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중소벤처기업부]코로나19 확산 속에서도 상반기 창업은 늘었다

btn_textview.gif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가 발표한 ‘창업기업 동향’에 따르면, ‘20년 상반기 창업기업은 80만 9,599개로 ’19년 상반기에 비해 26.0%(16만7,111개) 늘어났다.

 
* 상반기 창업기업(개) : (‘17) 636,377 → (’18) 691,799 → (’19) 642,488 → (’20) 809,599
 
부동산업 창업이 급증하면서 전체 창업이 크게 증가했으며, 부동산업을 제외하더라도 지난해 상반기 대비 0.1% 증가해 코로나19 속에서도 비교적 선방한 것으로 평가된다.
 
코로나19 영향이 이어진 4월과 5월에는 신규 창업이 위축됐으나 6월에는 증가로 전환해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전년 대비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단위 : 개, %)
구분 ‘19.상반기 ’20.상반기
1/4 2/4   1/4 2/4 4월 5월 6월  
전체 창업 321,748 320,740 642,488 462,991 346,608 104,311 113,601 128,696 809,599
(△12.1) (△1.6) (△7.1) (43.9) (8.1) (△8.2) (5.0) (30.1) (26.0)
부동산업
제외
257,245 258,812 516,057 257,869 258,920 82,258 80,955 95,707 516,789
(1.9) (2.9) (2.4) (0.2) (0.04) (△11.2) (△6.5) (20.3) (0.1)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업종별로는 도·소매업이 온라인 쇼핑의 성장에 따라 전자상거래업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했으며 사회 각 분야에서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소프트웨어 개발·공급 등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정보통신업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 상반기 도·소매업 창업기업(개) : (’17) 160,233 → (’18) 159,278 → (’19) 169,479 → (’20) 186,748
** 상반기 정보통신업 창업기업(개) : (’17) 11,613 → (’18) 14,652 → (’19) 15,013 → (’20) 17,359
 
기술창업*은 코로나19 여파에도 정보통신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등 지식기반서비스업이 증가하며 전년 동기 대비 2.5%(2,798개) 증가한 11만 6,280개로 나타나,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 기술기반업종(OECD, EU 기준) : 제조업 + 지식기반 서비스업(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사업지원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사회복지, 창작·예술·여가서비스)
 
** 상반기 기술창업(개) : (’17) 102,144 → (’18) 107,593 → (’19) 113,482 → (’20) 116,280
 
기술창업은 30세 미만(15.3%↑)과 50대(3.8%↑), 60세 이상(15.5%↑)에서 늘어나고 있어, 청년층의 고부가가치 지식서비스업 분야로의 활발한 진출과 함께 고령화 시대 장년층의 경험과 기술을 활용한 창업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업종별 동향
 
업종별로 살펴보면 ’20년 상반기 새롭게 만들어진 창업기업은 부동산업(29만2,810개, 36.2%), 도·소매업(18만6,748개, 23.1%), 숙박·음식점업(8만2,592개, 10.2%), 건설업(3만4,065개, 4.2%) 순으로 나타나 부동산업과 도·소매업이 전체 창업의 60% 가까이 차지했다.
 
< 업종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구분 전체 창업            
기술창업 도·소매 숙박·음식점 개인서비스 부동산업 기타
’19.상 642,488 113,482 169,479 93,753 30,111 126,431 109,232
(△7.1) (5.5) (6.4) (△0.5) (2.6) (△32.7) (△3.8)
’20.상 809,599 116,280 186,748 82,592 27,462 292,810 103,707
(26.0) (2.5) (10.2) (△11.9) (△8.8) (131.6) (△5.1)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도·소매업은 온라인쇼핑 활성화 등에 힘입어 비대면 전자상거래업을 중심으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10.2% 늘었고, 부동산업은 연 2,000만원 이하 주택임대소득 과세를 위해 사업자등록이 의무화됨에 따라 신규 사업자등록이 급증한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발·공급, 정보서비스업(자료처리, 데이터베이스 제공 등)과 같은 정보통신기술(ICT)기반 정보통신업(15.6%↑)의 성장세는 지난해보다 더욱 확대됐으며, 연구개발업, 전문서비스업 등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17.0%↑) 창업도 두드러지게 증가했다.
 
