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중소벤처기업부]세계적 기술강국으로의 도약,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 출…

btn_textview.gif

그간 국민적 관심 속에 치열한 심사를 거쳐 17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선발된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대표들이 온?오프라인으로 모두 모였다.*
 
* 대면 참여 50개사, 비대면 참여 50개사 (유튜브 실시간 중계) https://youtube.com/user/bizinfo1357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11월 26일(목) 서울 강남구 소재의 팁스타운 팁스홀에서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100 대표와 유관기관이 모여 ’강소기업 100 출범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 (참고1)
 
 
  <소부장 강소기업 100 출범식 개요>  
   
· [일시 · 장소] ‘20.11.26(목) 14:00, 서울 팁스타운 팁스홀, (유투브 라이브 중계)
· [참석자] 중소벤처기업부 장관(박영선), 강소기업 50개사 대표, 카이스트 원장(윤석진),
기보 이사장(정윤모), 기정원장(이재홍), 한국벤처투자 대표(이영민),
한국엔젤투자협회 회장(고영하), 초기투자기관협회 회장(이용관) 등
· [행사내용] (강소기업100 비전 공유) 강소기업 100 현황 및 경과, 그간 성과사례 및 성장전략, 강소기업 100 ’21년 지원계획
(협의회 발족) 강소기업100 협의회 발족 및 함께성장 마중물선언
(엔젤투자펀드 조성 업무협약) 소부장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엔젤투자펀드 조성
(간담회) 강소기업100 애로사항 및 정책 의견수렴
강소기업 100은 글로벌 밸류체인의 급변에 대응하기 위해 소재?부품?장비 분야 전문 중소벤처기업을 집중 육성하는 프로젝트로 ‘19년 1차 선정에 이에 지난 10월에 2차로 46개사를 추가 선정했다. (총 100개사)
 
강소기업 100‘21년 지원계획

 
오늘 출범식에서는 먼저 올해 10월에 2차로 선정된 46개사에 강소기업 100 선정서를 수여하고, 소부장 기술강국으로의 도약 의지를 담은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 장관, 강소기업100 협의회 회장/부회장, 카이스트 원장, 기보이사장, 기정원장 등 6명
 
이어서 강소기업 100의 비전을 공유하도록 그간의 성과 및 성장전략을 사례 위주로 공유했다.
 
* (성과사례) 영창케미칼 - 반도체용 포토레지스트 개발,
(성장전략) 삼현 - 전기차?수소차 등 미래차 동력전달계의 핵심부품 스마트액추에이터 개발
 
이와 함께 앞으로 강소기업의 미래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기술개발(R&D), 투자, 보증 등 ‘21년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 (참고2)
 
< 강소기업 100 ’21년 지원계획>
 
· (기술개발) 중기부 소재·부품·장비 R&D 예산 확대, 강소기업 전용 R&D 신설(125억원),
가점 한도외 적용, 투자형 R&D 적극 지원(강소기업은 2배수, 최대 30억원) 등
· (보증) 보증 우대한도 상향 (15억원→30억원), 신보·기보 중복지원 예외적 허용 등
· (혁신기업) : 자금·보증·투자 등을 적극 지원하는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으로 적극 추천
· (전담지원단) : 강소기업을 전담으로 담당하는 인력 증원 (7명 → 12명)
 
 
 
강소기업100 협의회 발족, 함께 성장 마중물 선언
 
소부장 생태계 활성화의 구심점 역할을 위한 강소기업 100 협의회 발족과 강소기업의 성과를 후배기업, 지역사회 등과 나누는 함께 성장 마중물 선언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강소기업 협의회장*은 정부 지원으로 창출한 성과를 후배기업에게 기술자문 등을 통해 사회에 공헌함으로써 함께 성장하는 문화를 조성할 것을 강소기업을 대표하여 선언했다.
 
