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질병관리청]대규모 사구체 특화질환 인체자원 공개

btn_textview.gif

대규모 사구체 특화질환 인체자원 공개


- 사구체질환 바이오뱅크 성과발표 및 분양을 위한 인체자원 공개 설명회 개최 -


정밀의료연구 및 바이오헬스산업 활용을 위한 사구체질환 2,251임상·역학정보, 인체유래물, 병리이미지 등 공개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과 서울대병원(원장 김연수)은 ‘사구체질환 바이오뱅크를 이용한 인체유래물 연구와 분양 설명회’를 7월 8일(목) 13시부터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과학원에서 비대면*(온라인) 방식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붙임 1 참조).


   * (접속 주소) http://gabinlive.com/kidney


 ○ 이번 분양설명회를 통해 공개하는 사구체 특화질환 인체자원은 2,251명 사구체질환자의 표준화된 임상(169개 변수)·역학(610개 변수)정보와 연계된 혈액, 소변, DNA(혈액 DNA 및 대변 DNA) 및 병리이미지 정보 등이 포함된다(붙임 2 참조).


   - 사구체 질환은 의료비 및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신장질환의 주요 원인질환 중 하나로써 이번 설명회에서는 인체자원을 활용한 진단, 예후·예측 지표 및 신약개발 대상의 발굴 등 다양한 연구·산업 활용 가능성과 근거도 함께 제시된다.


□ 그간 서울대병원은 국립보건연구원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08년~)에 참여하여 각 사업*을 수행하면서 다기관 컨소시엄**을 통해 사구체질환 정밀의료연구에 적합한 고품질 인체자원을 확보해왔다.


   * ‘인체자원단위은행 지원 사업(’10~‘18)’ 및 ‘특화질환 수집자원 네트워크 구축사업*(’19~‘20)’ (인체자원은행장 및 사업책임자: 김동기 교수)


   ** 자원 및 임상·역학정보 확보 시 표준화된 항목, 절차, 방법 등을 활용하여 연구에 보다 적합한 자원의 확보를 위해 구성.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중앙대학교병원, 세브란스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등 6개 병원이 참여 


 ○ 이 사업을 통해 수집된 고품질 사구체 특화질환 인체자원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누리집(http://nih.go.kr/biobank)을 통해 ’21. 9월부터 분양 상담과 신청이 가능하게 된다.


□ 국립보건연구원 박현영 미래의료연구부장(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장)은  “이번 공개 설명회를 통해서 사구체 특화질환 바이오뱅크의 운영경험과 활용가치를 연구자들과 공유함으로써 사구체질환 분야 정밀의료연구를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붙임>  1. 사구체질환 바이오뱅크를 이용한 인체유래물 연구와 분양설명회 개요
            2. 사구체 특화자원 확보 현황
            3. 용어 설명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