< 기술창업 업종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구분 기술창업  
제조업 정보통신 전문·
과학·기술
사업지원 교육 보건·
사회복지
창작·
예술·여가
’19.상 113,482 27,845 15,013 22,730 18,445 22,736 2,962 3,751
(5.5) (△7.5) (2.5) (14.4) (21.7) (9.0) (△13.3) (6.4)
’20.상 116,280 25,402 17,359 26,600 19,694 21,274 2,613 3,338
(2.5) (△8.8) (15.6) (17.0) (6.8) (△6.4) (△11.8) (△11.0)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다만, 제조업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업황 부진에 코로나19의 전세계 확산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8.8% 감소했고, 대면·밀집 업종인 교육서비스업과 창작·예술·여가서비스업도 각각 6.4%, 11.0% 감소해 코로나19 이후 신규 진입이 위축된 것으로 파악된다.
 
숙박·음식점업과 개인서비스업 역시 거리두기, 외출 자제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각각 11.9%, 8.8% 감소했다.
 
월별로 보면 정보통신업은 코로나19 속에서도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유지하며 꾸준히 증가했으며, 그 외의 업종은 코로나19 충격이 강했던 4~5월에는 창업이 둔화(전문·과학·기술, 도·소매)되거나 큰 폭으로 감소(제조업, 교육, 창작·예술·여가, 숙박·음식점, 개인서비스)한 뒤 6월 들어 반등해 다소 회복되는 듯한 모습이 나타났다.
 
* 업종별 창업 증가율(%, 전년동월대비, ’20.4월→5월→6월) :
(정보통신업) 14.3→23.6→26.8 (전문·과학·기술) 1.4→8.3→33.1 (도·소매) 4.3→9.6→32.2
(제조업) △16.5→△16.5→17.4 (교육) △26.3→△24.0→54.5 (창작·예술·여가) △20.7→△26.9→12.2
(숙박·음식점) △30.4→△21.0→2.4 (개인서비스) △24.3→△18.6→15.0
 
연령별 동향
 
연령별로는 부동산업 급증*에 따라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했으나, 부동산업을 제외한 창업은 30세 미만과 60세 이상에서 증가했다. 그중 기술창업은 30세 미만(15.3%↑), 50대(3.8%↑), 60세 이상(15.5%↑)에서 증가해 청년층과 장년층 이상의 신규 진입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년 상반기 연령별 부동산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37.3 (30대) 65.2 (40대) 105.7 (50대) 131.0 (60세이상) 227.3
 
< 연령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구 분 청년층(39세 이하) 40대 50대 60세 이상
30세 미만 30대 소계
전체 창업 ’19.상 71,254 148,153 219,407 180,565 157,374 84,437
’20.상 81,057 159,232 240,289 212,601 206,307 149,725
(13.8) (7.5) (9.5) (17.7) (31.1) (77.3)
부동산업 제외 ’19.상 66,269 130,660 196,929 144,481 116,851 57,245
’20.상 74,214 130,331 204,545 138,373 112,680 60,722
(12.0) (△0.3) (3.9) (△4.2) (△3.6) (6.1)
  기술창업 ’19.상 11,977 31,808 43,785 36,516 23,691 9,332
’20.상 13,807 30,689 44,496 36,317 24,589 10,775
(15.3) (△3.5) (1.6) (△0.5) (3.8) (15.5)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30세 미만은 도·소매업(22.7%↑), 사업시설관리서비스업(47.7%↑), 정보통신업(26.6%↑),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21.0%↑) 등의 창업이 증가했으며, 60세 이상은 도·소매업(12.8%↑),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32.8%↑), 개인서비스업(25.3%↑), 정보통신업(45.4%↑) 등에서 두드러지게 증가했다.
조직형태별 동향
 
조직형태별로 보면 올 상반기 법인 창업기업은 6만 5,768개로 ’19년 상반기 대비 20.6%(1만1,249개) 늘어났고, 개인 창업기업은 같은 기간 26.5%(15만5,862개) 증가한 74만 3,831개를 기록했다.
 
