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 스마트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본격 추진

btn_textview.gif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914일부터 15일까지 이틀간 충남 부여에서 스마트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활성화 워크숍 개최하였다.

 

   * 주최 : 농림축산식품부, 주관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이번 워크숍에는 ’23년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정부지원 예비 사업대상자로 선정된 15*의 농협농업법인과 지자체 담당자 70여 명이 참석하였다.

 

   * 기본요건과 사업계획서 사전 점검 후 서면평가, 발표평가를 거쳐 선정위원회에서 예비 사업대상자로 확정

 

  농식품부는 농산물 시장 개방과 유통 대기업의 자본과 기술에 대응하고 산지 농산물의 규격화·상품화할 수 있는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건립을 지원하여 농가의 소득향상과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는 로봇·센서·통신 등 첨단기술을 이용하여 농산물의 저장·선별·포장 등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의 기능을 자동화하고, 디지털화한 정보를 바탕으로 농장에서 소비지까지 전후방 산업과 연계하는 첨단 산지유통시설을 말하며, 새 정부의 국정과제*로 중점 추진된다.

 

   * 국정과제 71: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2. 산지부터 소비지까지 농산물 유통 전과정의 디지털 전환 추진)

 

  이번 워크숍에서는 정부의 스마트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정책 소개, 전문가의 첨단기술을 이용한 상품화 시설 설치 방안,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설계·계약 및 보조금 관리 기법 등에 관한 교육이 함께 진행되었다. 특히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를 스마트화한 만인산농협(충남 금산군 소재) 사례발표는 참석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만인산농협은 전국 30여 개의 농협 등과 협력하여 사전 주문에 따라 조합원이 생산하는 100여 종류의 채소를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에서 상품화하여 대형유통업체, 온라인 등에 직접 출하하는 사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콜드체인시스템과 로봇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하여 500여 종의 상품을 자동으로 생산하면서, 입고부터 출고까지 전 과정에서 생성되는 디지털 정보를 시장분석, 재고, 경영·재무관리 등에 활용하는 스마트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지원사업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꼽힌다.

 

  농식품부는 이번 워크숍을 통해 스마트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지속 추진하면서, 클라우드(인터넷 기반 자원 공유) 기반의 스마트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통합지원시스템을 구축하여 디지털화된 상품정보를 유통 주체와 공동으로 활용하고 소비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농식품부 김종구 유통소비정책관은 스마트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이제 농가와 산지 유통조직의 성공을 위한 필수 요건이라고 하면서, “농가 소득향상과 농산물 수급 안정 등을 위해 산지부터 소비지까지 농산물 유통의 디지털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