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 Global

수에즈 운하 사태, 독일 경제에 미칠 파장은

- 에버기븐호, 2019년 함부르크 연안 충돌 이후 2번째 사고 겪어 -

- 수출 중심의 독일 경제, 에버그린호에 가로막힌 글로벌 교역에 `한숨` -    

 



지난 323() 대만의 해운선사 에버그린(Evergreen) 소속 컨테이너선 `에버기븐(Evergiven)`이 이집트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던 중 좌초되었다. 2018년 일본 이마바리(Imabari) 조선소가 건조한 길이 400m, 너비 59m의 에버기븐호는 컨테이너 약 2400(2388TEU, 1TEU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를 실을 수 있는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이다. 일본의 쇼에이 기센(Shoei Kisen)이 선주(선박의 소유자)이나 에버그린이 상기 선박을 용선하여 운영 중이다. (: *현재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은 HMM(구 현대상선)이 보유한 24000TEU급 알헤시라스호(Algeciras))

 

이번 좌초의 원인으로는 봄철 수에즈 운하 지역에서 부는 시간당 40~50노트(약 시속 74km~93km)의 모래폭풍이 꼽힌다. 에버그린측은 길이 400m에 육박하는 에버기븐호가 이에 휩쓸려 균형을 잃고 사선으로 돌면서 너비가 280m에 불과한 수에즈 운하를 막아버렸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수에즈운하관리청(Suez Canal Authority, SCA)은 사고 초기 모래폭풍을 주요 원인으로 밝혔으나 이후 운항 미숙과 정전 등 기술 결함에 대한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에버기븐호의 기술지원을 담당하는 독일 함부르크 소재 선박관리회사 베른하르트 슐테 쉽매니지먼트(Bernhard Schulte Shipmanagement, BSM)는 정전으로 인한 기술 결함 가능성을 반박하면서 향후 다양한 이해당사자간 책임공방이 예상된다.

동 선박은 2019 2월에도 함부르크항에서 출항하다 강풍에 휘말려 인근 블랑케네제(Blankenese) 페리 정류장을 들이받은 사고를 겪었다. 북독일방송(NDR)에 따르면 이번 사태까지 벌써 2번의 사고를 겪은 에버그린호의 유럽 입항을 거부하는 방침까지 논의되는 중인 것으로 가운데, 이번 수에즈 운하 좌초 사태가 글로벌 교역과 독일 경제에 미칠 영향을 살펴보자.

 

2019년 에버그린호 함부르크 페리 정류장 충돌현장 및 피해 선박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 Hamburger Abendblatt, Blaulicht News, shz.de

 

수에즈 운하 사태가 글로벌 교역과 독일 경제에 미치는 영향


홍해와 지중해를 잇는 수에즈 운하는 아시아-유럽 교역의 핵심 통로다. 수에즈 운하를 통한 물동량은 글로벌 해상물동량의 약 12%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되며, 수에즈운하관리청이 발표한 2019년 기준 물동량은 약 12억 톤에 이른다. 출발지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지만 수에즈 운하는 아시아-유럽 항로에 있어 남아공 희망봉을 경유하는 것보다 대략 6000~9000km를 단축시켜준다. 이는 약 7~10일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져오기에 높은 통행세에도 불구하고 연간 선박 약 19천척(18,830)이 수에즈 운하를 이용하고 있다. 15TEU급 컨테이너선 기준으로 통행세는 선박당 약 70~90만달러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에즈 운하는 막대한 통행세 수입을 기반으로 202056.1억달러, 코로나19 사태로 글로벌 물동량이 감소하기 전인 2019년는 58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렇듯 아시아와 유럽간 무역에 지름길을 놓아주는 수에즈 운하가 멈추면서 다음 2가지 사항이 우려된다.

 

수에즈 운하의 연간 통행 선박수 및 물동량 추이(1975~2019)

external_image

자료: 수에즈운하관리청(Suez Canal Authority, SCA)

 

① 글로벌 공급망 차질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전 세계가 한 차례 글로벌 가치사슬(GVC)의 와해를 겪은 가운데, 수에즈 운하 사태가 다시 한번 위기를 불러오고 있다. 2019년 수에즈 운하를 통과한 선박은 19천척으로 일평균 50척 이상이다. 노르웨이 선박관리업체 레스 에이전시(Leth Agency)에 따르면 328() 현재 총 327척이 수에즈 운하와 인근 항구에서 운하 통과를 기다리는 중이다. 세계선사협의회(World Shipping Council, WSC)에 따르면 수에즈 운하의 일일 최대 처리량은 106척이므로, 통행이 당장 재개되더라도 현재 운하 통과를 대기하는 선박 처리에만 최소 3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뿐만 아니라, 수에즈 운하 노선을 운영하는 선사들의 운항일정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영국 해운전문지 로이드 리스트(Lloyd`s List)에 따르면 이번 사태로 인해 시간당 약 4억달러에 맞먹는 글로벌 교역량이 감소하고 있다. 독일 경제는 수출 중심 경제 성장모델로 세계은행에 따르면 독일의 2019년 기준 무역의존도*는 약 88%, 수출의존도는 약 47%를 기록했다. 이는 G20 국가 내 1위에 해당하는 수치로 독일의 수출입은 글로벌 교역량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기에 이번 사태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 * 무역의존도는 GDP 대비 수출입액 비중, 수출의존도는 GDP 대비 수출액 비중임.)