* 상반기 법인 창업기업(개) : (‘17) 49,125 → (’18) 52,047 → (’19) 54,519 → (’20) 65,768
** 상반기 개인 창업기업(개) : (‘17) 587,252 → (’18) 639,752 → (’19) 587,969 → (’20) 743,831
 
법인창업은 부동산업(74.2%↑), 도·소매업(19.2%↑),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38.3%↑) 순으로 증가했고, 개인창업은 부동산업(134.9%↑)과 도·소매업(9.3%↑)이 증가했지만, 코로나19 영향을 받은 숙박·음식점업(12.0%↓), 개인서비스업(8.9%↓), 제조업(12.2%↓) 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법인창업은 5만 3,669개로 전년 동기 대비 12.8%(6,097개) 증가했으나, 개인창업은 같은 기간 1.1%(5,365개) 감소한 46만 3,120개로 나타났다.
 
* 상반기 부동산업 제외 법인창업(개) : (‘17) 44,168 → (’18) 47,073 → (’19) 47,572 → (’20) 53,669
** 상반기 부동산업 제외 개인창업(개) : (‘17) 447,805 → (’18) 456,897 → (’19) 468,485 → (’20) 463,120
 
부동산업을 제외한 수치를 보면, 코로나19 충격 속에서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개인창업이 숙박·음식점업, 개인서비스업 등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위축됐지만, 전년 대비 소폭(1.1%↓) 감소해 비교적 선방한 모습을 보였다. 이와 더불어 법인창업은 오히려 두 자릿수의 증가율(12.8%↑)을 보이며 양호한 증가세를 이어갔다.
 
기술창업의 경우 법인(12.6%↑)과 개인(0.2%↑) 모두 증가했는데, 법인은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38.3%↑), 정보통신업(14.6%↑), 교육서비스업(4.7%↑)이 증가했으며, 개인은 정보통신업(16.0%↑),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10.0%↑), 사업지원서비스업(9.0%↑)이 증가했다.
 
* 상반기 법인 기술창업(개) : (‘17) 18,728 → (’18) 20,320 → (’19) 20,660 → (’20) 23,257
** 상반기 개인 기술창업(개) : (‘17) 83,416 → (’18) 87,273 → (’19) 92,822 → (’20) 93,023
성별·지역별 동향
 
성별로는 여성 창업기업이 전년 동기 대비 28.0% 증가한 37만 8,847개, 남성 창업기업은 같은 기간 24.4% 늘어난 43만 501개로 집계됐다.(성별 불명 251개 제외)
 
* 상반기 여성 창업기업(개) : (‘17) 296,233 → (’18) 326,839 → (’19) 295,986 → (’20) 378,847
** 상반기 남성 창업기업(개) : (‘17) 339,822 → (’18) 364,582 → (’19) 346,136 → (’20) 430,501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여성 창업기업은 22만 9,169개로 전년 대비 1.2% 감소했지만 남성 창업기업은 1.3% 증가한 28만 7,388개로 나타났다.
 
* 상반기 부동산업 제외 여성 창업기업(개) : (‘17) 222,271 → (’18) 229,439 →
(’19) 231,914 → (’20) 229,169
** 상반기 부동산업 제외 남성 창업기업(개) : (‘17) 269,432 → (’18) 274,168 →
(’19) 283,802 → (’20) 287,388
 
지역별로는 세종(47.0%↑), 인천(40.2%↑), 대전(36.9%↑), 서울(32.4%↑) 등 모든 지역에서 증가했다. 부동산업 제외 시에는 경기(5.9%↑), 세종(5.8%↑), 서울(3.0%↑) 등에서는 증가했으나, 경북(8.9%↓), 충북(7.3%↓), 대구(6.8%↓), 경남(6.7%↓) 등에서는 감소했다.
 
