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중소벤처기업부]코로나19 속에서도 3분기 창업 늘었다

btn_textview.gif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11월 24일(화) ‘창업기업 동향’을 발표하고 2020년 3분기 창업기업은 34만 3,128개로 ’19년 3분기에 비해 13.3% 늘어났다고 밝혔다.
 
* 3분기 창업기업(개) : (‘17) 321,547 → (’18) 321,940 → (’19) 302,834 → (’20) 343,128
 
상반기 창업 증가에 영향을 미쳤던 부동산업 창업의 증가율은 3분기 들어 다소 둔화됐으며 정보통신업, 도·소매업 등이 대폭 증가하며 전체 창업 증가를 견인했다.
 
* 전체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20.1/4) 43.9 → (2/4) 8.1 → (3/4) 13.3
** 부동산업 제외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20.1/4) 0.2 → (2/4) 0.04 → (3/4) 11.4
 
월별로는 창업기업 증가율이 4월을 저점으로 반등한 이후 증가세를 양호하게 이어나가고 있다.
 
< 월별 창업기업 증가율(전년동월대비, %) >

3분기 기술창업*은 정보통신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등 지식기반서비스업의 증가가 이어지며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한 5만 7,648개로 나타나 3분기 기준으로 2년 연속 증가했다.
 
* 기술기반업종(OECD, 유럽연합 기준) : 제조업 + 지식기반 서비스업(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사업지원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사회복지, 창작·예술·여가서비스)
** 3분기 기술창업(개) : (’17) 50,061 → (’18) 50,025 → (’19) 52,844 → (’20) 57,648
 
특히 기술창업 중에서도 제조업 창업이 분기 기준으로 2018년 4분기 이후 7개 분기 만에 증가해 기술창업의 증가를 뒷받침했다.
 
* 분기별 제조업 창업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18.4/4) 2.0 → (’19.1/4) △7.6 → (2/4) △7.5 → (3/4) △7.6 → (4/4) △12.5 → (’20.1/4) △11.0 → (2/4) △6.3 → (3/4) 3.5
 
연령별로는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했으며, 새로운 시도를 바탕으로 한 30세 미만과 다양한 분야의 경험을 활용한 60세 이상의 창업이 특히 활발했다.
 
* ’20년 3분기 연령별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29.9 (30대) 13.4 (40대) 8.8 (50대) 9.0 (60세이상) 15.8
 
한편, 올해 1~9월 누적 창업기업은 115만 2,727개로 전년 대비 21.9% 증가했고, 같은 기간 기술창업은 4.6% 증가한 17만 3,928개로 지속해서 증가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 1~9월 창업기업(개) : (‘17) 957,924 → (’18) 1,013,739 → (’19) 945,322 → (’20) 1,152,727
** 1~9월 기술창업(개) : (‘17) 152,205 → (’18) 157,618 → (’19) 166,326 → (’20) 173,928
 
업종별 동향
 
< 2020년 3분기 업종별 창업기업 동향 >
 
업종별로 살펴보면 2020년 3분기 창업기업은 도·소매업(10만883개, 29.4%), 부동산업(7만6,464개, 22.3%), 숙박·음식점업(4만3,193개, 12.6%), 건설업(1만6,166개, 4.7%) 순으로 나타났다.
 
 
< 업종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구분 전체            
기술창업 도·소매 숙박·음식점 개인서비스 부동산업 기타
‘19. 3분기 302,834 52,844 79,563 44,318 12,898 63,479 49,732
‘20. 3분기 343,128 57,648 100,883 43,193 13,123 76,464 51,817
(13.3) (9.1) (26.8) (△2.5) (1.7) (20.5) (4.2)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도·소매업은 온라인쇼핑 활성화, 간편식 수요 증가 등에 힘입어 전자상거래업과 식료품 소매업 등이 증가하며 지난해 3분기 대비 26.8% 늘어난 반면, 오프라인 사업장 위주의 숙박·음식점업은 같은 기간 2.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올 3분기 기술창업은 교육서비스업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증가하며 9.1% 증가해 지난 2분기에 비해 증가폭이 더욱 확대됐다.
 
