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과학기술정보통신부]60㎓ 용도미지정 대역 빔 형성 기술 적용 및 출력 규제 완화

btn_textview.gif

저비용·초고속 무선백홀로 도심지 인터넷 속도를 향상한다
- 60㎓ 용도미지정 대역 빔 형성 기술 적용 및 출력 규제 완화 -
?
□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여 인터넷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저비용·초고속의60㎓대역 무선백홀(Backhaul) 이용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됐다.
?
□ 스마트폰, 컴퓨터 등에서 이용하는 인터넷 데이터는 다수의 통신망을 거쳐 송·수신된다. 백홀은 기지국 등 주변부망(Edge network)과 최상위 네트워크인 기간망(Backbone network)연결하는 전송망으로, 고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중간 단계인 백홀의 성능이 중요하다.
?
ㅇ 그간 백홀은 광케이블, 구리선 등 유선망이나 수십㎞ 장거리 통신을 위한 140㎓대역 마이크로웨이브(M/W) 장비를 주로 활용해왔다.
?
ㅇ 최근 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 환경에서 대용량 콘텐츠 전송 등 데이터 통신량이 급증하고 도시 등 고밀집 지역의 백홀 투자비용 증가가 예상되면서, 향상된 성능으로 비용효율적인 통신망을 운영하기 위해 60㎓대역 기반 무선백홀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무선백홀 활성화를 위해 60㎓ 용도미지정 대역(5766) 기술기준을 개정했다고 23일 밝혔다.
?
ㅇ 무선백홀망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원하는 특정 방향으로 송·수신 빔을 만들어내는 빔 형성(Beam-Forming)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명확한 근거를 마련하고, 전파도달 범위 확대를 위해 출력 기준을 미국 등 주요국 수준으로 상향하였다(최대 57dBm 85dBm).
?
60㎓대역은 별도 비용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비면허 주파수이며 장거리 통신에 사용하는 고가·대형의 마이크로웨이브 장비에 비해 통신 도달거리는 짧지만 광대역폭을 활용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 더욱 빠르다. 또한 유선망에 비해 무선은 통신망 매설이 불필요해 망 구축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이 획기적으로 절감된다.
?
ㅇ 동 대역을 활용한 무선백홀은 유선백홀을 보완하는 수단으로써, 경제성이 부족하여 유선망 설치가 어려운 시골지역이나 고밀집 도심지, 스마트시티 등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ㅇ 아울러, 데이터 트래픽 급증과 전파 도달 거리가 짧은 고대역 이용 확대 등으로5G 기지국이 스몰셀*(Small cell)화 되면서, 산업계는 동 대역을 활용한모바일 백홀 시장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km에 달하는 광대역 커버리지를 지원하는 매크로셀(Macro cell)과 달리 수십∼수백m 정도의 커버리지를 갖는 기지국 서비스 영역
?
ㅇ 이번 규제 개선을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도심지 등 인구 밀집지역의 인터넷 속도를 향상하고 인터넷 이용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