< ’20년 상반기 지역별 창업 증가율 >
(%, 전년동기대비)
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전체 32.4 27.6 15.7 40.2 21.6 36.9 20.9 28.1 26.1
부동산업 제외 3.0 △1.7 △6.8 2.4 △3.8 △2.3 △4.8 5.9 0.1
지역 충북 충남 세종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국
전체 20.3 28.0 47.0 10.6 15.0 8.6 14.7 16.9 26.0
부동산업 제외 △7.3 △0.2 5.8 △4.8 △2.3 △8.9 △6.7 △6.2 0.1
 
 
 
이 보도 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통계분석과 고건호 사무관(☎ 042-481-6853)에게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1   ’20년 상반기 주요 업종별 창업 동향
 
1   증가 업종
 
□ (도·소매업) 코로나19 속에서도 온라인쇼핑의 활성화 등으로 전자상거래 등 비대면 통신판매업 업종이 큰 폭으로 증가한 모습
 
* 통신판매업 사업자수(명, 국세청) : (’18.5) 198,284 → (’19.5) 239,332 → (’20.5) 297,469
 
ㅇ (월별동향) 4월까지도 양호한 증가세를 보였으며 6월 들어서는 더욱 큰 폭으로 증가
(단위 : 개, %)
구분 ‘19.상반기 ’20.상반기
1/4 2/4   1/4 2/4 4월 5월 6월  
도·소매업 86,064 83,415 169,479 91,166 95,582 31,476 30,420 33,686 186,748
(6.5) (6.4) (6.4) (5.9) (14.6) (4.3) (9.6) (32.2) (10.2)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ㅇ (연령별) 청년층(39세 이하)과 60세 이상에서 도·소매업 증가를 주도
 
* ’20년 상반기 연령별 도·소매업 창업 증가율(%) :
(30세미만) 22.7 (30) 13.2 (40대) 3.2 (50대) 1.8 (60세이상) 12.8
 
ㅇ (조직형태별) 법인창업과 개인창업이 모두 증가했으며 법인창업의 증가율이 특히 두드러짐
 
* ’20년 상반기 도·소매업 창업기업 증가율(%) : (법인) 19.2 (개인) 9.3
 
□ (전문·과학·기술) 온라인시장 확대에 따른 온라인광고업 성장과 경영환경의 불확실성 강화로 인한 컨설팅 시장 확대로 전문서비스업이 증가
 
* 온라인광고 시장규모(조원, 한국온라인광고협회) : (’17) 4.4 → (’18) 5.3 → (’19) 6.4 → (’20e) 7.7
** 경영 컨설팅업 매출액(조원, 통계청) : (’15) 7.9 → (’16) 8.5 → (’17) 8.8 → (’18) 10.1
 
ㅇ (월별동향) 지난해의 증가세를 이어갔으며, 4~5월 코로나19 영향으로 증가폭이 둔화된 후 6월 다시 크게 증가
(단위 : 개, %)
구분 ‘19.상반기 ’20.상반기
1/4 2/4   1/4 2/4 4월 5월 6월  
전문·과학·
기술
11,287 11,443 22,730 13,563 13,037 4,014 4,114 4,909 26,660
(11.6) (17.4) (14.4) (20.2) (13.9) (1.4) (8.3) (33.1) (17.0)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ㅇ (연령별) 전연령대에서 골고루 증가했고 다른 업종에 비해 40대 이상의 신규 진입이 크게 증가
 
* ’20년 상반기 연령별 전문·과학·기술 창업 증가율(%) :
(30세미만) 21.0 (30대) 8.7 (40) 16.7 (50) 21.5 (60세이상) 32.8
 