* 기술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20.1/4) 0.3 → (2/4) 4.7 → (3/4) 9.1
 
그중, 사회 전반에 디지털·비대면 경제가 활성화됨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발·공급, 컴퓨터프로그래밍 등의 정보통신업은 지난해보다 더욱 가파르게 성장했으며, 연구개발업과 경영컨설팅업 등의 전문서비스업이 포함된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특히, 상반기 8.8% 감소했던 제조업 창업이 3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했는데, 제조업 생산과 수출이 점차 개선되며 증가로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 제조업 생산/수출 증가율(%) : (’20.1/4) 5.5/△1.8 → (2/4) △5.2/△20.3 → (3/4) 1.1/△3.4
** 제조업 평균가동률(%) : (’19.4/4) 74.1 → (’20.1/4) 73.5 → (2/4) 66.5 → (3/4) 71.2
 
< 기술창업 업종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구분 기술창업  
제조업 정보통신 전문·
과학·기술
사업지원 교육 보건·
사회복지
창작·
예술·여가
’19.3분기 52,844 12,552 7,835 11,418 8,755 9,488 1,152 1,644
(5.6) (△7.6) (16.6) (18.6) (14.0) (1.7) (△19.2) (△1.1)
’20.3분기 57,648 12,993 9,793 13,861 9,377 8,635 1,160 1,829
(9.1) (3.5) (25.0) (21.4) (7.1) (△9.0) (0.7) (11.3)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2020년 1~9월 누적 업종별 창업기업 동향 >
 
2020년 1~9월 창업기업은 115만 2,727개로 전년 동기 대비 21.9% 증가했으며, 부동산업(36만9,274개, 32.0%), 도·소매업(28만7,631개, 25.0%), 숙박·음식점업(12만5,785개, 10.9%), 건설업(5만231개, 4.4%) 순으로 나타났다.
 
* 1~9월 창업기업(개) : (’18) 1,013,739 → (’19) 945,322 → (’20) 1,152,727(21.9%↑)
1~9월 부동산업 제외 창업기업(개) : (’18) 735,951 → (’19) 755,412 → (’20) 783,453(3.7%↑)
주택임대소득 과세 영향으로 연초 크게 증가한 부동산업을 제외하더라도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해 코로나19 충격에도 창업은 지속된 것으로 파악된다.
 
< 업종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구분 전체            
기술창업 도·소매 숙박·음식점 개인서비스 부동산업 기타
‘19. 1~9월 945,322 166,326 249,042 138,071 43,009 189,910 158,964
‘20. 1~9월 1,152,727 173,928 287,631 125,785 40,585 369,274 155,524
(21.9) (4.6) (15.5) (△8.9) (△5.6) (94.4) (△2.2)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한편, 올해 분기별 추이를 보면 정보통신업, 도·소매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의 경우 상반기 코로나19 확산 충격에도 양호한 증가를 이어갔으며 3분기에는 더욱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제조업과 개인서비스업,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 부진 우려, 집합 금지 등으로 상반기 감소했는데, 3분기 들어 경제활동 회복세, 거리두기 완화 등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증가 전환에 성공했다.
 
다만, 숙박·음식점업과 교육서비스업은 상반기에 이어 3분기에도 부진이 이어졌는데, 그중에서도 숙박·음식점업은 2분기에 비해 3분기 감소율이 완화되었으나 교육서비스업은 3분기에 감소율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 증가 업종 > < 반등 업종 > < 감소 업종 >
연령별 동향
 
연령별로는 청년층(39세 이하)이 19.0% 증가하여 전체 창업의 증가를 견인했으며, 그중에서도 30세 미만이 29.9% 증가해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또한, 퇴직 후 경험과 기술을 활용한 창업이 활발해지며 60세 이상의 창업도 전년 동기 대비 15.8% 증가했다.
 
