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보건복지부]양질의 보건의료인력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btn_textview.gif

양질의 보건의료인력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연구결과 공개 -
?
?
<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주요 결과 >
?
?
?
(개요) 보건의료인력 직종별* 실태 파악을 위해 직종별 활동 현황 및 고용형태, 근무여건 등에 대한 인식 설문 조사를 시행함
*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한약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치과위생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13개 직종 18000
?
(기본 특성) 의사·치과의사·한의사요양기관 근무비율이 높은 (80% 이상)이나, 한약사(60.7%)·작업치료사(43.1%)낮은 편임
?
* 요양기관 : 의료기관(상급?종합병원, ?의원, 요양병원, 치과 병?의원, 한방 병?의원), 약국, 희귀·필수의약품센터, 보건기관(보건소 등), 보건진료소 등
** 비요양기관 : 사회복지시설, 연구소, 관공서 및 공공기관, 일반 기업체 등
?
- 요양기관 활동 인력 중 의사·치과의사·한의사는 남성이 80% 이상이며, 간호사·간호조무사·치과위생사·보건의료정보관리사는 여성90% 이상임
?
- 요양기관 활동 인력 중 간호사는 20, 약사는 30, 치과의사·한의사·간호조무사는 40, 의사는 50대 비중이 높음
?
(월평균 수입) 요양기관 활동 인력의 지역별 월평균 수입은 의사·약사·한약사농촌 지역, 치과의사·한의사중소도시, 간호사·간호조무사대도시에 근무하는 인력의 수입이 많음
?
- 다른 직종과 달리 의사(요양 1,342만 원 vs 비요양 1,113만 원), 과의사(요양 1,002만 원 vs 비요양 552만 원), 한의사(요양 702만 원 vs 비요양 436만 원), 간호사(요양 329만 원 vs 비요양 268만 원) 등은 요양기관 활동 인력이 비요양기관 활동 인력보다 수입이 많음
?
(정규직 비율) 요양기관은 대부분 직종에서 정규직 비율이 80% 이상이며, 비요양기관에 비해 정규직 비율이 높은 편
?
(근무시간) 요양기관 활동 인력의 주당 평균 근무시간은 의사 45.9시간, 치과의사 45.0시간, 한의사 49.1시간임
?
-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한의사, 치과위생사요양기관 활동 인력이 비요양기관에 비해 근무시간이 길었으며, 다른 직종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
?
(근무형태) 요양기관 종사 인력의 경우 간호사3교대(54.8%)?상근직(37.6%) 순으로 많으며, 간호조무사상근직(63.5%) - 3교대(27.2%) 순임
?
- 월평균 야간(/밤 교대근무 시 밤 근무) 근무횟수는 간호사 4.0, 간호조무사 2.5이며 종별로는 간호사는 상급종합병원(4.4), 간호조무사는 요양병원(4.6)의 야간 근무횟수 많음
?
(이직) 약사(3.3)-물리치료사(2.9)-방사선사(2.8)-간호조무사(2.7)-치과위생사(2.5) 순으로 이직횟수 많음
?
- 이직 사유로는 대부분 직종에서 보수 및 소득수준1순위임
?
(직장 내 괴롭힘) 간호사(32.5%)-간호조무사(20.1%)-임상병리사(19.2%)-치과위생사(17.6%) 으로 직장 내 괴롭힘 경험 비율 높음
?
- 요양기관 근무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유형은 폭언(63.6%) -업무 배제 및 몰아주기(26.2%) 순으로 많았으며, 괴롭힘 가해자는 상급자(65.0%), 동료(18.0%)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유의사항) 설문 조사를 통한 주관적 인식에 대한 조사이므로 객관적인 자료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 해석에 주의가 필요함
?
?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국내 보건의료인력의 활동 현황과 근무여건 등에 대한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 ○ 이 조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연구책임자 신영석 선임연구위원)이 실시하였으며, 보건의료인력 정책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직종별 활동 현황 및 근무여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 ○ 이번 조사결과는 ‘보건의료인력지원법’ 제정(’19.10월 시행) 이전에 보건의료직종을 대상으로 ’18년 11~12월에 시행한 설문 조사에 대한 분석이 주된 내용이다.
?? - 20개 보건의료직종을 대상으로 웹 기반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응답자 수는 1만 9072명이었다.
?? - 응답자 수가 100명 미만으로 분석이 어려운 7개 직종을 제외하고, 13개 직종 1만 8244명에 대해 조사결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 * (분석대상)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한약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치과위생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13개 직종
???? * (분석제외) 조산사, 보건교육사, 안경사, 영양사, 치과기공사, 응급구조사, 요양보호사 등 응답자 수가 100명 미만인 7개 직종
? ○ 다만, 분석대상 수가 매우 작은 직역은 결과 해석에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주관적 인식에 대한 조사이므로 임금·근무형태 등에서 실제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근무여건 인식조사 >
?
1 보건의료인력 활동 현황
<보건의료인력 분석대상 및 활동 현황>
(단위 : 명, %)
?
구분
총 분석대상
요양기관 근무 인력
비요양기관 근무 인력
비활동인력
의사
591
525 (88.8%)
44 ( 7.4%)
22 ( 3.7%)
치과의사
499
459 (92.0%)
18 ( 3.6%)
22 ( 4.4%)
한의사
1,292
1,148 (88.9%)
44 ( 3.4%)
100 ( 7.7%)
약사
679
573 (84.4%)
72 (10.6%)
34 ( 5.0%)
한약사
145
88 (60.7%)
35 (24.1%)
22 (15.2%)
간호사
6,935
4,505 (65.0%)
1,165 (16.8%)
1,265 (18.2%)
간호조무사
5,090
3,360 (66.0%)
335 ( 6.6%)
1,395 (27.4%)
물리치료사
382
262 (68.6%)
79 (20.7%)
41 (10.7%)
작업치료사
511
220 (43.1%)
220 (43.1%)
71 (13.9%)
임상병리사
648
511 (78.9%)
73 (11.3%)
64 ( 9.9%)
방사선사
507
401 (79.1%)
41 ( 8.1%)
65 (12.8%)
치과위생사
711
450 (63.3%)
90 (12.7%)
171 (24.1%)
보건의료
정보관리사