ㅇ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창업 모두 증가했으며 특히 법인창업이 대폭 증가
 
* ’20년 상반기 전문·과학·기술 창업기업 증가율(%) : (법인) 38.3 (개인) 10.0
 
□ (정보통신업) 사회 각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이 급속도로 진행되며 ICT 기반의 소프트웨어개발·공급업, 정보서비스업 등의 창업이 활발
 
ㅇ (월별동향) 다른 업종과 달리 코로나19의 경제적 여파가 강했던 4~5월에도 준수한 증가율을 유지하며 창업 지속
(단위 : 개, %)
구분 ‘19.상반기 ’20.상반기
1/4 2/4   1/4 2/4 4월 5월 6월  
정보통신업 7,460 7,553 15,013 8,164 9,195 2,808 2,992 3,395 17,359
(4.6) (0.4) (2.5) (9.4) (21.7) (14.3) (23.6) (26.8) (15.6)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ㅇ (연령별) 30세 미만과 60세 이상에서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40~50대 중·장년층의 신규창업도 활발
 
* ’20년 상반기 연령별 정보통신업 창업 증가율(%) :
(30세미만) 26.6 (30대) 6.1 (40대) 12.8 (50대) 17.0 (60세이상) 45.4
 
ㅇ (조직형태별) 법인창업과 개인창업 모두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기록
 
* ’20년 상반기 정보통신업 창업기업 증가율(%) : (법인) 14.6 (개인) 16.0
 
□ (부동산업) 주택임대소득 과세에 따른 사업자등록 증가 등으로 ’20년 상반기 크게 증가
 
ㅇ (월별동향) 연초 사업자등록이 집중되며 큰 폭으로 증가한 뒤 증가율이 줄어들었지만 5월 이후 다시 급증하는 추세
 
* ’19.12.31일 이전에 임대사업을 개시한 경우에는 ’20.1.1일을 사업개시일로 보고 ’20.1.21일까지 사업자등록을 하도록 안내, 미등록시 가산세 부과
(단위 : 개, %)
구분 ‘19.상반기 ’20.상반기
1/4 2/4   1/4 2/4 4월 5월 6월  
부동산업 64,503 61,928 126,431 205,122 87,688 22,053 32,646 32,989 292,810
(△43.2) (△16.5) (△32.7) (218.0) (41.6) (5.4) (50.8) (70.3) (131.6)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ㅇ (연령별) 모든 연령대에서 크게 증가했으며, 상대적으로 부동산 자산을 많이 보유한 40대 이상 연령대에서 급격하게 증가
 
* ’20년 상반기 연령별 부동산업 창업 증가율(%) :
(30세미만) 37.3 (30대) 65.2 (40) 105.7 (50) 131.0 (60세이상) 227.3
 
ㅇ (조직형태별) 법인창업과 개인창업 모두 상당한 폭으로 증가
 
* ’20년 상반기 부동산업 창업기업 증가율(%) : (법인) 74.2 (개인) 134.9
 
2   감소 업종
 
□ (숙박·음식점업) ’20년 상반기 가장 크게 감소한 업종으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거리두기, 외식 자제 등이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
 
ㅇ (월별동향) 코로나19 충격으로 5월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6월 들어 소폭 증가
(단위 : 개, %)
구분 ‘19.상반기 ’20.상반기
1/4 2/4   1/4 2/4 4월 5월 6월  
숙박·
음식점업
43,090 50.663 93,753 40,586 42,006 12,539 13,376 16,091 82,592
(△0.5) (△0.4) (△0.5) (△5.8) (△17.1) (△30.4) (△21.0) (2.4) (△11.9)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ㅇ (연령별) 모든 연령대에서 감소했으며 특히 30~50대에서 눈에 띄게 감소
 
* ’20년 상반기 연령별 숙박·음식점업 창업 증가율(%) :
(30세미만) 4.4 (30) 12.5 (40) 14.5 (50) 15.3 (60세이상) 5.9
 
