강조하였으며,


   - 연령대별 접종률 속도가 낮은 집단에 맞춰 접종 독려 방안을 점검하고, 진단검사 우선순위 변화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 종합적인 위험도 평가 결과,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높음 단계로,


   - 국내 오미크론 검출률이 50%를 기록하며 급속하게 우세화되는 양상으로 환자 발생이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설 연휴 모임 증가에 따라 발생이 급증할 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종합평가 결과 – 1월 3주차>


구분

111

(10.31.~)

112

(11.7.~)

113

(11.14.~)

114

(11.21.~)

121

(11.28.~)

122

(12.5.~)

123

(12.12.~)

124

(12.19.~)

125

(12.26.~)

11

(1.2.~)

12

(1.9.~)

13

(1.16.~1.22.)

전국

매우낮음

낮음

높음

매우높음

매우높음

매우높음

매우높음

매우높음

매우높음

중간

중간

높음

수도권

중간

중간

매우높음

매우높음

매우높음

매우높음

매우높음

매우높음

매우높음

중간

중간

높음

비수도권

매우낮음

매우낮음

중간

중간

중간

매우높음

매우높음

높음

중간

낮음

중간

높음



3.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1주간(’21.1.16.~1.22.) 일평균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수(517명)는 지난해 말까지 1천명대를 기록 후 꾸준히 감소하여 8주 만에 500명대로 내려왔고, 사망자 발생(248명)은 전주 대비 47명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주별 일평균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규모 :  (12월4주) 1,054명 → (12월5주) 1,095명 → (1월1주) 932명 → (1월2주) 732명 → (1월3주) 517명


    * 주간 사망 환자 수 :  (12월4주) 532명 → (12월5주) 449명 → (1월1주) 361명 → (1월2주) 295명 → (1월3주) 248명   


    * 가용 중환자실 :  (12월4주) 257개 → (12월5주) 543명 → (1월1주) 773명 → (1월2주) 1,036명 → (1월3주) 1,504명 


 ○ (연령군별 사망자 수) 1월 3주 사망자 수는 60대 이상 연령군이 236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95.2%), 40~50대가 12명(4.8%)이었다.


   - (사망자 접종현황) 최근 5주간 사망자 1,885명 중 백신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는 62.4%(1,176명)를 차지하였고,  2차 접종자는 30.1%(567명), 3차 접종자는 7.5%(142명)이었다.


   - (60대 이상 사망자 접종현황) 최근 5주간 60대 이상 사망자 1,767명 중 백신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는 60.8%(1,074명), 2차 접종자는 31.5%(556명), 3차 접종자는 7.8%(137명)이었다.


   - (입원대기 중 사망*) 최근 5주간 사망자 1,885명 중 병상 배정 중 사망자는 1.2%(22명) 이었다. 


     * 확진 이후 격리병상 입원 전 의료기관이 아닌 자택 등(요양원 포함)에서 사망한 경우


   - (기저질환) 1월 3주 사망자 중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는 204명(82.3%), 조사중이 44명(17.7%)이었다.



<최근 5주간 연령군별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 연령군별 사망자수 그림 붙임 참고>



<주차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현황 그림 붙임 참고>




□ 최근 1주간(1.16.~1.22.)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환자는 일평균 5,160명(국내 발생 36,120명)으로 전주(일평균 3,529명) 대비 46.2%(1,631명) 급증하여 전국적으로 가파른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 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3,370명(전체 환자 수 23,587명)으로, 전주(일평균 2,399명) 대비 40.5% 증가하였다.


 ○ 비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1,790명(전체 환자 수 12,533명) 발생하여 전주(일평균 1,130명) 대비 58.4% 증가하였다.


 ○ 주간 감염재생산지수(Rt)는 전주대비 0.26 상승하여 전국 1.18로 유행세로 전환되었으며, 수도권은 1.16, 비수도권은 1.27이었다.


     * 전국 Rt : 0.86(12월5주) → 0.82(1월1주) → 0.92(1월2주) → 1.18(1월3주)


 ○ 해외유입 사례는 일 평균 311명(총 2279명)으로 전주 대비(325.1명) 4.2% 감소하였다.



< 전국/수도권/비수도권(’20.10.31.~’22.1.22.) 관련 그림 붙임 참고>



 ○ (연령군) 전주 대비 모든 연령대에서 인구 10만명당 주간 일평균 발생률이 증가하였고,  0~9세(17.2명)·10~19세(18.8명)연령군에서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다. 