* 행사 당일 협의회장 선출 예정 (추진위원장 비츠로셀 장승국 대표)
 
강소기업 100 협의회장은 앞으로 협의회가 중심이 되어 강소기업들이 후배기업에게 신제품·신기술 개발을 위한 협업 기회를 제공하고 스타트업에 시드 투자 및 밸류체인과 연계한 성장지원, 인수합병 등을 통해 소부장 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성장의 과실을 공유하는 선순환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소부장 엔젤투자펀드 업무협약, 정책 간담회
 
이어서 소부장분야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해 투자하는 엔젤투자펀드 조성을 위해 강소기업100 협의회, 엔젤투자협회, 초기투자기관협회 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소부장 스타트업 엔젤투자가 활성화 되도록 앞으로 3개 기관이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 (참고3)
 
* 엔젤투자펀드 조성(안) : (1단계, ~‘21.3월) 20억원 → (2단계, ~’22년) 100억원 규모
 
- 역할(예시) : (강소기업100 협의회) 기금조성, (초기투자기관협회) 기금 운영, 스타트업 발굴 투자, (엔젤투자협회) 기금 운영, 스타트업 발굴 투자, 홍보 등 실무지원
 
한편, 말미에 진행된 강소기업 100 간담회에서는 대표들이 지난 1년간 강소기업 프로젝트를 경험하면서 현장에서 느낀 개선사항을 건의했으며 즉석에서 전담지원단을 통한 맞춤형 안내도 병행됐다.
 
이번 행사는 지난 24일부터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상향됨에 따라 참석인원 최소화, 참석자 간 거리유지 등 철저한 방역 관리 속에서 개최됐다
 
코로나19 등으로 참석하지 못한 강소기업과 참관을 희망하는 국민들을 위해 비대면 방식도 병행해 중기부와 케이티브이(KTV)방송의 유튜브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중계됐다.

중기부 박영선 장관은 ”한국을 대표하는 소·부·장 강소기업들이 기술독립을 선도하고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앞으로 물심양면으로 뒷받침해 갈 것”이라고 하면서,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성과를 공유하며 함께 성장해가는 문화는 앞으로 우리의 기업 생태계가 건강하게 발전해 가는데 소중한 경험으로 중기부도 이를 적극 응원하겠다”고 밝혔다.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기술개발과 조무근 사무관(☎ 042-481-4401)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1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100 출범식 개요
 
□ 목적
 
? 소부장 강소기업100 46개사를 2차 선정함에 따라 비전 공유 행사
 
□ 행사개요 1부 출범식 유튜브 실시간 공유
 
? 일시?장소 : ‘20.11.26(목) 14:00~15:30 / 팁스타운 S1 팁스홀(B1)
 
? 참석 : 60명 내외 (그 외 비대면으로 연결)
 
- (정부?유관기관) 중기부 장관, 유관기관(기보, 기정원, 한국벤처투자, 중진공) 등
 
- (선정심의위원장) 카이스트 원장
 
- (기업) 강소기업 100개사 * 대면 50개, 비대면 50개
 
? 슬로건 : ‘글로벌 기술강국으로의 도약!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
 
□ 세부일정 : 1부 출범식 (’55) → 2부 강소기업 간담회 (‘35)
 
※ 행사 전(13:30~14:00),
“소부장 강소기업100 협의회(추진위원장 비츠로셀 장승국대표)” 발족 행사 진행
 
구 분 시 간 내 용 비 고
<1부>
출범식
(‘55)
14:00 ~ 14:02 ‘2 개회 및 참석자 소개 • 사회자
14:02 ~ 14:07 ‘5
  •  
• 중기부 장관
14:07 ~ 14:15 ‘8 강소기업 선정서 수여 • 중기부 장관
14:15 ~ 14:20 ‘5
  •  
• 중기부 장관, KIST 원장,
강소기업 대표 등 6명
14:20 ~ 14:40 ‘20 강소기업 비전 공유
- 강소기업100 현황 및 경과 (동영상)
- 강소기업100 ‘21년 지원계획
- 1차 선정기업 그간 성과사례
- 2차 선정기업 성장전략
• 중기부, 강소기업 100개사
 
- 중기부 국장
- 영창케미칼
- 삼현
14:40 ~ 14:45 ‘5 협의회 운영계획 및 함께성장 마중물선언 • 강소기업 100 협의회장
14:45 ~ 14:50 ‘5 소부장 엔젤투자펀드 조성 업무협약 • 강소기업100협의회, 엔젤 협회, 초기투자기관협회
14:50 ~ 14:55 ‘5 기념촬영 및 폐회 • 중기부 장관, 강소기업
 
<2부>
간담회(‘35)
14:55 ~ 15:30 ‘35
  • 100 간담회
• 중기부 장관, 유관기관장, 강소기업 6개사 등
참고2   강소기업 100 ‘21년 지원계획 (요약)
 