ㅇ (조직형태별) 법인창업은 소폭 증가했으나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영세한 개인창업이 감소
 
* ’20년 상반기 숙박·음식점업 창업기업 증가율(%) : (법인) 0.4 (개인) △12.0
 
□ (개인서비스업) 대체로 소규모로 운영되고 대면 접촉을 필요로 하는 수리점, 미용실, 세탁소 등의 업종으로 코로나19 영향에 따라 감소
 
ㅇ (월별동향) 코로나19의 직접적인 타격을 받은 업종 중 하나로 5월까지 감소하였으며 6월에는 양호한 증가율을 기록하며 반등
(단위 : 개, %)
구분 ‘19.상반기 ’20.상반기
1/4 2/4   1/4 2/4 4월 5월 6월  
개인
서비스업
14,916 15,195 30,111 13,923 13,539 4,247 4,199 5,093 27,462
(2.1) (3.0) (2.6) (△6.7) (△10.5) (△24.3) (△18.6) (15.0) (△8.8)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ㅇ (연령별) 대부분의 연령대에서는 감소했지만 60세 이상에서는 오히려 큰 폭으로 증가
 
* ’20년 상반기 연령별 개인서비스업 창업 증가율(%) :
(30세미만) 5.9 (30) 16.8 (40) 14.9 (50) 4.0 (60세이상) 25.3
 
ㅇ (조직형태별) 법인창업과 개인창업 모두 감소
 
* ’20년 상반기 개인서비스업 창업기업 증가율(%) : (법인) △4.2 (개인) △8.9
 
□ (제조업) 지난해부터 이어진 업황 부진에 전세계적인 코로나19 확산으로 경영환경 불확실성이 심화되며 전기·전자(8.2%↓), 고무·화학(9.5%↓), 자동차·운송장비(11.7%↓) 등을 중심으로 감소
 
ㅇ (월별동향) 1분기에 이어 4~5월에도 생산, 수출 부진으로 지속 감소했으나 6월 경제활동이 점차 회복되며 신규 진입도 증가
 
* 제조업 생산/수출 증가율(전년대비, %) : (’20.1/4) 5.5/△1.8 → (4) △5.1/△25.6
→ (5) △9.9/△23.8 → (6) △0.4/△10.8
(단위 : 개, %)
구분 ‘19.상반기 ’20.상반기
1/4 2/4   1/4 2/4 4월 5월 6월  
제조업 14,587 13,258 27,845 12,976 12,426 4,025 3,712 4,689 25,402
(△7.6) (△7.5) (△7.5) (△11.0) (△6.3) (△16.5) (△16.5) (17.4) (△8.8)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ㅇ (연령별) 30~40대 연령층에서 두드러지게 감소했으며, 60세 이상에서는 은퇴 후 경험과 기술을 활용한 창업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
 
* ’20년 상반기 연령별 제조업 창업 증가율(%) :
(30세미만) △8.9 (30) 17.1 (40) 13.3 (50대) △4.8 (60세이상) 8.8
 
ㅇ (조직형태별) 법인창업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소폭 증가하였으나 상대적으로 외부 경영환경에 민감한 개인창업이 크게 감소
 
* ’20년 상반기 제조업 창업기업 증가율(%) : (법인) 0.3 (개인) △12.2
 
□ (예술·스포츠·여가) 공연업, 스포츠시설 등 사람들 간 밀접접촉이 이루어지는 업종으로서 코로나19 확산 속 크게 위축
 
ㅇ (월별동향)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보다 크게 감소했으나 6월 반등하여 향후 추이를 지켜볼 필요
(단위 : 개, %)
구분 ‘19.상반기 ’20.상반기
1/4 2/4   1/4 2/4 4월 5월 6월  
예술·
스포츠·여가
8,049 7,968 16,017 7,108 6,885 1,907 2,062 2,916 13,993
(△4.9) (△7.7) (△6.3) (△11.7) (△13.6) (△31.1) (△24.8) (18.6) (△12.6)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ㅇ (연령별) 60세 이상은 증가했으나 그 외에 연령대에서는 모두 두 자릿수의 감소율을 기록하며 크게 감소
 
