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방위사업청]민간 저궤도위성을 활용한 군 통신체계 신속연구개발로 추진(’23년 1차 신속연구개발 2개사업 선정 및 제도개선)

btn_textview.gif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신속시범사업추진위원회 심의를 거쳐 231차 신속연구개발 대상사업 2개를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신속연구개발사업 : 신기술 등을 적용하여 시제품을 2년 이내 신속히 연구개발, 군에서 시범운용을 통해 

                              군사적 활용성을 확인하는 사업


이번에 선정된 2개 사업은 미래 군 활용성 등을 고려하여 각 에서 요구한 하향식 사업으로 긴밀한 민·군 협업을 통해 약 2년간의 연구개발 후 25년 하반기부터 실제 군에 시범배치되어 운용될 계획이다.


’231차 신속연구개발사업

사업명

시범운용

빅데이터를 이용한 AI 기반 자동기뢰탐지체계

해군

상용 저궤도위성기반 통신체계

육군, 해군, 공군


신속연구개발사업 전담기관인 국방신속획득기술연구원(국방과학연구소 부설)은 이번에 선정 된 2개 사업에 대해 3월중 입찰공고를 통해 전반기 협약을 목표로 속도감 있게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ㅇ「빅데이터를 이용한 AI 기반 자동기뢰탐지체계는 다양한 센서(소나) 부터 얻어진 정보를 빅데이터화 시키고,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바다의 지뢰라고 할 수 있는 기뢰를 자동으로 탐지하는 체계를 연구개발하는 사업으로 해군의 소해(掃海)작전 능력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소해작전 : 기뢰가 부설된 항구의 기뢰를 제거하여 출입항로를 확보하는 작전


상용 저궤도위성기반 통신체계는 민간 저궤도 위성을 활용하여 군 네트워크를 확보하는 사업으로 한국군 전용 게이트웨이와 위성통신 단말(차량/함정용)을 연구개발하여 보안성을 갖출 예정이며, 정지궤도 위성대비 빠른 전송속도로 인해 작전능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게이트웨이 역할 : 위성과 위성통신 단말 간 네트워크 자원 할당 및 접속인증 기능


한편, 방위사업청은 현재 추진되고 있는 신속시범사업(신속연구개발사업+ 신속시범획득 사업)의 효율화를 위해 제도개선 추진도 병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신속연구개발사업 : 신기술 등을 적용하여 시제품을 2년 이내 신속히 연구개발, 군에서 시범운용을 통해 

                                 군사적 활용성을 확인하는 사업

    


신속시범사업은 방위사업청 누리집(www.dapa.go.kr)를 통해 공모내용 확인 및 사업신청이 가능하다. <>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