※ 아래 예산 규모는 국회에 제출한 정부안 기준임
 
□ 강소기업 지원사업 총괄
 
? 기업당 최대 지원금액을 ’20년 182억원에서 ‘21년 224억원으로 확대
 
* 투자형 기술개발(R&D) (최대 30억원), 소재부품장비 전략협력 12억원 등 42억원 추가
 
주요 변동사항 ‘20년 지원 (182억원) ‘21년 지원 (224억원)
기술개발 단계 · R&D 가점을 통한 우선지원
(최대 4년, 20억원)
 
· 강소기업 전용사업 편성
(최대 4년, 20억원)
· 투자형 R&D 적극 지원
(강소기업은 최대 30억원, 2배수)
· 대학·출연연 공동연구개발
신규사업 편성 (최대 3년, 12억원)
사업화 단계 · 중진공 정책자금, 보증 등
우선지원 (최대 130억원)
 
 
·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적극추천
(융자·보증·투자 등으로 연계)
· 중진공 정책자금, 보증 등
우선지원 (최대 130억원)
전담지원 체계 · 기술혁신지원단 신설 (7명) · 기술혁신지원단 본격가동 (12명)
 
□ 소재·부품·장비 기술개발(R&D) 확대 (‘20. 1,186 → ’21. 1,952억원)
 
? 중기부 소특회계 기술개발(R&D) 예산으로 1,952억원 편성
(‘20년 1,186억원 대비 766억원 증액(+64.6%))
 
< 소재·부품·장비 중기부 기술개발(R&D) 예산(억원) >
 
사업명 내역 사업
(세부 지원 구분)
지원 규모 예산 지원조건
‘20년 ‘21년
창업성장 전략형 창업과제 최대 2년, 4억원 137 285 창업 7년 이하 창업기업
중소기업
기술혁신
강소기업 100 (신설) 최대 4년, 20억원 - 125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소부장 전략 최대 2년, 6억원 510 442 소재·부품·장비 전문기업
소부장 일반 최대 2년, 5억원 225 444 소재?부품?장비 전략품목 지원
중소기업
상용화
구매연계형 최대 2년, 5억원 97 200 수요처의 구매수요
공동투자형 최대 3년, 12억원 47 100 투자기업의 투자수요
Tech-Bridge활용 상용화기술개발 최대 2년, 8억원 125 239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술이전
소재부품장비 전략협력 기술개발(신설) 최대 3년, 12억원 - 50 대학·연구기관과 중소기업 공동 R&D
합계   1,186 1,952  
 
? 소부장 분야 핵심 원천기술 및 인프라를 보유한 대학·연구기관과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기술개발하는 신규사업 추진 (’21, 50억원)
※ 강소기업에게 부여하던 중기부 기술개발(R&D) 가점(5점)을 타 가점과 구분되도록 한도외 적용하여 실질적인 지원으로 이어지도록 강화
 
- 기본요건으로 서면평가만 통과하면 기술개발(R&D) 지원으로 사실상 연결
 
* (기존) 강소기업 가점도 타 가점과 합산하여 최대 5점 지원 (타가점 사실상 미반영) → (변경) 타 가점은 5점 한도 내에서 합산하고 강소기업은 한도 외로 지원 (최대 10점까지 가능)
 
□ ’21년 강소기업 전용 기술개발(R&D) 신설
 
? 중기부 기술개발(R&D) 가점적용 외, 강소기업 전용 기술개발(R&D)로 최대 4년·20억원 규모 과제 50개 편성 (‘21년 예산, 125억원)
 
- 선정된 강소기업 100개사가 모두 기술개발(R&D) 지원받을 수 있도록 ’22년 추가 예산반영을 위해 관계부처와 협의 추진
 
□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추천
 
? 기술성과 혁신성 및 성장성을 두루 갖춘 기업을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으로 ’22년까지 1,000개사 선정
 
? 기존 정책금융 여력을 활용하여 융자·보증·투자 등 약 40조원 지원 예정
 
- 혁신성과 기술력 등이 검증된 만큼, 재무상태가 다소 좋지 않더라도 최대한 금융지원이 이루어지도록 노력
 
□ 투자형 기술개발(R&D) 지원
 
? (지원대상) 소재·부품·장비 및 언택트 분야의 도전·혁신적 모험을 지원
 
? (지원예산) ‘20년 165억원에서 ’21년 335억원으로 확대
 
? (투자조건) 강소기업의 경우 최대 2배수 이내 30억원까지 매칭 투자
 
* 일반기업의 경우 최대 1배수 이내, 20억원까지 매칭 투자
 
□ 강소기업 보증한도 상향
 
? 강소기업은 보증 우대한도를 30억원(일반기업 15억원)이으로 상향하고 예외적으로 신보와의 중복 보증지원을 허용
 
□ 강소기업 전담지원단 본격 추진
 
? 강소기업이 지원사업을 안내받고 애로사항을 일괄 건의하는 일원화된 창구인 전담지원단 확대 운영 (‘20. 7명 → ’21 12명)
 