* ’20년 상반기 연령별 예술·스포츠·여가 창업 증가율(%) :
(30세미만) 12.9 (30) 20.3 (40) 13.0 (50) 12.2 (60세이상) 7.0
 
ㅇ (조직형태별) 법인창업은 소폭 증가했으나 개인창업이 크게 감소
 
* ’20년 상반기 예술·스포츠·여가 창업기업 증가율(%) : (법인) 3.7 (개인) △13.2
 
□ (운수·창고업) 코로나19 확산 이후 업황 부진이 심화되며 화물차운송업 등의 신규창업이 감소
 
* 운수·창고업 생산 증가율(%, 전년대비) : (’19.3/4) 0.4 → (4/4) △0.6 → (’20.1/4) △9.2 → (2/4) △18.4
 
ㅇ (월별동향) 4~5월 크게 감소 후 6월 들어 증가로 전환
(단위 : 개, %)
구분 ‘19.상반기 ’20.상반기
1/4 2/4   1/4 2/4 4월 5월 6월  
운수·
창고업
16,660 15,923 32,583 16,127 14,635 4,738 4,535 5,362 30,762
(3.3) (△1.0) (1.2) (△3.2) (△8.1) (△17.7) (△14.7) (10.6) (△5.6)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ㅇ (연령별) 6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감소
 
* ’20년 상반기 연령별 운수·창고업 창업 증가율(%) :
(30세미만) 0.4 (30) 9.3 (40) 9.1 (50) 7.2 (60세이상) 5.6
 
ㅇ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창업이 모두 감소
 
* ’20년 상반기 운수·창고업 창업기업 증가율(%) : (법인) △12.1 (개인) △5.4
 
□ (교육서비스업) 학원을 통한 코로나19 감염 사례 등으로 다중밀집시설에 대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루어지며 신규 진입이 감소
 
* 교육서비스업 생산 증가율(%, 전년대비) : (’19.3/4) △0.2 → (4/4) △0.7 → (’20.1/4) △4.9 → (2/4) △5.4
 
ㅇ (월별동향) 개학 연기 및 휴원 권고가 잇따르며 5월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전학년 등교가 이루어진 6월에는 다시 반등
(단위 : 개, %)
구분 ‘19.상반기 ’20.상반기
1/4 2/4   1/4 2/4 4월 5월 6월  
교육
서비스업
12,801 9,935 22,736 11,471 9,803 2,656 2,552 4,595 21,274
(7.0) (11.7) (9.0) (△10.4) (△1.3) (△26.3) (△24.0) (54.5) (△6.4)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ㅇ (연령별) 50대 이상 연령층에서는 증가했으나 그 이하 연령대에서 감소
 
* ’20년 상반기 연령별 교육서비스업 창업 증가율(%) :
(30세미만) 8.6 (30) 15.9 (40) 6.0 (50대) 11.0 (60세이상) 13.1
 
ㅇ (조직형태별) 법인창업은 양호하게 증가했으나 전체 창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개인창업이 감소해 전체 창업이 감소
 
* ’20년 상반기 교육서비스업 창업기업 증가율(%) : (법인) 4.7 (개인) △6.8
참고2   월별 창업기업동향 통계 개요
 
□ (작성목적) 전체 기업의 창업 동향을 적시에 파악하여 중소기업 현장경기를 진단하고, 창업 지원시책에 활용할 수 있는 통계생산
 
□ (작성근거) 변경승인(‘19.01)에 의한 가공통계
 
□ (법적근거) 통계법 제18조(통계작성의 승인)
 
□ (작성내용) 월별 전체 기업의 업종·연령·조직형태·성·지역별 창업 동향
 
ㅇ 업종 분류 : 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기준
 
*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 업종코드 기반, 통계청 조사자료 및 연계표 등 활용하여 보완
 