< 연령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구 분 청년층(39세 이하) 40대 50대 60세 이상
30세 미만 30대 소계
전체
창업
’19.3/4 36,039 69,518 105,557 83,554 73,396 39,954
’20.3/4 46,809 78,816 125,625 90,910 79,983 46,260
(29.9) (13.4) (19.0) (8.8) (9.0) (15.8)
기술
창업
’19.3/4 6,431 14,683 21,114 16,266 10,998 4,390
’20.3/4 7,702 15,166 22,868 17,024 12,087 5,618
(19.8) (3.3) (8.3) (4.7) (9.9) (28.0)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30세 미만은 도·소매업(47.8%↑), 숙박·음식점업(13.1%↑), 사업시설관리서비스업(38.3%↑), 정보통신업(29.9%↑) 등의 창업이 증가했으며, 60세 이상은 도·소매업(16.2%↑), 제조업(35.5%↑), 운수·창고업(20.0%↑),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39.3%↑) 등에서 두드러지게 증가했다.
 
1~9월 누적 기준으로도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했으나 부동산업의 영향*으로 60세 이상을 비롯한 중·장년층에서 큰 폭으로 증가했다.
 
* ’20년 1~9월 연령별 부동산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37.5 (30대) 49.6 (40대) 76.3 (50대) 94.3 (60세이상) 159.0
 
< 연령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구 분 청년층(39세 이하) 40대 50대 60세 이상
30세 미만 30대 소계
전체
창업
’19.1~9월 107,293 217,671 324,964 264,119 230,770 124,391
’20.1~9월 127,866 238,048 365,914 303,511 286,290 195,985
(19.2) (9.4) (12.6) (14.9) (24.1) (57.6)
부동산업
제외
’19.1~9월 99,635 191,225 290,860 209,782 170,196 83,721
’20.1~9월 117,339 198,477 315,816 207,714 168,580 90,650
(17.8) (3.8) (8.6) (△1.0) (△0.9) (8.3)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조직형태별 동향
 
조직형태별로는 올 3분기 법인 창업기업이 3만 90개로 2020년 3분기 대비 12.8% 늘어났고, 개인 창업기업은 같은 기간 13.4% 증가한 31만 3,038개를 기록했다.
 
* 3분기 법인 창업기업(개) : (‘17) 25,377 → (’18) 24,873 → (’19) 26,677 → (’20) 30,090
** 3분기 개인 창업기업(개) : (‘17) 296,170 → (’18) 297,067 → (’19) 276,157 → (’20) 313,038
 
그중 기술창업은 법인창업이 1만 1,519개로 전년 동기 대비 17.3% 증가했고, 개인창업이 4만 6,129개로 지난해 3분기에 비해 7.2% 증가했다.
 
* 3분기 법인 기술창업(개) : (‘17) 9,818 → (’18) 9,632 → (’19) 9,817 → (’20) 11,519
** 3분기 개인 기술창업(개) : (‘17) 40,243 → (’18) 40,393 → (’19) 43,027 → (’20) 46,129
 
2020년 1~9월 누적 기준으로는 법인 창업기업이 9만 5,858개로 지난해 3분기 대비 18.1% 증가했고, 개인 창업기업은 105만 6,869개로 같은 기간 22.3% 증가했다.
 
* 1~9월 법인 창업기업(개) : (‘17) 74,502 → (’18) 76,920 → (’19) 81,196 → (’20) 95,858
** 1~9월 개인 창업기업(개) : (‘17) 883,422 → (’18) 936,819 → (’19) 864,126 → (’20) 1,056,869
 
법인·개인창업의 분기별 추이를 보면, 상반기에 비해 3분기 양호한 증가가 관측됐는데,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3분기 법인창업은 증가율이 확대되었고 개인창업은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했다.
 
