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면죄부' 받은 中 "미국도 우리처럼 투명하게 조사받길"


                                    

[편집자주]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 © 로이터=뉴스1

중국 후베이성 우한을 방문중인 세계보건기구(WHO) 전문가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우한에서 기원했다는 사실을 밝히지 못하자 중국이 미국도 WHO 조사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0일 정례브리핑에서 "2019년 말 세계 각국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출현했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며 미국도 코로나19 기원과 관련해 WHO의 조사를 받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왕 대변인은 미국에서 코로나19가 처음 나타난 시기는 미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첫 확진자를 발표한 시기보다 빠를 가능성이 있다고도 했다.

그는 그러면서 "미국도 중국처럼 개방적이고 투명한 태도로 WHO 전문가들을 초청해 코로나19의 기원을 찾는 연구를 하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그간 우한은 코로나19 발원지가 아닌 가장 먼저 피해를 입은 지역일 뿐이라고 주장해왔다. 왕 대변인은 이같은 주장을 반복하며 "중국은 WHO 전문가들이 우한에서 코로나19를 연구할 수 있도록 많은 지원과 협조를 했고, 그들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고 덧붙였다.

WHO의 추가 방문을 허락하겠느냐는 질문에는 "다른 나라에 대한 유사한 연구가 필요하고 시급하다"며 "각국이 WHO 전문가들을 초청해 연구를 진행해 인류의 건강 공동체 구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답을 피했다.

피터 벤 엠바렉 WHO 코로나19 기원 조사팀장이 9일 (현지시간) 후베이성 우한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전염 경로를 보여주는 차트를 들어보이며 발원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말하고 있다.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WHO 전문가들은 전날 코로나19 기원 조사 결과 바이러스가 우한에서 기원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첫 확진자가 보고된 화난시장이 최초 발원지라는 기존 의견을 뒤집었고,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바이러스가 유출됐다는 주장 역시 극히 비현실적이라며 사실상 일축했다.

또 "코로나19 기원을 파악하기 위한 모든 작업은 박쥐를 자연숙주(natural reservoir)로 가리키고 있다"면서도 "그 박쥐들이 우한에 있었을 가능성은 낮다"고 주장했다.

코로나19가 우한에서 발원했다는 경우의 수를 모두 부인한 것이다. 이에 대해 미국은 중국 정부가 충분한 자료를 공개하지 않았다며 WHO 자료와 자체 정보를 근거로 판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WHO 측은 미국의 이러한 반박에 미국 정보는 많은 면에서 잘못됐다며 "미국 정보에 너무 의존하지 말라"고 비판했다.

코로나19 기원을 둔 미국과 중국, WHO의 갈등은 향후 더욱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dahye18@news1.kr

많이 본 뉴스

  1. 홍준표 "SK 통신재벌 큰 건 노태우 덕…1.4조 정도 각오해야"
  2. 초3 의붓아들 여행 가방에 넣고…73㎏ 계모 위에서 뛰었다
  3. 현직검사 '노태우 비자금 주인은 노소영?'…'1.4조' 판결 비판
  4. 재혼 당시 최악의 악평 1위…女 "하자있는데, 얼마나 가겠나"
  5. 김호중 측 "원래 비틀거리는 걸음걸이"…국과수 "사실 아냐"
  6. 김흥국 "한동훈과 저녁, 그는 콜라…피부 곱고 너무 예뻐"