ㅇ 연령 분류 : 30세 미만,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만나이 기준)
 
ㅇ 조직형태별 분류 : 개인, 법인
 
ㅇ 성별 분류 : 여성, 남성
 
ㅇ 지역 분류 : 전국 17개 시·도
 
□ (작성단위) 영리기업
 
ㅇ 개인사업자 및 영리법인의 본점(사업자등록번호 중간 2자리로 구분)
 
- 제외사업자 : 80(법인 아닌 단체), 82(비영리법인의 본점 및 지점), 83
(국가, 지방자치단체, 지방자치단체조합), 84(외국법인의 본․지점 및 연락
사무소), 85(영리법인의 지점), 89(법인이 아닌 종교단체)
 
ㅇ 비시장 활동을 하는 비영리 기업(단체) 등은 제외
 
- 제외대상 산업분류 : O(국방, 사회보장), T(자가소비), U(국제기관)
 
- 제외대상 법인유형 : 사단·재단법인, 학교법인, 농·축·수산·산림 협동조합 등
 
□ (작성기관) 중소벤처기업부
 
□ (작성방법) 전국 사업자등록 DB(통계청, 행정자료)를 업종·연령·조직형태·성·지역별로 분류하여 집계
 
□ (이용 시 유의사항)
 
ㅇ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를 기준으로 창업기업을 집계하여, 법령(중소기업창업지원법, 조세특례제한법)상 ‘창업’에서 제외되는 기업이 일부 포함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등
 
ㅇ 기존에 작성하던 신설법인동향(법인등기자료)과 활용하는 행정자료(사업자 DB)가 변경되어 법인 총계·업종구분 상 차이가 발생하여 비교 시 유의
 
□ (용어설명)
 
ㅇ 기업 :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법적 단위로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사업체로 구성되면서 동일자금에 의하여 소유되고 통제되는 제도적 단위 또는 법적 경영단위(회사법인, 회사이외법인, 비법인단체, 개인기업의 형태로 구분)
 
ㅇ 창업기업 : 국세청에 사업자등록을 마치고 사업자 등록일자가 해당 월에 속하는 영리기업(개인, 법인기업 포함)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등 포함
 
ㅇ 기술기반창업 : 기술기반업종을 영위하는 기업의 창업
 
* 기술기반업종(OECD, EU 기준) : 제조업 + 지식기반서비스업(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사업시설관리(N75), 교육, 보건·사회복지, 예술·스포츠·여가(R90))
 
□ (2020년 창업기업 동향 공표 계획)
 
통계명 공표일자 비고
2020년 1월 창업기업 동향 2020. 3. 26.(목요일)  
2020년 2월 창업기업 동향 2020. 4. 23.(목요일)  
2020년 1/4분기 및 3월 창업기업 동향 2020. 5. 28.(목요일) 보도자료 발표
2020년 4월 창업기업 동향 2020. 6. 25.(목요일)  
2020년 5월 창업기업 동향 2020. 7. 23.(목요일)  
2020년 상반기 및 6월 창업기업 동향 2020. 8. 27.(목요일) 보도자료 발표
2020년 7월 창업기업 동향 2020. 9. 24.(목요일)  
2020년 8월 창업기업 동향 2020. 10. 22.(목요일)  
2020년 3/4분기 및 9월 창업기업 동향 2020. 11. 26.(목요일) 보도자료 발표
2020년 10월 창업기업 동향 2020. 12. 24.(목요일)  
2020년 11월 창업기업 동향 2021. 1. 21.(목요일)  
2020년 연간 및 12월 창업기업 동향 2021. 2. 25.(목요일) 보도자료 발표
* 상기 공표 계획은 추후 변경될 수 있음
** 통계수치는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mss.go.kr)와 국가통계포털(kosis.kr)에 공개되며 분기별로 보도자료 발표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
영진 10000 비닐노트 10호 대16절 / 1권 낱권/200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