   - (60대이상) 전주대비 확진자 수는 소폭 증가하였으나(3,124명→3,424명), 전체 확진자 중 비중은 감소세를 유지하여 9.5%를 차지하고 있다.


< 전국 연령별 일평균 발생률(1.22. 0시 기준) >   


구분

0-9

10-19

20-29

30-39

40-49

50-59

60-69

70-79

80세이상

124

(12.19.~12.25.)

환자수

42,708

5,421

4,600

4,363

5,670

6,007

5,769

7,205

2,548

1,125

일평균발생률

11.8

20.6

14.0

9.4

12.0

10.5

9.5

14.4

9.8

7.6

125

(12.26.~1.1.)

환자수

32,507

4,585

3,791

3,575

4,591

4,826

4,308

4,522

1,513

796

일평균발생률

9.0

17.4

11.5

7.7

9.8

8.4

7.1

9.0

5.8

5.4

11

(1.2.~1.8.)

환자수

24,545

3,309

3,046

3,216

3,802

3,934

3,163

2,633

908

534

일평균발생률

6.8

12.6

9.2

6.9

8.1

6.9

5.2

5.2

3.5

3.6

12

(1.9.~1.15.)

환자수

24,701

3,068

3,617

4,559

3,836

3,842

2,655

1,880

709

535

일평균발생률

6.8

11.7

11.0

9.8

8.2

6.7

4.4

3.7

2.7

3.6

13

(1.16.~1.22.)

환자수

36,120

4,518

6,187

7,310

5,428

5,547

3,706

1,944

774

706

일평균발생률

10.0

17.2

18.8

15.7

11.5

9.7

6.1

3.9

3.0

4.8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 (확진자수)/(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21.12월 기준) × 100,000(명)


  - (학령기 연령군) 전주대비 모든 연령군에서 일평균 발생률은 증가하였고, 특히 18세 연령군에서 2.6배 이상 큰 폭으로 증가 하였다.(14.5명→38.1명) 



< 학령기 연령군별 일평균 발생률 추이 그림 붙임 참고>



 ○ (감염경로) ’소규모 지역사회 접촉‘(47.1%, 18,030명) 및  ‘조사 중 비율’(35.2%, 13,499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최근 4주간 감염경로(’21.12.26.~1.22.)>


구 분(,%)

125주차

(12.26.~1.1.)

11주차

(1.2.~1.8.)

12주차

(1.9.~1.15.)

13주차

(1.16.~1.22.)

전체

33,211

(100)

25,762

(100)

26,974

(100)

38,299

(100)

지역사회 접촉

16,305

(49.1)

12,040

(46.7)

11,073

(41.1)

18,030

(47.1)

지역 집단발생

5,049

(15.2)

3,956

(15.4)

5,733

(21.3)

4,551

(11.9)

해외유입

704

(2.1)

1,217

(4.7)

2,273

(8.4)

2,179

(5.7)

해외유입 관련

18

(0.1)

36

(0.1)

36

(0.1)

40

(0.1)

조사중(미분류)

11,135

(33.5)

8,513

(33.0)

7,859

(29.1)

13,499

(35.2)


 ○ (집단발생) 신규 집단발생은 총 68건으로 사업장 19건, 교육시설 19건, 다중이용시설  16건, 의료기관/요양시설 6건, 종교시설 3건,  가족/지인모임 2건, 기타 1건이 발생하였다.


□ (외국인 발생현황) 외국인 확진자 발생 비중은 8.2%(2,958명)로 전주대비 6%p를 감소하였다.



<주차별 외국인 확진자 발생 추이 그림 붙임 참고>



□ (변이바이러스 검출현황) 국내감염 사례의 오미크론형 변이 검출률은 50.3%(2,895건)*로 우세종이 되었고, 해외유입 사례도 대부분 오미크론형 변이(97.5%, 1,935건)로 확인되었다.(1.22. 0시 기준) 


   * (오미크론) 국내 26.7%(1월 2주) → 50.3%(1월 3주)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분석률 및 검출률(1.22. 기준) >


구분

분석주차

분석

건수

분석률

(%)

주요 변이

델타형

오미크론형

검출률(%)

검출률(%)

검출률(%)

국내

125

6,511

18.4

6,511

100.0

6,253

96.0

258

4.0

2211

4,900

18.3

4,900

100.0

4,288

87.5

612

12.5

2212

4,933

21.2

4,933

100.0

3,617

73.3

1,316

26.7

2213

5,760

18.5

5,760

100.0

2,865

49.7

2,895

50.

0 Comments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
LF쏘나타 뒷좌석 편안하개 차량용 에어매트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