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국내 최초 10MW급 이상 대규모 그린수소 실증사업 착수

btn_textview.gif

국내 최초 10MW급 이상 대규모 그린수소 실증사업 착수

- 한국형 그린수소 기술 확보 및 수출 산업화를 위한 기반 확충 기대 -

- 제주, 제주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계획마련발표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와 제주특별자치도(도지사 오영훈, 이하 제주도)'22.9.29() 제주 CFI(Carbon Free Island) 미래관에서 국내 최초 10MW급 이상 대규모 그린수소 실증사업 착수 제주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계획발표 기념행사개최하였다.

 

 

 

제주 그린수소 관련 행사 개요

 

 

 

(일시/장소) ‘22. 9. 29.() 13:40 15:30 / 제주 CFI 미래관

 

(참석자) 박일준 산업부 제2차관, 오영훈 제주도지사, 이승우 남부발전 사장, 추형욱 SK E&S 사장, 박경일 SK 에코플랜트 사장, 이용배 현대로템 사장, 조용돈 한국가스기술공사 사장, 이상훈 한국에너지공단 이사장 등

 

(주요내용) 12.5MW 그린수소 실증사업 착수, 제주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계획발표

 

그린수소 :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에서 나온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수전해)하여 나온 수소


 

산업부는 ‘17년부터 260kW(제주)를 시작으로 1MW(울산), 2MW(나주), 3MW(제주) 등으로 그린수소 생산 실증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왔다.

 

특히, 본 행사를 통해 착수가 공개된 12.5MW급 실증사업* 재생에너지 비율이 높은 제주지역 전력계통 특성을 활용현존하는 수전해 시스템 4** 모두로 수소생산 실증을 진행하는 사업으로

 

* 12.5MW급 그린수소 실증과제(‘22.4~’26.3, 총사업비 620억원, 남부발전 주관)

** 알칼라인(AEC), 고분자전해질(PEM), 고체산화물(SOEC), 음이온교환막(AEM)

가동률 60% 기준으로 1,176/수소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생산된 수소는 생산단지와 연계된 On-Site 충전소를 통해 수소기반으로 전환 예정인 제주시 청소차 200여대와 시내외 버스 300여대에 공급될 계획이다.

 

IEA(국제에너지기구)에 따르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청정수소 수요 확대로 전세계 수전해 설비규모가 '30년까지 850GW, '50년까지 3,600GW 확대되는 등 관련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 글로벌 수전해 누적 투자규모(IEA 자료 활용 추산) (억불) : (~‘30) 2,200, (~’50) 7,200

 

ㅇ 금번 대규모 실증 사업은 한국형 그린수소 생산기술 및 수전해 설계 기술 확보, 기자재 국산화 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전해 관련 산업새로운 수출산업으로 육성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제주도제주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계획을 발표하고, 제주도가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그린수소 선도 광역자치도글로벌 그린수소 허브가 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였다.

 

ㅇ 해당 계획은 산업부 주관으로 ‘22.11월 수립된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토대제주도 특성과 현실을 반영하여 제주형 그린수소 생태계 구축하고 글로벌 허브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주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계획 주요내용>

(생산) 재생E 연계 그린수소 생산 실증, 생산단지 확대 구축

 

(보급) 활용처를 고려한 충전소 구축, 주유소·LPG충전소를 수소충전소로 전환

 

(활용) 공공영역 안정적 활용(청소차, 시내외버스), 화력발전소 전환, ·출입

 

(산업화) 전문기업 유치, 전문인력 양성, 제도적 기반 마련


 

이날 행사에 참석한 제주도 오영훈 도지사는 환영사에서 2030년 정부 재생에너지 목표인 21.5%를 제주가 가장 먼저 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를 구축하겠다면서 모빌리티, 발전소, 기저원전의 수소 전환 뿐 아니라 수소항만 구축, 수소 수출입을 통해 국가 수소경제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하였다.

산업부 박일준 제2차관은 축사를 통해 금번 착수된 국내 최초 대규모 그린수소 실증사업수전해 관련 산업 새로운 수출산업으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였으며,

 

제주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계획원활한 이행을 위해 중앙 정부에서도 관심을 갖고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금번 행사에 앞서 진행된 수소기업 오찬 간담회에서 산업부 박일준 제2차관은 수소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그린수소 시장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주요 참석기업: 이승우 남부발전 사장, 추형욱 SK E&S 사장, 박경일 SK Ecoplant 사장, 이용배 현대로템 사장, 유원하 현대자동차 부사장, 이경실 코하이젠 사장, 최금식 선보유니텍 회장, 장동복 YEST 사장, 조용돈 가스기술공사 사장, 이상훈 에너지공단 이사장 등

 

박일준 차관은 정부청정수소발전제도(CHPS) '23년 도입, 청정수소인증제 ‘24년 시행 수소 산업에 대한 민간의 투자유도하고 뒷받침하기 위해 관련 제도 정비 규제 완화적극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ㅇ 오영훈 도지사는 핵심 기술개발부터 상용화에 이르는 가치사슬에서 트랙레코드를 확보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