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설명자료)신재생 발전비용이 가파르게 급증하며, ‘20년 발전원가가 264.6원이라는 기사는 사실과 다르며, …

btn_textview.gif

신재생 발전원가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고, ‘20년 발전원가가 246.6/kWh 이라는 내용은 사실과 다름

 
오히려 신재생 발전원가는 규모의 경제, 기술발전에 따라 하락하고 있으며 ‘20년 발전원가는 태양광 118.2/kWh 수준임

 
신재생 전력생산 비용 상승에 따라 발전사들의 적자폭이 커지고 수익률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는 것도 사실과 다름

 
신재생 전력 생산에 들어가는 추가적인 비용추후 정산을 통해 보전받고 있으므로, 신재생 전력생산으로 인한 적자폭이 커진다는 것은 사실과 다름.

 
920일 연합뉴스 <예산정책처 신재생 발전비용 급증... 원자력의 5>, 매일경제 <예산정책처 신재생 발전비용 급증... 원자력의 5> 보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드립니다.

 
1. 보도내용

 
국회 예산정책처가 20일 국민의힘 구자근 의원 의뢰로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원가는 264.6/kWh으로 분석됨

 
* (‘16) 185(’17) 196.5(‘18) 179.2(’19) 200.1(‘21) 264.6
원자력(54) 보다 5배 비싼 수준으로, 2016185원과 비교하면 가파르게 상승하였으며, 이에 발전사들의 적자폭도 덩달아 커짐

 
2. 동 보도내용에 대한 산업부의 입장

 
신재생 발전원가는 갈수록 하락하고 있으며, 에너지경제연구원 균등화발전원가(LCOE) 분석에 따르면 2020년 태양광 118.2/kWh, 풍력 131.9/kWh으로 기사에서 제시한 264.6원과 크게 다름

 
* 1~3MW 중규모 태양광 기준

 
이는 태양광의 경우 2015163.1/kWh 대비 28% 하락한 수준이며, 향후에도 지속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실제, 거래가격 기준으로도 2021년 상반기 태양광 입찰시장의 중규모 평균 낙찰가격 132.9/kWh으로 ‘17181.6/kWh 대비 27% 하락하였음
이러한 발전비용 하락과 더불어, 발전의 신재생 발전으로 인한 추가적인 비용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판매를 통해 회수(보전)하는 구조이므로,

 
* REC 정산 기준가격(/REC) : (‘18) 87,883 (’19) 66,663 (‘20) 66,170

 
신재생 전력비용이 오르면서 발전사들의 적자폭이 상승하고 있고, 수익률이 마이너스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름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