- 주요 권역별로 피엠(PM)을 배치해 강소기업들과 실시간으로 소통
참고3   소재?부품?장비분야 엔젤투자펀드 추진(안)
 
□ (주요내용) 강소기업 협의회를 중심으로 기금을 조성하여 소재·부품·장비 분야 스타트업에 대한 엔젤투자를 진행
 
□ (조성방안) 강소기업 협의회에서 20억원(최소 출자조건)을 출자하여 벤처투자조합을 결성하고, 소부장 스타트업에 투자 진행
 
? 1단계로, ‘21년 1분기까지 20억원 규모로 조성하고, 향후 투자실적을 점검하여 ‘22년 말까지 100억 규모로 점진적 확대 추진 (목표)
 
□ (운영방안) 초기투자기관협회*와 한국엔젤투자협회가 공동 지피(GP) 수행
 
* 액셀러레이터, 벤처캐피탈, 기술지주사 등 30여개 초기투자기관이 모여 초기투자 활성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국내창업 생태계를 뒷받침 하도록 협회 설립
(초기투자기관협회 회장 블루포인트파트너스 대표이사 이용관, ‘20.11.3 설립)
 
? 협의회 및 협회 추천기업, 모집공고 등을 통해 발굴된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선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투자 진행
 
* 위원회 구성(안): 초기투자기관협회, 엔젤협회, 강소기업 협의회 등 5인 내외로 구성
 
< 운영방안 체계 >
 
소부장기업
 
출자
벤처투자조합 결성
(1단계, 20억원)

 
투자
1)소부장 초기창업자: 60%
2)소부장 외 기타: 40%

 
후속지원
1)후속투자 유치
2)시설?공간
3)멘토링?컨설팅 등
    출자(1%이상)↑  
    초기투자기관협회,
엔젤협회
 
 
 
 
 
 
 
참고4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100 선정기업 현황
 
□ 2차선정 (‘20.10월, 46개사, 가나다 순)
 
기계
(12개)
대륙프랜지공업, 대호테크,
동양에이케이코리아, 디에스피
삼보산업, 삼우에코, 에이치케이, 엠플러스, 우림기계, 원에스티, 터보파워텍, 플로닉스
기초화학
(5개)
삼영화학공업, 쎄노텍
와이엠티, 진켐, 켐트로스
자동차
(6개)
경원산업, 나노신소재
삼우코리아, 삼현, 알멕,
에코캡
반도체
(10개)
DCT 머티리얼, 램테크놀러지, 메카로, 미코세라믹스
쓰리에이로직스, 아이에스시
엑시콘, 엔비스아나
오로스테크놀로지, 큐에스아이
전기전자
(9개)
나인테크, 넥스플렉스
디알텍, 애니캐스팅
에이프로, 에프알텍
엠피닉스, 옵티코어
피닉슨컨트롤스
디스플레이
(4개)
야스, 이노6, 케이맥,
한국진공야금
 
□ 1차선정 (‘19.12월, 54개사, 가나다 순)
 
기계
(7개)
다윈프릭션, 대성하이텍,
삼영기계, 일신오토클레이브,
알피에스, 파나시아, 플로트론
기초화학
(6개)
아이티켐, 애니젠,
에버켐텍, 에프티씨코리아,
엔켐, 한국바이오젠
반도체
(10개)
넥스틴, 디엔에프,
마이크로프랜드, 에이엠티,
에이티아이, 엠에이티플러스,
영창케미칼, 웨이비스,
윌테크놀러지, 파크시스템스
자동차
(7개)
계림금속, 기가비스,
대양전기공업, 부국산업,
서우산업, 성림첨단산업,
센서텍, 아모그린텍
디스플레이
(8개)
베이스, 선재하이테크
에스앤에스텍, 에스엠에스
엔젯, 이코니
코윈디에스티, 풍원정밀
전기전자
(16개)
대주전자재료, 동우전기
비츠로셀, 비나텍, 쎄미시스코, 쎄크, 알에스오토메이션,
엠케이켐앤텍, 오이솔루션,
와이엠텍, 이노피아테크,
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켐옵틱스, 피앤이솔루션,
한라아이엠에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