254
209 (82.3%)
22 ( 8.7%)
23 ( 9.1%)

18,244
12,710(69.7%)
2,239(12.3%)
3,295(18.1%)
?
?
?

?① (활동 현황) 응답자 중 요양기관 근무비율이 높은 직종은 치과의사(92.0%), 한의사(88.9%), 의사(88.8%), 약사(84.4%) 순이다.
?? - 비요양기관 근무비율은 작업치료사(43.1%), 한약사(24.1%), 물리치료사(20.7%), 간호사(16.8%) 순으로 높았으며, 비활동인력 비율은 간호조무사(27.4%), 치과위생사(24.1%), 간호사(18.2%), 한약사(15.2%) 순으로 높았다.
???? * 비활동 간호사의 현재 상태는 퇴직 53.0%, 미취업 29.4%, 출산휴가·육아휴직 4.4% 등으로 조사되었으며, 평균 비활동 기간은 2.37년, 비활동 이유는 ‘과중한 업무량’(15.5%) - ‘3교대 등 근무형태’(14.3%) - ‘가사, 임신, 출산, 자녀 양육’(14.2%) 순이었다.
?② (성별) 요양기관 근무 인력 중 치과의사(84.5%), 한의사(84.2%), 의사(83.0%), 한약사(81.8%)는 남성 비율이 높았으며, 치과위생사(99.1%), 간호조무사(96.1%), 간호사(95.8%), 보건의료정보관리사(90.9%)는 여성 비율이 높았다.
?? - 대부분 직종에서 요양기관과 비요양기관의 성별 활동 경향이 유사하였으나, 의사는 요양기관에서는 남성 비율(83.0%)이 높았고 비요양기관에서는 여성 비율(64.4%)이 높았다.
???? * 의사 응답 현황 : (전체) 591명 (요양기관) 525명 (비요양기관) 44명 (비활동인력) 22명
?? - 한편, 비활동인력은 대부분 직종에서 여성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 *? 분석 대상 중 여성 비율 : 요양기관 근무 75.5%, 비요양기관 근무 84.8%, 비활동인력 92.4%
< 보건의료인력 성별 요양기관 활동 현황 >
????????????????????????????????????????????????????????????????? (단위 : 명, %)
?
구분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한약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물리
치료사
작업
치료사
임상
병리사
방사
선사
치과
위생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합계
525 (88.8%)
459 (92.0%)
1,148 (88.9%)
573 (87.3%)
88 (60.7%)
4,505 (65.0%)
3,360 (66.0%)
262 (68.6%)
220 (43.1%)
511 (78.9%)
401 (79.1%)
450 (63.3%)
209 (82.3%)
12,711 (69.6%)
남성
436
(83.0%)
388
(84.5%)
967
(84.2%)
289
(50.4%)
72
(81.8%)
191
(4.2%)
130
(3.9%)

111
(42.4%)

81
(36.8%)

130
(25.4%)

304
(75.8%)

4
(0.9%)

19
(9.1%)

3,122
(24.6%)

여성
89
(17.0%)
71
(15.5%)
181
(15.8%)
284
(49.6%)
16
(18.2%)
4,314
(95.8%)
3230
(96.1%)

151
(57.6%)

139
(63.2%)

381
(74.6%)

97
(24.2%)

446
(99.1%)

190
(90.9%)

9,589
(76.4%)

?
?
?

