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립과천과학관, '인간과 도구, 우리는 석기인이다' 기획전 개최

btn_textview.gif


과천과학관 ‘인간과 도구, 우리는 석기인이다’ 기획전 개최

- 수만 년 전 인간의 생존 도구들 150여점 전시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국립과천과학관(관장 배재웅)은 석기시대 인간이 생존을 위해 발전시킨 도구를 소개하고 체험하는 인간과 도구, 우리는 석기인이다기획전을 1224일부터 내년 15일까지 개최한다.

?

□ 수만 년 전 척박한 환경에 적응하며 사냥과 채집, 낚시, 조리 등 목적에 따라 발전된 다양한 도구들이 준비되었다. 또한, 도구의 제작방법과 활용법, 형태 구별을 통해 당시 인류의 생각을 추측해 볼 수 있는 전시다.

?

ㅇ 이번 전시는 전곡선사박물관과 암사동선사유적박물관, 지질박물관과의 협업을 통해 진행되었다. 구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전곡리 유적지와 신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암사동 유적지의 유물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다. 각 유적지에서 발굴된 유물 75점과 복원제작품 74점이 전시된다. 석기 재료인 암석 표본도 11점 선보인다.

?

□ 찍거나 자르고 땅을 팔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의 주먹도끼는 구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다기능성 도구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78년 주한미군 병사 그렉 보웬(Greg L. Bowen)이 한국인 여자친구와 한탄강 주변(전곡리)을 여행하다 우연히 발견했다. 발견 전까지 동아시아에서 발견되지 않아 유럽이나 아프리카에 비해서 인류 진화가 상대적으로 느리다는 학설이 있었다. 그러나 전곡리의 주먹도끼(아슐리안형) 발견으로 기존의 학설을 뒤집는 세계적인 중요 구석기 유물이 되었다.

?

□ 이외에도 사냥을 위해 던지거나 가죽을 찢기 위해 도구들은 발전했다. 끝을 날카롭게 다듬어 나무와 결합하도록 만든 슴베찌르개는 타격감이 크게 향상된 도구이다. 유리질의 흑요석으로 제작된 석촉은 예리한 칼과 창이 되었다.

?

□ 사냥이나 채집을 통해 모은 음식물은 토기에 저장되었다. 이번 전시에는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인 빗살무늬 토기편이 공개된다. 토기에 세심하게 새겨진 무늬들을 관찰할 수 있다. 무늬를 새기기 위해 어떠한 도구를 사용했는지 생각해보고 직접 만들어보는 체험이 준비되었다.

?

ㅇ 신석기 시대에는 음식을 갈아 먹기 위해 갈돌갈판을 사용했다. 이후에는 절구와 맷돌로 발전하게 되는 도구들이다.

?

ㅇ 암사동에서는 낚시를 위해 만든 그물추가 발견되기도 했는데, 이번 전시에서 체험을 통해 그물을 엮고 그물추를 달아보는 경험을 해볼 수 있다.

?

□ 크리스마스 연휴인 24일과 25일에는 석기 제작 전문가의 화살제작 시연과 해설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후에는 전시 기간 동안 주말마다 2회씩 진행할 예정이다.

□ 국립과천과학관 배재웅 관장은 생존을 위해 발전한 다양한 형태의 석기시대 도구를 살펴보면서 당시 인류의 생활상을 추측해보는 재미를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
영진 10000 비닐노트 10호 대16절 / 1권 낱권/200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