 

독일선주협회(Verband Deutscher Reeder, VDR) 언론홍보실장 크리스티안 덴소(Christian Denso)수에즈 운하는 세계 해운업의 고소도로라면서 이번 사태로 운항을 멈춘 선박들로 인해 유가 불안과 글로벌 컨테이너 물류 둔화가 불가피하고 설명하였다. 독일 공급망관리 전문가 패트릭 레퍼호프(Patrick Lepperhoff)기업들은 일반적으로 생산에 필요한 재료를 해운으로 공급받을 시 2~5일 정도의 지연을 예상하고 생산 계획을 세운다면서 이 기간을 초과하게 되면 산업 생산에 중대한 차질이 발생하는 결국 최종 소비자에게도 피해가 간다고 설명했다.

특히, 독일에서는 차량용 반도체 부족현상이 심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레퍼호프(Patrick Lepperhoff)대부분의 전자소재가 아시아 지역에서 수입되는데 운송에 차질이 생긴다면 특히 독일 자동차업계가 큰 피해를 볼 것이다고 우려하면서 현재 진행 중인 업계 내 반도체 부족현상이 가속화될 것이라 밝혔다. 유럽 최대 완성차업체인 폭스바겐(Volkswagen)은 반도체 부족으로 올해 차량 약 10~20만대를 감산할 수 있다고 밝혔으며, 아우디(Audi)도 같은 사유로 1분기 1만대 감산과 함께 임직원 1만명을 단축근무로 전환한 바 있다.

 

에버기븐호 항로 및 정규 운행 일정

external_image

 


칭다오


상하이


닝보



타이페이



선전

(옌텐)



탄중

펠라파스



수에즈

운하



로테르담



펠릭스토



함부르크


출발

2.26

3.1

3.4

3.6

3.8

3.12

3.23

4.3

4.6

4.10

도착

2.27

3.3

3.5

3.7

3.9

3.13

3.23

4.6

4.9

4.12

주: 빨간색 노선이 에버기븐호의 이번 운항노선임.

자료: 에버그린

 

선택의 기로에 놓인 해운업계와 수출기업

독일과 유럽 해운업계는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속 성공적인 한 해를 보냈다. 2020 2~4월 코로나19 팬데믹 1차 유행으로 글로벌 경기가 위축되면서 독일 해운업 업황도 급속히 악화됐지만 이어지는 경기부양책 속에 하반기부터 미국, 중국 등 거대 시장의 수요가 빠르게 회복되었으며, 여기에 노선 효율화와 유가 하락으로 수익성이 높아지며 전화위복에 성공한 것이다.

하지만 1년 만에 또 다시 수에즈 운하 사태라는 변수에 맞닥뜨리게 되었다. 현재 글로벌 주요 선사들은 남아공 희망봉 노선으로 선회할지, 아니면 수에즈 운하 정상화를 기다릴지 고심하고 있다. 블룸버그(Bloomberg)에 따르면 남아공 희망봉 노선으로 우회 시 운항 기간이 약 7~10일 지연되며 중동의 원유를 유럽으로 실어 나르는 유조선을 기준으로 연료비만 약 30만 달러에 이르기 때문이다. 특히, 노선 스케줄의 경우 이미 재조정이 불가피하여 당분간 글로벌 해운물류의 혼란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HMM은 선박 4척, 덴마크 머스크 라인(Maersk Line)은 15척을 남아공 희망봉 노선 우회시키는 등 글로벌 선사들이 대처 방안 마련에 분주한 가운데 독일 최대 컨테이너 해운선사 하파그로이드(Hapag-Lloyd) 희망봉 우회를 고심하고 있다. 하파그로이드의 경우 360m 길이의 대형화물선 뉴욕 익스프레스(New York Express) 6척의 선박이 수에즈 운하 인근지역에 발이 묶인 상태이다. 현재 운하를 막고 있는 에버기븐호의 자매 선박인 에버그리트호(Ever Greet)도 희망봉을 경유하여 유럽에 도착할 예정이다.


하파그로이드사 뉴욕 익스프레스호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