법인창업 증가율(%) 개인창업 증가율(%)
성별·지역별 동향
 
대표자 성별로는 여성 창업기업이 전년 동기 대비 14.1% 증가한 16만 146개, 남성 창업기업은 같은 기간 12.7% 늘어난 18만 2,885개로 집계됐다.(성별 불명 87개 제외)
 
* 3분기 여성 창업기업(개) : (‘17) 149,903 → (’18) 150,388 → (’19) 140,402 → (’20) 160,146
** 3분기 남성 창업기업(개) : (‘17) 171,452 → (’18) 171,391 → (’19) 162,235 → (’20) 182,885
 
기술창업의 경우, 여성 기술창업은 2만 3,241개로 전년 대비 11.3% 증가했고 남성 기술창업은 7.7% 증가한 3만 4,366개로 나타났다.
 
* 3분기 여성 기술창업(개) : (‘17) 18,283 → (’18) 19,354 → (’19) 20,881 → (’20) 23,241
** 3분기 남성 기술창업(개) : (‘17) 31,713 → (’18) 30,618 → (’19) 31,898 → (’20) 34,366
 
지역별로는 경기(20.2%↑), 서울(16.4%↑), 부산(14.5%↑), 전북(12.3%↑) 등 모든 지역에서 증가했다. 기술창업은 경기(21.0%↑), 전북(13.2%↑), 충남(11.6%↑), 서울(10.2%↑) 등에서는 증가했으나, 전남(16.5%↓), 세종(14.7%↓), 경남(9.5%↓), 울산(4.3%↓) 등에서는 감소했다.
 
< 2020년 3분기 지역별 창업 증가율 >
(%, 전년동기대비)
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전체 16.4 14.5 7.5 11.5 9.0 2.1 8.2 20.2 9.5
기술창업 10.2 0.3 △1.1 5.3 6.6 △0.6 △4.3 21.0 7.5
지역 충북 충남 세종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국
전체 6.4 7.7 2.7 12.3 6.7 3.5 5.8 5.2 13.3
기술창업 0.2 11.6 △14.7 13.2 △16.5 △2.0 △9.5 6.9 9.1
 
※ 창업기업 동향의 자세한 통계수치는 아래의 경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①중기부 홈페이지 : www.mss.go.kr → 통계자료 → 주제별통계 → 창업·벤처기업 → 창업기업동향
②국가통계포털 : kosis.kr → 주제별통계 → 경제일반·경기/기업경영 → 기업경영 → 창업기업동향
 
이 보도 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통계분석과 고건호 사무관(☎ 042-481-6853)에게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1   2020년 상반기 주요 업종별 창업 동향
 
1   증가 업종
 
□ (도·소매업) 코로나19를 거치며 온라인쇼핑 시장이 더욱 확대*됨에 따라 전자상거래소매업 등 비대면 온라인쇼핑 업종이 큰 폭으로 증가
 
* 온라인쇼핑거래액(3분기, 조원) : (’17) 23.9 → (’18) 28.1 → (’19) 33.7 → (’20) 42.0
** 통신판매업 사업자수(명, 국세청) : (’18.8) 208,370 → (’19.8) 251,758 → (’20.5) 324,724
 
ㅇ (월별) 7~9월 모두 양호한 증가율을 유지하며 상반기에 비해 증가율이 확대
(단위 : 개, %)
구분 ’20년 창업기업
1/4 2/4 상반기 7월 8월 9월 3/4 1~9월
도·소매업 91,166 95,582 186,748 36,047 31,826 33,010 100,883 287,631
(5.9) (14.6) (10.2) (23.6) (21.6) (36.3) (26.8) (15.5)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ㅇ (연령별) 모든 연령대에서 창업이 크게 증가했으며, 특히 30대 이하 청년층이 도·소매업 창업 증가를 주도
 
* ’20년 3분기 연령별 도·소매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47.8 (30) 30.6 (40대) 19.6 (50대) 13.9 (60세이상) 16.2
 
□ (전문·과학·기술)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연구개발업과 경영컨설팅업이 증가했고 산업 규모의 성장으로 전문디자인업도 증가
 
* 경영 컨설팅업 매출액(조원, 통계청) : (’15) 7.9 → (’16) 8.5 → (’17) 8.8 → (’18) 10.1
** 디자인산업 규모(조원, 한??

0 Comments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