※ 괄호 안의 비율은 합계의 경우 직종별 인력 중 요양기관 활동 인력 비율, 남성·여성의 경우 직종별 요양기관 활동 인력 중 각 성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
?③ (연령별) 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응답자 중 간호사·작업치료사·임상병리사·치과위생사·보건의료정보관리사는 20대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약사·물리치료사·방사선사는 30대, 치과의사·한의사·한약사·간호조무사는 40대, 의사는 50대 비중이 가장 높았다.
<요양기관 근무 인력의 연령 분포>
(단위 : 명, %)
?
구분
의사
치과
의사
한의사
약사
한약사
간호사
간호
조무사
물리
치료사
작업
치료사
임상
병리사
방사
선사
치과
위생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20
6
(1.1%)

32
(7.0%)

161
(14.0%)

52
(9.1%)

17
(19.3%)

1,798
(39.9%)

487
(14.5%)

100
(38.2%)

133
(60.5%)

192
(37.6%)

77
(19.2%)

228
(50.7%)

92
(44.0%)

30
79
(15.1%)

136
(29.6%)

349
(30.4%)

214
(37.4%)

29
(33.0%)

1,261
(28.0%)

673
(20.0%)

113
(43.1%)

77
(35.0%)

145
(28.4%)

114
(28.4%)

124
(27.6%)

51
(24.4%)

40
150
(28.6%)

142
(30.9%)

435
(37.9%)

160
(27.9%)

35
(39.8%)

830
(18.4%)

1250
(37.2%)

36
(13.7%)

9
(4.1%)

112
(21.9%)

100
(24.9%)

67
(14.9%)

48
(23.0%)

50
178
(33.9%)

109
(23.7%)

170
(14.8%)

109
(19.0%)

5
(5.7%)

520
(11.6%)

896
(26.7%)

12
(4.6%)

1
(0.5%)

61
(11.9%)

91
(22.7%)

31
(6.9%)

18
(8.6%)

60
이상

112
(21.3%)

40
(8.7%)

33
(2.9%)

38
(6.6%)

2
(2.3%)

96
(2.1%)

54
(1.6%)

1
(0.4%)

-
(0.0%)

1
(0.2%)

19
(4.7%)

-
(0.0%)

-
?
?
?

?④ (지역별) 의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모두 요양기관 근무 인력, 비요양기관 근무 인력, 비활동인력 모두 응답자 중 지역 비율은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지역* 순으로 높았다.
???? * 대도시(특별시·광역시), 중소도시(특별시·광역시를 제외한 시), 농촌 지역(군 지역(광역시 제외))
?? - 요양기관 근무 인력의 수도권 비율은 의사 48.8%, 간호사 51.4%, 간호조무사 42.2%로 나타났다.
<지역별 요양기관 근무 현황>
(단위 : 명, %)
?
구분
의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전체
525(100%)
4,505(100%)

0 Comments
티모르 여성용 멜빵 청바지 200339
웨이브 꼬임 디테일 에나멜 굽 포인트 샌들 슬리퍼
여성 여름 바람막이 숏 점퍼 간절기 아우터 자켓
스판덱스자외선차단장갑 운전장갑 여름 햇빛차단
삼성 노트북9 메탈 13 노트북 외부보호필름세트
갤럭시Z플립5 4 3 썸데이 컬러 범퍼케이스 ZFilp5 제
HC-0092 쫀득쿵 자동차 대시보드 논슬립차량용 거치대
(IT) 한성컴퓨터 P56 노트북 키스킨 키커버
이케아 GUBBARP 구바르프 손잡이 21mm 화이트 2개입
이케아 GLASIG글라시그 미니양초홀더 유리5x5cm 5개입
접이식선반 5단 원터치 폴딩 철제수납장 다용도선반 베란다 서재 거실 욕실 주방수납
국내산 초극세사 도넛 마사지 얼굴베개
코카콜라 업소용 슬릭 245ml 60캔 (30캔x2박스)
삼덕퀸스타 접는과도
목이길어 더 깔끔한 목이긴위생장갑 20매x50개 BOX
휴대용 폴딩 자바라 높이조절 접이식 아코디언 코끼리 의자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