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특허청]‘과학방역’, 실내 공기질 관리기술이 이끈다!

btn_textview.gif

 
 
과학방역’, 실내 공기질 관리기술이 이끈다!
- 실내 공기질 관리 특허출원 최근 10년간 연평균 15%로 증가 -

 
#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실내 환기의 필요성이 중요해지면서 이러한 환경이 특허출원으로 이어지는 한편, 실내공기질 관리 기준의 강화(환경부, ’16)와 공동주택의 환기시스템 의무설치 확대(국토교통부, ‘20)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특허청(청장 이인실)에 따르면, 실내 공기질(IAQ) 관리장치* 관련 허출원은 최근 10년간(’12~’21) 연평균 15%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코로나19 이후 연간 1천 건 이상 출원되며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붙임 1]
 
* 실내 공기질(IAQ: Internal Air Quality) 관리장치: 실내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정화하는 공기청정기와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순환시켜 교환하는 환기시스템로 구성됨
 
실내 공기질 관리장치는 공기청정기와 환기시스템 부분으로 구분된다. 공기청정기 출원건수는 최근 5년간(‘17~’21) 연평균 18%로 증가하였고, 환기시스템 출원건수는 최근 5년간(‘17~’21) 연평균 32%로 증가하였다.
 
- 밀폐된 실내에서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에 비해 실내·외 공기를 교환하는 환기시스템 특허출원의 증가세가 더 가파른 것으로 나타나, 실내 공기질 관리기술의 무게중심이 정화에서 환기로 이동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실내 공기질 관리장치 출원은(‘17~’21) 중소기업과 개인이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 1,901, 개인 1,567, 대기업 586, 연구소·학교 203건 순으로 나타났다. [붙임 2]
 
이는 실내공기질 관리장치가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아 시장규모가 계속해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접근성이 높은 기술에 대해 개인과 중소기업이 지재권 경쟁력 강화에 힘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실내 공기질 관리 시장은 5년간(’21-’26) 17조원 규모로 성장(연평균 8.28%)할 것으로 전망 (영국 시장조사기관 Technavio)
 
국내출원 다출원인을 살펴보면, 엘지전자 372, 코웨이 72, 삼성전자 52, 경동나비엔 44, 위니아 42건 등 순으로 나타나 엘지전자가 실내 공기질 관리장치 출원을 크게 선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내 공기의 온도나 습도를 관리해주던 기존의 공조장치와의 경계가 사라지는 것도 눈에 띤다.
 
단순히 공기청정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에서 나아가 실내외 공기를 교환하고, ·습도까지 관리하는 융합형 공기질 관리장치의 출원이 늘고 있어, 밀폐된 공간의 공기를 반복 순환시키는 공기청정기나 에어컨 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붙임 3,4]
 
특허청 건설기술심사과 류호길 심사관은 실내 공기질 관리는 포스트코로나 시대 국민의 건강한 일상 회복을 위한 핵심 요소이다.”라면서, “정부의 과학방역 체계에 발맞춰, 우리 기업들이 강한 특허를 확보해 국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특허행정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말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