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여성가족부]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 초등4학년 가장 크게 증가

btn_textview.gif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 초등4학년 가장 크게 증가
 
- 2020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 발표 -
 
· 초등4, 중등1, 고등1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22만 8천여 명
· 심각한 ‘위험사용자군’은 다소 감소했으나 자기조절 어려운 ‘주의사용자군’은 증가
· 1388 청소년상담전화 및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통한 지원
 
 
여성가족부(장관 이정옥)는 전국 학령 전환기(초등 4학년, 중등 1학년, 고등 1학년) 청소년 133만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0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를 8월 26일(수) 발표했다.

이 진단조사는 2009년부터 여성가족부가 교육부, 시·도 교육청 등과 협력하여 각급 학교를 통해 매년 실시하며, 진단 결과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으로 나타난 청소년에게는 상담․치료 등 치유서비스를 지원한다.
 
<2020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조사기간 : 2020. 6. 29.(월) ∼ 7. 31.(금)
참여인원 : 전국 11,705개 초/중/고등학교, 총 133만 1,441 명 (참여율 97.4%)
- 초등 4년 43만 8,416명, 중등 1년 46만 4,074명, 고등 1년 42만 8,951명
조사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웹 기반의 설문 시스템 운영)
이용척도 : K-척도(인터넷 과의존), S-척도(스마트폰 과의존) * 한국정보화진흥원 개발
결과구분
- 위험사용자군 :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장애를 겪고 금단 현상을 보여 전문기관의 도움이 필요한 수준
- 주의사용자군 : 사용시간이 점점 늘어나고 자기조절에 어려움이 있어 주의가 필요한 단계
- 과의존 위험군 : ‘위험사용자군’ 과 ‘주의사용자군’ 합계에서 중복위험군 제함
 
올해 주요 진단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별)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 하나 이상에서 위험군(이하 ‘과의존 위험군’)으로 진단된 청소년은 22만 8,120명으로 나타났으며, 두 가지 문제를 모두 갖고 있는 청소년(이하 ‘중복위험군’)은 8만 3,914명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과의존 청소년>
(단위: 명)
구  분
2018년
2019년
2020년
 과의존위험군(A+B-C)
196,337
206,102
228,120
 위험사용자군(A)
27,764
29,246
28,671
 주의사용자군(B)
233,497
248,768
283,363
 중복위험군(C)
64,924
71,912
83,914
 
금년에도 지난해에 이어 인터넷과 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이 증가하는 추세가 계속되었고, 위험사용자군은 다소 감소했다. 스마트폰보다 인터넷 과의존 청소년이 더 많으며 증가폭이 컸다.

(인터넷) 인터넷 과의존 위험군은 17만 5,496명으로, 이 중 위험사용자군은 1만 4,770명, 주의사용군은 16만 726명이다.

(스마트폰)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13만 6,538명으로, 이 중 위험사용자군은 1만 3,901명, 주의사용군은 12만 2,637명이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
(단위: 명)
구  분
2018년
2019년
2020년
인터넷
과의존
위험군
합  계
140,421
154,407
175,496
위험사용자군
13,440
14,790
14,770
주의사용자군
126,981
139,617
160,726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합  계
120,840
123,607
136,538
위험사용자군
14,324
14,456
13,901
주의사용자군
106,516
109,151
122,637
 
(연령별) 전학년에 걸쳐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이 증가했다.

학년별로는 중학생(84,462명), 고등학생(77,884명), 초등학생(65,774명) 순으로 나타났고, 초등 4학년이 가장 크게 증가했다.
 
 
< 학년별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 >
(단위: 명)
구  분
2018년
2019년
2020년
전년대비 증감
초4
55,467
56,344
65,774
(+9,430)
중1
71,782
76,706
84,462
(+7,756)
고1
69,088
73,052
77,884
(+4,832)
합  계
196,337
206,102
228,120
(+22,018)
 
 (성별) 남자, 여자 청소년 모두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이 증가했다.

초등 4학년 과의존 위험군은 남자 청소년이 더 많으나, 중·고등 1학년은 여자 청소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성별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 >
(단위: 명)
구  분
2018년
2019년
2020년
전년대비 증감
초4

35,686
35,312
39,529
(+4,217)

19,781
21,032
26,245
(+5,213)
중1

34,502
36,544
41,453
(+4,909)

37,280
40,162
43,009
(+2,847)
고1

30,580
31,296
35,749
(+4,453)

38,508
41,756
42,135
(+379)
 
여성가족부는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과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 (235개소)를 통해 진단 결과 과의존 위험군으로 나타난 청소년에게 보호자 동의를 받아 개인별 과의존 정도를 반영한 상담, 병원치료, 기숙치유프로그램 등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한다.

과의존 정도가 상대적으로 경미한 ‘주의사용자군’ 청소년에게는 학교별 집단상담 지원을 통해 올바른 이용습관과 사용조절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다.

‘위험사용자군’에게는 개인별 상담을 제공하고, 추가적인 검사를 실시하여 우울증·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등의 공존질환 발견 시 병원치료를 지원하는 등 정서적 안정을 통해 과의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치료비 지원) 일반계층 최대 30만원, 저소득 계층 최대 50만원까지 지원, (사후관리) 치유캠프 수료자 대상 청소년동반자, Wee클래스 연계 및 직접 상담 등
 
치유서비스 관련 문의 : ‘청소년상담 1388’
- 전화상담 : 국번 없이 1388, 휴대전화 : 지역번호+1388
- 문자상담 : #1388, 카카오톡상담 : 카카오플러스 친구맺기 후 1:1 대화 진행
- 온라인상담 : 사이버상담센터(www.cyber1388.kr) 채팅 및 게시판상담
 
인터넷과 차단된 환경에서 치유가 필요한 청소년에게는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치유캠프(7박8일), 가족치유캠프(2박3일) 등 기숙형 치유서비스를 지원하며, 학기 중 치유가 필요한 청소년을 위해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전북 무주)에서 상담, 체험활동 등 통합 치유프로그램을 상시적으로 운영한다.

올해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운영규모를 축소하고 중앙방역대책본부 대응지침에 따라 지침을 마련하는 등 예방에 철저를 기할 방침이다.

※ 운영규모 : 인터넷·스마트폰 치유캠프 15회(225명), 가족치유캠프 12회(156가족), 드림마을 15회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신청방법
- 전화문의 : 063-323-2285(드림마을) 또는 국번없이 1388(청소년전화)
- 홈페이지 : http://nyid.kyci.or.kr
 
심민철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관은 “이번 진단조사는 청소년들이 객관적 지표를 통해 자신의 이용습관을 되돌아보게 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라며,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청소년들의 미디어 사용이 증가하는 현실에서 과의존 등 역기능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자께서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 줄 것을 부탁드린다. 우리 부도 교육부, 과기정통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청소년의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예방과 해소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